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국론 107

격국용신과 억부용신 그리고 조후용신

격국용신과 억부용신 그리고 조후용신 이 시간에는 억부용신, 격국과 격국용신 그리고 조후용신에 관한 중요한 사항과 통변의 관점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의 내용을 알기 위해서는 먼저 명(命)을 파악해야 하는데 월지를 중심으로 궁성(宮星), 궁위(宮位), 육신이 중요하게 된다. 천간은 드러나 보이는 일, 공적인 일, 정신적인 일, 사회적인 사건의 육신통변에 중점을 두니 결과론적, 성패, 명예 등에 관한 일이 천간이며 지지는 현실적, 물질적, 환경적, 육체적인 일이다. 지지는 충극과 합, 궁위, 오행, 육신이 통변의 순서가 될 것이다. 대표적인 용신은 조후용신, 격국용신 그리고 억부용신이 있으며 용신이 합(合)과 충(沖)이 되면 결과, 결실 등이 지연되고 조후가 불량하면 설령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편안하게..

격국론 2021.01.28

양인격 - 3 / 3

양인격에 대하여 - 3 / 3 ★ 전 장에 이어 양인격에 대한 설명을 계속 합니다.^^ 일간이 너무 강하니 중인(重刃)이 되어 있으면 제화가 잘 되어야지 아니면 피해가 본인 뿐만 아니라 주변인, 타인에게도 미치게 된다. 사회적인 일을 못하게 되면 사회적인 중범죄인이 되거나 아니면 본인에게 중증장애가 오게 되며 양인이 2 개라도 이에 걸맞는 관살이 힘이 있으면 만인의 추앙을 받는 큰 인물이 된다. 양인격은 개인적인 조직, 파벌, 인맥 등을 잘 만들고 이를 활용하는 능력이 뛰어나나 고집, 오기, 자만 때문에 망하는 경우가 많으니 정상에 있다면 내려갈 시기를 신중하게 가늠해야 할 것이다. 양인에 편관이 있으면 일확천금(一攫千金), 투기, 사기, 도박, 한탕 등의 기질이 다분하며 불법, 편법 등의 가능한 방법을..

격국론 2021.01.27

양인격 - 2 / 3

■ 양인격 - 2 / 3 ★ 전 장에 이어 양인격에 대한 설명을 계속 합니다. ^^ 양인격은 극처(剋妻), 극부(剋父) 중에 하나가 혹은, 재물과 건강 중에 하나가 희생되니 재물이 없으면 건강은 타고 난다. 천성적으로 외로운 고독지명(孤獨之命)이나 불굴의 정신, 강한 추진력이 장점이니 큰 실패가 큰 성공의 밑거름이 될 것이며 한가지 일에 매진하면 결국에는 성공하고야 마는 전문가의 기질이 있다. 재성과 일간을 보호하는 관살이 튼튼하면 굴곡은 없으며 관살이 강력한 힘을 발휘하게 된다. 양인격에 정관을 쓰게 되면 극히 개인적으로 흐르게 되나 난세의 영웅을 만드는 편관은 대중적, 공익적, 전체적인 사회생활을 하게 된다. 양간은 편관을 선호하나 양간 중에 丁화정관을 그나마 잘 활용하는 것이 庚금 일간이며 음간의 ..

격국론 2021.01.26

양인격 - 1 / 3

■ 양인격에 대하여 - 1 / 3 양인격의 명(命)은 항상 라이벌, 경쟁자가 있는 상황에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전투적인 성향으로 변하게 되며 양인격에는 운명의 기복과 다단함은 필연이며 한 번 정도는 대패, 좌절을 겪어야 비로소 대승을 하고 성공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시련, 대패, 좌절 후에는 전문가적인 자질이 생기게 되며 자신감, 자존심, 보스기질, 승부욕이 강하고 불굴의 정신력이 시련을 겪을수록 점점 강해지게 된다. 권력지향적, 유아독존(唯我獨尊), 자만심, 아집, 독선적이고 인간관계가 치밀하며 배신자를 용납하지 않고 의리를 중요하게 생각을 한다. 이러한 이유로 불통(不通)이기는 하나 신세를 지면 반드시 2 배로 갚고 씀씀이가 크며 자유분방, 프리랜서의 기질이 있다. 편관으로 제화되면 아주 길..

격국론 2021.01.23

건록격

■ 건록격에 대하여 건록격은 건록(建祿), 일록(日祿), 귀록(歸祿)으로 궁위를 구분하고 역시, 비견과 건록격의 차이점과 다른 활용방법을 구분해야 한다. 음간인 丁화와 己토는 午화월지가 건록이 되고 丑토와 未토는 비견이 되며 그 활용과 쓰임새는 다르게 되니 비견이 체(体)이면 건록은 용(用)이 되는 것이고 이는 양인도 마찬가지다. 건록은 순수, 단순, 당당한 주관이 정관과 비슷하고 반듯, 성실하며 궤도이탈(軌道離脫)을 하지 않는다. 양인은 제화하는 관성이 있으면 양인이고 없으면 겁재보다 강한 양인살(陽刃殺)이니 파격이 되고 비견이 혼잡되면 더욱 심한 파격이 된다. 건록은 관성이 없어도 자체가 정관작용을 하니 이는 정관, 편관, 식상을 활용할 수 있다는 의미이며 건록격도 비겁이 섞여 있으면 흉하게 된다. ..

