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운법처방 261

20 대의 무인성(無印星)이고 신약한 여자에 대한 통변 - 2 / 2

20 대의 무인성(無印星)이고 신약한 여자에 대한 통변 - 2 / 2 ★ 전장에 이어 설명을 계속 합니다. 사회생활은 자격증을 따서 이에 근거한 활동을 해야 할 것이며 장기적인 안목이 필요하고 확인하면서 일을 진행해야 한다. 말년이 불안하니 노후를 위한 연금보험, 생명보험 등을 들어야 함도 대비책이 될 것이며 목돈이 생기면 부동산에 묻어 두고 잊어버리고 살아야 문제없는 말년을 보낼 것이다. 돈을 만드는 재주는 좋으나 재성을 갖게 되면 바로 “재생살(財生殺”)의 흉한 역작용에 시달리게 되니 너무 돈 욕심을 부리지 말아야 할 것이다. 식상(食傷)이 날뛰니 언행과 일을 추진하기 전에 한 번 더 생각을 해야 하고 주위의 조언을 경청해야 하며 매사를 한박자를 늦추면 좋다. 정상적인 절차를 밟아야 안정되니 어렵기는..

사주학 2021.06.09

20 대의 무인성(無印星)이고 신약한 여자에 대한 통변 - 1 / 2

20 대의 무인성(無印星)이고 신약한 여자에 대한 통변 - 1 / 2 신약한 일간의 20대의 여자에게 인성이 없다면 여러 가지 면에서 많은 걱정이 앞선다. 대표적인 폐해는 아래와 같으며 개속해서 이에 관한 개운법을 올려 본다. 1, 남자와의 대화통로가 없으니 이는 남자나 남편의 사랑을 받아들이고 사랑을 느끼는 통로가 없다는 것이고 남자를 사귀거나 결혼을 한다 해도 사랑을 느끼지 못하고 남편이 부담으로 다가온다. 2. 식상에 대한 제화가 없으니 생각없이 일을 벌리고 결국에는 결과물을 지키기가 매우 어려우며 설령 돈을 벌었다 하더라도 한 번에 날리게 된다. 또한 생각없이 말을 하고 행동을 하니 시행착오(試行錯誤)가 많고 남들에게 믿음을 주지 못한다. 3. 재생살(財生殺)의 역작용를 하니 남자에게 돈과 사랑과..

사주학 2021.06.08

개나리꿈, 개나리꽃꿈

개나리꿈, 개나리꽃꿈 ♠ 큰 바위 사이에서 아름다운 개나리꽃이 피어 있는 꿈은 횡재수, 예상하지 못한 행운, 귀인의 도움 등을 암시하는 꿈이며 일반적으로 집안에 재물이 쌓이고 의식주(衣食住) 등의 주변환경이 여유롭게 되는 길몽이 된다. ♠ 시냇가에 개나리꽃이 예쁘게 피어있는 것을 보는 꿈은 경사, 기쁨, 환희 등을 암시하고 문학가나 예술계통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예술작품이나 저서 등을 세상에 발표하여 주목을 받게 되며 또한 좋은 결과가 있는 길몽이 된다. ♠ 화창한 날, 담장 밑에 있는 개나리꽃이 활짝 피어있는 것을 보는 꿈은 본인이 속한 회사에서 승진, 영전 등을 하게 되고 집안에는 길경사가 생기게 되며 또한 자손의 앞길에 길한 일이 생기는 전조이니 일반적으로 만사형통(萬事亨通)을 의미하는 길몽이 된다...

꿈해몽 2021.06.07

호박꿈, 오이꿈, 수박꿈, 채소꿈

호박꿈, 오이꿈, 수박꿈, 채소꿈 ♠ 뱀이 큰 오이를 감고 있는 꿈은 다른 사람과 불륜을 맺게 되는 징조이고 무나 오이 등 길쭉하게 생긴 채소를 보는 꿈은 기다리고 있는 일에 관한 기쁜 소식을 듣게 되거나 원하던 매매가 이루어지는 길몽이 된다. ♠ 늙은 오이를 보는 꿈은 혼란스럽고 심란한 분위기 속에서 마음을 정리하게 되는 심적몽(心的夢)이고 호박이나 수박이 여기저기에 열려있는 꿈은 재물이나 일의 성과가 열린 숫자만큼의 결과를 얻게 되는 길몽이니 많은 수의 호박이나 수박이 있기를 바란다. ♠ 호박이나 오이밭에 인분이나 퇴비 등의 거름을 뿌리는 꿈은 연구를 위한 자금, 정신적, 시간의 투자 등을 하게 되는 징조이고 호박을 4 등분을 하였더니 그 안에 까만 씨가 가득 했던 꿈은 입시제도 개편에 관한 새로운 ..

꿈해몽 2021.06.06

미술파

未戌파(破)에 대하여 “未戌파(破)”에 대하여 살펴보면 “戌未형파(刑破)”는 파의 작용보다는 형(刑)이나 형살(刑殺)의 작용력이 더욱 강하게 나타나나 형이 되지 않으면 파(破)의 작용력이 나타나게 됨에 유의할 일이다. “戌未형”은 지세지형(地勢之刑)이니 戌토가 “申酉戌삼합”의 金기의 기운을 업고 未토 중의 중기인 乙목을 충(沖)함이 “戌未형(刑)”이니 그 작용력은 지지의 “卯酉충”과 비슷하다. 질병을 살펴보면 “戌未형살”이 되면 乙목이 당하게 되니 디스크, 좌골신경통, 신경쇠약 등의 질병에 시달리게 되고 배신감을 느끼는 일 등이 생기게 된다. “未丑형”은 未토 중의 초기인 丁화가 丑토 중의 중기인 辛금을 치게 되는데 이는 대운을 포함한 명(命)에 火기가 중중한 경우가 해당된다. 예를 들어 명(命)의 寅午..

