개운법처방 261

음간의 정재와 편인의 육합에 대한 통변

음간의 정재와 편인의 육합에 대한 통변 예를 들어 대표적인 음간인 辛금일간에 甲목정재와 己토편인이 “甲己육합”을 하여 화기(化氣)인성인 土기인성을 생산하게 되는 조합이니 이를 염두에 두고 아래의 글을 읽어야 할 것이다. 음간(陰干)은 정재와 편인(偏印)이 육합을 하고 이는 정재는 지극한 현실이고 자기 만의 공간이니 현실에 적응을 하려고 하며 직장인은 개업을 하려고 퇴사를 하게 된다. 또한 사기문서로 인한 손재수가 우려되고 전문가가 되기 위한 투자를 하게 되는 운이 되기도 한다. 여자에게는 고부간의 갈등도 있게 되며 변화를 하려는 욕구이니 이사, 매매 등을 하게 된다. 상관생재(食傷生財)를 하고 있는데 편인운이 오게 되면 편인도식으로 정재(正財)가 고립되니 손재수, 건강악화, 가정불화 등이 생기게 되는 운..

사주학 2021.07.09

양간의 편재와 정인의 육합에 대한 통변

양간의 편재와 정인의 육합에 대한 통변 대표적인 양간, 甲목일간에 戊토편재와 癸수정인이 “戊癸육합”을 하여 화기(化氣) 丙화식신을 생산하게 되며 음간인 乙목일간은 戊토정재와 癸수편인이 “戊癸육합”을 하여 화기 丙화상관을 생산하니 같은 “戊癸육합”을 하더라도 양간과 음간에 따라 배속되는 육신이 다름을 알아야 할 것이다. 참고로 화기(化氣)오행은 양의 기운을 통변을 해야 하니 화기오행은 丙화의 기운이 된다. “甲丙戊庚壬”의 양간은 ”편재와 정인“이 육합을 하고 ”乙丁己辛癸“의 음간은 ”정재와 편인“이 육합을 하니 음간과 양간을 구분한 특징과 편재, 정인, 정재에 대한 자세한 사항을 미리 알고 있어야 하며 또한, 각 천간의 통근의 강약을 알아서 희용신과 기신을 구분해야 세세한 통변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사주학 2021.07.08

음간의 상관이 육합을 하는 경우의 통변

음간의 상관이 육합을 하는 경우의 통변 음간인 乙목일간이 丙화상관과 辛금칠살이 만나게 되면 “丙辛육합”이 되니 이를 염두에 두고 아래의 글을 읽으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 음간(陰干)은 상관(傷官)과 칠살(七殺)이 혹은, 편관(偏官)과 육합“이 된다. 일반적으로 흉신과 흉신의 육합은 갑자기, 예정에 없는 아주 좋은 순작용을 하게 되며 활용을 잘 하게 되면 봉사와 희생정신 그리고 뛰어난 표현력 등을 구사할 수 있게 되니 외교관, 조정관, 지략가 등으로 성공을 할 수 있게 된다. 편성(偏星)과 편성의 육합이니 급진적인 신분상승, 발탁과 스카웃 등이 있게 되는 운이고 흉한 역작용을 한다면 명예관, 허관 등으로 문제가 생기게 되고 사회악인 칠살이라면 필설지화(筆舌之禍) 등으로 인한 관재구설수(官災口舌數)가 염려된..

사주학 2021.07.07

양간의 상관이 육합을 하는 경우의 통변

양간의 상관이 육합을 하는 경우의 통변 악동, 청개구리의 별명이 있는 상관(傷官)은 계산적, 편법, 불법, 반골, 허풍, 타인을 이용, 험담, 통제가 안 되는 끝없는 욕망 등의 의미가 있고 편인(偏印)은 순발력, 상황대처능력, 기발한 아이디어, 취사선택의 수용성, 비현실적인 미래의 계획, 끼, 전문가 기질, 사기문서, 서류착오, 세금문서 등의 의미가 있다. 이러한 편성(偏星)인 상관과 편인이 육합을 하는 경우, 생길 수 있는 운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으며 예를 들어 甲목일간이라면 丁화상관과 壬수편인이 “丁壬육합”을 하여 木기의 화기 (化氣)오행을 만드는 경우를 염두에 두고 이 글을 읽으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 양간(陽干)은 상관과 편인(偏印)이 육합을 하게 되고 이는 시대를 앞서가는 벤처(Venture)와..

사주학 2021.07.06

물망초꿈, 물망초꽃꿈, 물망초꽃다발꿈

물망초꿈, 물망초꽃꿈, 물망초꽃다발꿈 ◉ 꽃병에 아름다운 물망초꽃이 탐스럽게 피어있는 꿈은 행운, 재회, 상봉(相逢) 등을 암시하니 하는 사업이나 장사, 일 등에 좋은 결과가 있게 되는 행운의 징조가 되고 멀리서 연락이 오며 또한, 친구, 애인, 친지와 함께 좋은 장소에서 화목한 시간을 갖게 되는 꿈이기도 하다. ◉ 물망초 꽃다발을 가슴에 품고 있는 꿈은 사랑하는 연인들이 좋은 장소에서 행복한 시간을 갖게 되는 의미이니 청춘남녀 들에게는 좋은 길몽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친구, 애인, 친지 등으로부터 물망초 꽃다발을 선물 받는 꿈은 본인에게 축하받을 만한 행복한 일이 생기게 되고 또한, 실제로 그들로부터 선물을 받게 되는 징조이기도 하다. 일반적으로 좋은 행운이 기다리는 만사형통(萬事亨通)의 길몽..