격국론 2021.01.22

정인과 편인

■ 정인과 편인 정인은 받을 수(受)이니 수용능력, 합리적, 보수적, 안정적, 지속적인 의미가 강하고 “닦을 수(修). 줄 수(授), 지킬 수(守)”인 인수(印綬)는 가문, 법통 등을 유지하고 이어가는 정통성이니 이를 바꾸는 상관과 편인을 가장 싫어한다. 편인은 취사선택해서 수용하며 퓨전(Fusion)이 되고 편재의 제화를 받는 편인은 실용적인 편인이 된다. 이러한 정인의 대표적인 작용력을 정리해보면 아래와 같다. 1) 정인은 일간과 비겁을 균등하게 생하나 편인은 겁재부터 생하고 겁재가 없으면 일간을 생하게 되니 이런 경우에는 정인처럼 안정적, 지속성이 있게 생해 줌을 의미한다. 일간의 입장도 비겁이 왕하면 정인의 작용력이 분산되고 왜곡된다. 신왕한 일간에 정인격은 윗사람의 충고를 거부하고 수용력, 인내..

격국론 2021.01.21

편인의 물상론적 접근 - 2 / 2

■ 편인의 물상론적 접근 - 2 / 2 ★ 전장에 이어 편인(偏印)에 관한 물상론적 접근에 대한 설명을 계속합니다. !! 庚戊편인 - 일을 해도 일반적인 접근방식과 다르며 비현실적, 독특한 생각이 있고 현실성이 떨어지며 의심이 많다. 힘이 동등하다면 본능적으로 출력되는 水기식상이 방해를 받게 되며 또한, 戊토편인인 산이 깊을수록 빛이 들어오지 못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金기일간들은 土기인성이 왕해 짐을 원하지 않으며 특히, 癸수상관을 “戊癸합거”하기 때문에 戊토편인을 좋아하지 않는다. 10 천간 중에서 출력하려는 의지가 가장 왕성한 庚금일간은 활동력이 약해지는 戊토편인을 싫어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戊토편인의 흉한 역기능을 제화시키는 甲목편재가 있으면 현실감이 생기게 되고 또한, 활동력이 살아나게 되니..

격국론 2021.01.20

편인의 물상론적 접근 - 1 / 2

■ 편인의 물상론적 접근 - 1 / 2 전장에서 편인(偏印)에 대한 공부를 충분히 하셨기를 바라며 편인에 관한 오행의 물상에서 많은 그림을 그려내고 이를 통변에 활용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보면서 제한된 시간과 지면상 간단한 설명을 하니 보다 자세한 내용은 본 블러그의 천간물상론(天干物像論)에서 궁구하기를 바란다. 甲壬편인 - 정신적, 이론적, 전체적인 양간과 양간의 조합이니 전형적인 편인이 되며 甲목일간은 火金식관이 왕한 사목이든 水木인비가 왕한 생목이든 壬수편인을 잘 활용한다. 巳월에서 戌월까지의 "甲癸정인"은 癸수정인이 약하니 사목인 甲목일간이 썩어버릴 우려가 있으나 "甲壬편인"은 壬수편인을 잘 활용하며 깊이가 있고 독특한 기술, 학문을 하는 것이다. 土기재성의 유무로 실용성을 살피나 편인격..

격국론 2021.01.19

정인의 물상론적 접근 - 2 / 2

■ 정인의 물상론적 접근 - 2 / 2 ★ 지면상 간단히 설명하니 물상론에 대한 깊은 공부를 원한다면 본 블러그의 천간물상론(天干物像論)을 궁구하시기를 바라며 전장에 이어 정인의 물상론적 접근에 대한 설명을 계속합니다.^^ 己丙정인 - 己토와 丙화는 木기관성을 키우는 공통적인 목적이 있으니 조직이나 직장생활을 잘하는 정인다운 정인이며 실력이 들어나고 전체적이고 공적인 己토일간이 된다. 온도와 습도가 잘 맞으니 木기관성 즉, 나무를 키우기에 알맞은 옥토이고 관인상생(官印相生)을 가장 잘 하는 조합이 된다. 드러내는 丙화정인의 특성에도 불구하고 습토인 己토일간이 키우는 甲목정관을 위하여 희생하는 丙화 정인이고 착실, 성실, 치밀, 실력이 있는 명(命)이 된다. 만약, 丙화정인이 없으면 甲목정관은 성장을 못하..

격국론 2021.01.16

정인의 물상론적 접근 - 1 / 2

■ 정인의 물상론적 접근 - 1 / 2 정인(正印)이라고 다 같은 정인이 아닌 것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정인에 관한 물상론에서 알 수 있다. 물론 물상론을 공부하기에 앞서 오행에서 뿜어져 나오는 인자론(因字論)의 의미와 정인에 대한 특징 그리고 대운를 포함한 명(命)의 주변환경에 따라 변하는 정인의 작용력에 대하여 충분히 숙지하고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제한된 시간과 지면상 간단히 설명하니 물상론에 대한 깊은 공부를 원한다면 본 블러그의 천간물상론 (天干物像論)을 궁구하기를 권한다. 甲癸정인 - 순작용을 하는 대표적인 정인이며 이론적, 직선적인 甲목일간이 癸수정인을 만나게 되면 현실적이고 실용적으로 변하게 되며 또한 그러한 생각을 하게 된다. 전문성이 생기고 대처능력이나 대비책을 잘 세운다. 丙화식신이 있..

격국론 2021.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