사주학 2021.06.05

진축파

辰丑파(破)에 대하여 “辰丑파”는 “申子辰삼합”과 “巳酉丑삼합”의 추구하는 기운에 이어서 금생수(金生水)의 순작용을 기대하나 기대치와 목적치가 달라 상생관계가 이루어지지 않음을 의미한다. 계절적인 측면을 살펴보아도 丑토의 움추리는 기운과 辰토의 펼치는 기운이 서로 대치되어 파(破)의 작용인 갈등과 불화가 생기게 되는 辰토와 丑토는 서로에게 편안하지 않은 조합이 되는 것이다. 土기의 특성상 들어내지 않으니 “丑辰파(破)”는 서로 들어내지 않고 밀고 당기다가 갈등이 더 깊어지게 된다. 명(命)의 丑토에 辰토운은 무리한 일을 시도해서 손재수를 입게 되어 원점으로 돌아가는 일이 발생하고 반대로 명의 辰토가 丑토운을 만나면 협력자인 줄 알았는데 방해자처럼 느껴지니 없던 것으로 하는 일이 생기게 된다. 명(命)에 ..

사주학 2021.06.04

인해파와 묘오파에 대하여

寅亥파(破)와 卯午파(破)에 대하여 6 개의 파(破) 중에 “寅亥파”의 작용력이 가장 약하나 형충파(刑沖破)가 섞이게 되면 피해가 심각하게 된다. 선합후파(先合後破)이니 “寅亥육합”을 하더라도 “寅亥파(破)”도 대기상태가 되며 申금과 巳화의 충(沖)운이 오게 되면 파(破)의 작용력이 함께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寅목의 입장은 합(合)의 작용이고 亥수의 입장은 파(破)의 작용을 하며 반대로 “寅申충” 에서 子수가 있고 亥수가 오게 되면 寅목이 도기 당하게 되고 이러한 경우에는 파의 역작용이 나오게 되니 이는 寅목의 “목생화(木生火)”의 순작용을 막을 때 일어나는 현상이다. “寅亥육합”이 있고 子수만 있으면 寅목의 파(破)의 작용이 일어나지는 않으나 申금이 와서 “寅申충”을 하게 되면 寅목의 파(破)의 작용이..

사주학 2021.06.03

자유파(子酉破)

자유파(子酉破)에 대하여 왕지와 왕지가 만나는 ”子酉파(破)“는 상생이기는 하나 절충, 타협이 불가하니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자”는 의미가 된다. 명(命)에 金기가 왕하면 금생수(金生水)의 역할은 약하고 금다수탁(金多水濁)을 하게 되니 이것이 파(破)의 흉한 역작용이며 반대로 水기가 왕하게 되면 수다금침(水多金沈)이니 역시 파(破)의 역작용이 우려되는 상황인 것이다. 酉금이 子수를 만나면 불편하고 서로 목적이 다르기 때문에 불협화음(不協和音), 불안정, 약속위반, 신용추락, 다시 시작, 배신감 등이 생기게 된다. 명(命)에 파(破)가 있는 상황에서 또 파운이 오게 되면 응기(應氣)가 되고 파(破)의 역작용이 가중된다. 질병은 酉금이 세균, 발효, 효소 등을 의미하니 子수가 변질되어 子수에 문제가 생기게 ..

사주학 2021.06.02

파의 의미와 활용

파(破)의 의미와 활용 파(破)의 조합은 삼합(三合)과 충의 중간이 되니 이는 잘못된 만남을 의미하고 원점이나 시작점으로 다시 회귀하는의미가 있으며 ”巳申파“, ”寅亥파“, ”子酉파“, ”卯午파“, ”未戌파“, 그리고 ”辰丑파“의 6 종류가 있으니 일명 6 파(破)라고 한다. 예를 들어 ”子酉파“에서 子수는 ”申子辰삼합“으로 水기를 추구하고 酉금은 ”巳酉丑삼합“으로 金기를 추구하니 서로 추구함이 달라서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고자 하니 이는 재발, 정리, 헤어짐, 분리, 방해, 지우자는 의미와 서로 책임을 미루고 상대방의 탓함 등을 통변할 수 있는 것이다. 모든 파는 4 칸 즉, 4살 차이로 이는 서로 유혹을 잘 하기는 하나 12 지지에서 4 단계의 차이는 좋은 조합이 없으니 역시, 일방의 오행이 태과하면 ..

사주학 2021.06.01

진오유해 자형

진진(辰辰), 오오(午午), 유유(酉酉), 해해(亥亥)의 자형(自刑)에 대하여 진진(辰辰), 오오(午午), 유유(酉酉), 해해(亥亥)의 자형은 형과 충의 작용력에서 빠져나와 스스로 행하는 형살이 된다. 실제적인 사건사고보다는 주로 심리적인 갈등이 많으니 자책감, 불안, 초초, 고독하게 된다. 세력 간의 갈등이 없더라도 월지(月支)나 오행의 편중 그리고 조후불량 등의 이유로 흉한 형살(刑殺)이 된다. 자형(自刑)이 쌍(雙)으로 있으면 아주 흉한 역작용을 하게 되니 이는 자해, 자학행위 등으로 불구자나 정신박약아가 됨을 통변할 수 있으며 쌍둥이, 장애아, 기형아를 출산하거나 중도에 실명(失明)할 수도 있으니 대운을 포함하여 형살의 역작용의 개연성이 보이면 각별히 조심을 해야 할 것이다. ”辰辰자형“은 명(命..

사주학 2021.0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