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운법처방 261

조후의 시의성과 생극제화의 활용

조후의 시의성(時宜性)과 생극제화(生剋制化)의 활용에 대하여 대운과 세운을 포함한 사주팔자(四柱八字)를 통변하는 기본은 木기, 火기, 土기, 金기, 그리고 水기인 5 행의 변화를 보는 생극제화(生剋制化)의 작용과 지지의 변화를 보는 합형충파해 (合刑冲破害)의 틀 안에서 이루어지게 되는데 운의 길과 흉에 앞서 한난조습(寒暖燥濕)의 조후는 전제조건이 되는 것이다. 지지(地支)는 길과 흉, 실패 혹은 일이 이루어지는 환경을 의미하고 천간(天干)의 조후를 해결하는 丙화 혹은, 癸수는 시의성(時宜性)과 성패에 관한 열쇠가 되는 것이니 예를 들어 “금생수(金生水)”의 작용을 해야 하는데 대운과 세운을 포함한 명(命)에 조후가 불량하게 되면 절실한 “금생수(金生水)”의 순작용이 순조롭지 않게 된다는 의미이다. 생극제..

사주학 2021.06.19

사술원진살

사술(巳戌) 원진살에 대하여 “사술(巳戌) 원진살(怨嗔殺)”에 대하여 살펴보면 ”辰巳음양합“은 이익적인 관계이니 戌토가 와서 ”辰戌충“을 하고 ”巳戌원진살“이 형성되면 이해관계에 의한 배신감, 질투, 원망심 등이 생기게 되며 巳화 입장은 홀로서기를 하게 되는 운이 된다. 巳화가 戌토을 만나게 되면 辰토가 본사고 巳화는 대리점, 판매처이니 辰토의 잘못에 의해서 가맹점이 손해를 입는 형상이 된다. 음지인 巳화의 입장은 양지인 辰토가 남자인데 남자가 엉뚱한 짓을 해서 갈등이 발생하는 형상으로 통변이 가능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巳화가 어떤 역할을 하느냐에 따라 통변이 많이 달라진다. 명(命)의 寅卯辰에서 巳화가 있는 경우에 戌토운이 오게 되면 巳화의 입장에서 후원해주는 辰토를 충하여 후원자를 없애니 이는 인덕이..

사주학 2021.06.18

진해원진살

진해(辰亥) 원진살에 대하여 “辰亥원진살”은 “辰巳음양합”을 亥수가 “巳亥충”을 해서 辰토와 巳화의 음양합을 깨트리면서 동반자의 관계를 무너트려 원진살이 이루어진 형상이다. 寅목과 卯목의 木기인 나무가 성장해서 巳화가 있어야 뜻을 펼 수 있는데 이를 亥수가 “巳亥충”으로 깨트리니 공간이나 영역을 얻기 위하여 다시 노력을 해야 하는 상황이 된다. 亥수가 망가뜨린 형상이고 辰토의 외부접촉을 방해하니 준비를 다해놓고 영업, 허가, 실적이 없는 형상이라 아쉬움, 원망, 분노가 나타나게 된다. 亥수가 辰토를 만나면 木기와 火기의 강약에 따라 길흉(吉凶)의 정도가 다르게 된다. 火기가 약하다면 辰토의 “토극수(土克水)“의 작용이 안 되기 때문에 원진살(怨嗔殺)의 흉한 역작용이 강해지게 되니 막히고 중단되는 일을 통..

사주학 2021.06.17

묘신원진살

묘신(卯申) 원진살에 대하여 “卯申원진살(怨嗔殺)”은 암합(暗合)이라 변덕이 심하게 된다. 명(命)의 申금이 卯목운을 만나게 되면 일의 과정인 卯목 때문에 근본적으로 일이 틀어지고 다시 시작해야 되는 일이 발생하게 된다. 반대로 명(命)의 卯목이 申금운을 만나면 卯목 입장은 庚금을 활용해서 도화살(桃花煞) 끼가 오래 유지된다. 겉으로는 원진이라 해도 암합(暗合)이라 좋은 쪽으로 활용할 수 있으니 만약 申금이 관성 (官星)이라면 승진하고 결과도 얻게 되는 운이 되는 것이다. 강한 木기를 가지치기를 해서 卯목의 활동이 오래가니 卯목이 좋은 방향으로 간다. 卯목과 申금은 서로의 입장이 다르며 명(命)에 火기가 있으면 훨씬 좋게 된다. 申금은 장군귀신(將軍鬼神), 卯목은 도화살귀신(桃花煞鬼神)이다. “卯申원진살..

사주학 2021.06.16

인유원진살

인유(寅酉) 원진살에 대하여 “寅酉원진살(怨嗔殺)”을 설명함에 있어서 寅卯와 申酉의 음양합은 수평적인 음양합의 관계인데 이것을 충하니 이는 동료애가 깨져 상대방의 부실에 대한 원망과 서로 상대의 공을 알아주지 않는 것에 대한 서운함이 강해지면서 상대를 의심하고 통제하려고 하는 것이다. 반대로 마음에 들고 조건이 좋은 상대가 나타나면 합이 깨지면서 흉한 원진살(怨嗔殺)의 역작용이 발생하며 공격적인 성향이 나타나기도 함을 통변할 수도 있다. 寅목과 酉금의 인자론적 특성도 알아야 정확한 통변을 할 수 있는데 寅목은 생지(生支) 중에서도 발생, 시작의 의미가 가장 강해서 작용력이 빠르게 나타나니 명(命)에 “巳申형”이 있으면 寅목운에 빠르게 격발되는 운이 되는 것이다. 생지인 寅목은 무조건 시작하고 보는 특성이..