꿈해몽 2021.07.05

무궁화꿈, 무궁화꽃꿈

무궁화꿈, 무궁화꽃꿈 ◉ 학교의 화단에 무궁화꽃이 만개(滿開)한 것을 보는 꿈은 학생은 성적이 오르고 장학생이 되는 꿈이며 또한 새로운 개념의 교육문화가 펼쳐지거나 정신문화(精神文化)가 한 단계 업그레이드(Up-grade)되는 일이 생기게 되니 이는 교육환경이 많이 바뀌게 됨을 의미하는 징조가 된다. ◉ 치마 속으로 무궁화꽃이 들어오는 꿈은 교육, 문학, 철학 등의 정신세계가 뛰어나게 되거나 문학, 음악, 미술 등의 예술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입신출세(立身出世)하는 여자아이를 얻게 되는 태몽(胎夢)이고 또한 이 아이를 잘 키워달라는 조상님의 당부가 될 것이다. ◉ 바닷가, 강가, 우물가나 냇가 등에 무궁화꽃이 만개한 것을 보는 꿈은 합격, 승진, 당선, 영전 등의 경사를 암시하니 수험생이라면 합격하고 ..

꿈해몽 2021.07.04

申금과 酉금의 직업에 대한 통변

申금과 酉금의 직업에 대한 통변 일간에 따라 파생되는 申금과 酉금의 십신 별 아이템 및 활동무대, 직업의 특징에 대하여 살펴보면 육신(六神)과 인자론(因字論)을 잘 숙지하고 있어야 정확한 통변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니 본장에서는 육신과 인자론의 확장성에 대한 자세한 통변을 가늠해 보기로 한다. 이는 왜 인자론과 물상론을 중시해야 하는가를 알 수 있는 중요한 단초가 될 것이고 木火土金水의 기운에 모든 육신과 육신에 확장하여 적용할 수 있게 되면 “통(通)”에 이를 수 있는 경지가 될 것이니 이는 분발하는 역우님들이 되기 바라기 때문일 것이다. ♠ 甲乙목 일주에 申酉금 관성과 戊己토 일주에 甲乙목 관성은 직종과 하는 일이 다르다. 申酉금 관성은 금속, 컴퓨터, 정밀금속 등의 직종에 종사하면 능력..

사주학 2021.07.03

식신의 육합에 관한 통변 - 2 / 2

식신(食神)의 육합에 관한 통변 - 2 / 2 식신은 식구, 자식, 자식 같은 측근, 부하 등을 의미하기도 하는데 식신이 정인(正印)과 육합을 하게 되면 이에 관한 갈등이 생기게 되나 정성인 식신(食神)이기 때문에 조급하지 않으면서 부드럽게 넘어가게 된다. 인성이 기반(羈絆)되면 자신의 판단이 옳은지 틀린지 판단이 서지 않고 인성이 식신을 충극(沖剋)하게 되면 옳고 그름에 대한 생각을 많이 하게 되는데 명(命)에 식신이 있고 인성운이면 심각한 문제가 없으나 반대로 명(命)에 인성이 있고 식신운이 와서 육합을 하게 되면 판단력이 흐려질 수 있는데 경우의 수를 헤아려 신중한 판단을 해야 할 것이다. 명(命)에서 식신생재(食神生財)의 작용을 하고 있는데 인성운이 오게 되어 식신과 육합을 하게 되면 생재(生財)..

사주학 2021.07.02

식신의 육합에 관한 통변 - 1 / 2

식신(食神)의 육합에 관한 통변 - 1 / 2 천간의 육합을 통변하는 경우에는 경우의 수를 구분해야 하는 바, 이는 명(命)에 육합이 되어 있는지, 운에서 육합이 되는지, 또는 일간이 육합이 되는지와 일간을 제외한 천간이 육합이 되는 지를 먼저 구분하고, 그리고 어느 오행의 통근력이 강한지를 분별하여 통변에 임해야 한다. 甲丙戊庚壬의 양간은 “식신과 정관”이, 乙丁己辛癸의 음간은 “식신과 정인”이 육합을 하게 되며 양간(陽干)의 길성 즉, “정관과 식신의 육합”은 가장 좋은 육합이 된다. 표현력, 생산력, 연구력, 재테크(財-Tech) 능력 등을 의미하는 식신이 길한 순작용을 하게 되면 삶의 질이 높아지면서 적극적인 사회생활을 하게 된다. 명(命)에서 식신이 생재(食神生財)의 작용을 하고 있는데 운에서 ..

사주학 2021.07.01

비견이나 겁재가 육합이 되는 경우의 통변

비견이나 겁재가 육합이 되는 경우의 통변 양간(陽干)이나 양간의 비견은 정재(正財)와 육합을 하고 음간(陰干)이나 음간의 비견은 정관(正官)과 육합을 하게 되니 투합이나 쟁합(爭合)에 의해 발생하는 사건사고와 관재구설수(官災口舌數)는 양간과 음간을 구분하여 통변해야 하는 것이다. 자신감, 주체성, 추진력, 고집 등을 의미하는 비견과 정재가 투합(妬合)이나 쟁합을 하게 되면 비견은 분탈자나 경쟁자가 되고 정재(正財)는 합리성, 소유욕, 공간, 계산적, 치밀함, 일간의 것, 소유욕, 일간의 심복 등을 의미하니 이러한 정재에 관한 사건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비견이나 비견운에 일어나는 순작용은 일간이 신약한 경우이니 예를 들어 신약한 일간이 정재와 육합을 한다면 형제, 친구의 도움으로 재성의 활동인 부동산을 매..

사주학 2021.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