사주학 2021.06.15

난초꿈, 난초꽃꿈, 죽순꿈

난초꿈, 난초꽃꿈, 죽순꿈 ♠ 난초나 죽순을 보는 꿈은 자손이 귀한 집안에서 천신만고 끝에 자손을 얻게 되는 태몽이니 그 자손을 잘 키워달라는 조상님의 당부이며 나무 위에 난초꽃이 피어있는 꿈은 자손이 번창하여 집안, 가문 피어나는 아주 좋은 전조가 될 것이다. ♠ 난초의 꽃잎이 책갈피에 붙어 있었던 꿈은 역시 학문, 진리탐구, 합격, 입학, 승진, 당선, 명예, 행운 등을 암시하는 길몽으로 학생은 성적이 오르거나 시험에 합격하게 되며 직장인은 승진을 하고 일반적으로 정신적인 일을 하는 사람들에게 학문과 진리를 탐구하고 문학작품을 세상에 발표하고 좋은 반응을 얻게 된다. ♠ 난초꽃이 책상 위에 산뜻하게 피어 있는 꿈은 정신문화가 발달이 되고 왕성한 창작활동을 시작하는 징조가 되니 예술가나 문학가들에게는 ..

꿈해몽 2021.06.14

국화꿈, 국화꽃꿈, 하얀국화꿈, 하얀국화꽃꿈, 노란국화꿈, 노란국화꽃꿈

국화꿈, 국화꽃꿈, 하얀국화꿈, 하얀국화꽃꿈, 노란국화꿈, 노란국화꽃꿈 ♠ 국화가 탐스럽고 흐드러지게 피어있는 것을 보는 꿈은 애인이나 부부사이에 순조로운 애정생활을 지속하게 되는 길몽이고 거실이나 응접실에 국화가 산뜻하게 피어있는 꿈은 즐거운 모임이나 파티에 참석을 하게 되거나 좋은 결과가 있을 회의, 모임 등이 있을 것을 암시하는 꿈이다. ♠ 하얀 국화꽃이 바람을 타고 하늘로 올라가는 꿈은 합격, 입학, 취직, 당선, 승리, 명예, 학위취득, 성공, 재물 등을 암시하는 꿈으로 수험생은 합격하고 직장인은 승진하는 길몽이며 일반적으로 부귀공명(富貴功名)하게 되고 성취된 결과나 이름을 세상에 떨치게 되는 좋은 징조가 된다. ♠ 노란색의 국화 한송이를 손으로 잡는 꿈은 환경이나 분위기, 실내장식 등이 좋은 ..

꿈해몽 2021.06.13

축오원진살

축오(丑午) 원진살에 대하여 많은 신살을 거느리는 축오(丑午) 원진살(怨嗔殺)에 대하여 살펴보면 丑토가 午화를 만나게 되면 기초가 미비하니 다시 시작하라는 운이 되고 “윗사람의 혜택을 바라지 말고 스스로 노력하라!”는 통변을 해야 하는 것이다. 존경, 신념, 신앙 등이 깨지는 소외감, 배신감, 분노, 원망이 있고 상처가 깊어 메워지기가 어렵게 된다. 오행의 태과(太過)도 물론이지만 조후(燥候)가 불량하면 정신적인 피해가 더욱 크게 되고 이러한 “丑午원진살”은 변덕이 심하며 막무가내로 떼를 쓰는 미숙아와 같은 경향이 많다. ​ 왕지(旺支)의 “子酉파(破)”처럼 공주병이 있으며 육해살, 원진살, 귀문관살 그리고 탕화살이 겹쳐지는 “丑午원진살”에서 丑토는 폭발성이 있으니 원진살이 흉한 역작용이 아주 강력하게 ..

사주학 2021.06.12

자미원진살

자미(子未) 원진살에 대하여 ”子未원진살”은 “丑未충”으로 “子丑육합”을 깨트리는 것이니 “子丑육합”과 “午未육합”에 대해서 먼저 알고 있어야 충(沖)을 당하는 아픔의 “子未원진살(怨嗔殺)”을 자세하게 통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 궁위에 대한 의미와 육친, 육신 그리고 인자론을 대입하여 통변해야 할 것이다. “子未원진살“의 오행에 관한 통변은 子수가 未토를 만나면 子수의 준비, 계획하는 특성이 변질되니 丑토에게 물려주려던 것을 펼쳐 보지도 못하고 끝내거나 물러서야 하니 未토에 대한 원망과 아픔이 생기게 됨을 통변해야 한다. 열매를 맺게 하는 물질적, 실용적, 현실적인 음지(陰支)의 未토는 양지인 子수의 지적이고 정신적인 면을 무시하게 된다. “丑未충”으로 丑토를 보내버리니 子수는 未토에 대한 원망이 심..

사주학 2021.06.11

원진살

원진살(怨嗔殺)에 대하여 오늘은 사주학의 문외한도 한 번 정도는 들어보고 그 의미를 알고 있는 원진살에 대하여 공부해보자. 원진살(怨嗔殺)에는 “子未, 丑午, 寅酉, 卯申, 辰亥 그리고 巳戌”의 6 가지가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러한 원진살은 삼합(三合)과 충(沖)의 중간에 있는 지지와의 만남이니 중간 지점에서 애매한 소리를 하거나 심리적인 갈등이니 원망, 후회, 증오, 복수심 등이 심하게 되는 특징이 있게 된다. 지지의 음양합(陰陽合)은 상대성, 상의성(相依性), 공존성 등이 있으니 태생적이고 운명적인 합이 되며 사정(私情), 인연 등을 중요하게 여기는데 원진살(怨嗔殺)은 이 음양(陰陽)합을 충으로 깨뜨리는 것이다. 이러한 원진살에는 나의 반쪽을 밀어낸 것에 대한 아쉬움, 원망감, 미움, 상실의 아..

사주학 2021.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