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미(子未)와 축오(丑午) 원진살에 대하여 ■ 자미(子未)와 축오(丑午) 원진살에 대하여 ”子未원진살”은 “丑未충”으로 “子丑육합”을 깨트리는 것이니 “子丑육합”과 “午未육합”에 대해서 먼저 알고 있어야 충(沖)을 당하는 아픔의 “子未원진살(怨嗔殺)”을 자세하게 통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 궁위에 대한 의미와 .. 사주학 2019.09.22
원진살(怨嗔殺)에 대하여 ■ 원진살(怨嗔殺)에 대하여 오늘은 사주학의 문외한도 한 번 정도는 들어보고 그 의미를 알고 있는 원진살에 대하여 공부해보자. 원진살(怨嗔殺)에는 “子未, 丑午, 寅酉, 卯申, 辰亥 그리고 巳戌”의 6 가지가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러한 원진살은 삼합(三合)과 충(沖)의 중간에 있.. 사주학 2019.09.18
무인성(無印星)이고 신약한 20 대의 곤명(坤命)에 대한 뻔한 통변 ■ 무인성(無印星)이고 신약한 20 대의 곤명(坤命)에 대한 뻔한 통변 인성을 의미하는 멘토, 신앙생활, 부모, 공부, 학교 등과의 인연이 약하고 여기에 대한 가치관이 왜곡되거나 결여되어 있으며 살아가면서 이로 인한 살기(殺氣)가 뻗치게 된다. 개운법으로는 신앙생활, 윗사람, 효도, 조.. 사주학 2019.09.16
辰丑파(破)와 未戌파(破)에 대하여 ■ 辰丑파(破)와 未戌파(破)에 대하여 “辰丑파”는 “申子辰삼합”과 “巳酉丑삼합” 이어서 금생수(金生水)의 순작용을 기대하나 기대치와 목적치가 달라 상생관계가 이루어지지 않음을 의미한다. 계절적인 측면을 살펴보아도 丑토의 움추리는 기운과 辰토의 펼치는 기운이 서로 대.. 사주학 2019.09.15
子酉파(破), 寅亥파(破), 그리고 卯午파(破)에 대하여 ■ 子酉파(破), 寅亥파(破), 그리고 卯午파(破)에 대하여 파(破)의 종류에는 ”巳申파“, ”寅亥파“, ”子酉파“, ”卯午파“, ”未戌파“, 그리고 ”辰丑파“가 있으며 이러한 파(破)의 조합은 삼합(三合)과 충의 중간이니 이는 잘못된 만남을 의미하고 시작점으로 돌아가자는 의미가 있.. 사주학 2019.09.13
子卯상형(相刑)과 진진(辰辰), 오오(午午), 유유(酉酉), 해해(亥亥)의 자형(自刑)에 대하여 ■ 子卯상형(相刑)과 진진(辰辰), 오오(午午), 유유(酉酉), 해해(亥亥)의 자형(自刑)에 대하여 ”子卯상형“은 水기와 木기의 형살이니 水기나 木기 중에 한 쪽의 기운이 혼잡이나 태과로 치우치거나 조후가 불량하여 한습하게 되면 상대 쪽의 작용을 무력하게 만들어 형살의 흉한 역작용.. 사주학 2019.09.09
寅巳申 무은지형(無恩之刑)과 丑戌未 지세지형(地勢之刑)에 대하여 ■ 寅巳申 무은지형(無恩之刑)과 丑戌未 지세지형(地勢之刑)에 대하여 “寅巳申삼형”에서 寅巳는 "寅午戌 + 巳午未"에서 火기가 지나쳐서 발생하는 형살이 되며 巳申은 "巳酉丑 + 申酉戌"에서 왕한 金기가 지나쳐서 발생하는 형살이 된다. 형살의 흉한 역작용이 나오게 되면 지나친 과욕.. 사주학 2019.09.07
형(刑)과 형살(刑殺)의 차이점에 대하여 ■ 형(刑)과 형살(刑殺)의 차이점에 대하여 형(刑)과 형살(刑殺)은 삼합과 방합이 서로 오행의 태과로 인해 생기는 현상을 의미하며 길한 의미의 사용은 형(刑)의 순작용이고 흉한 의미의 사용은 형살(刑殺)의 역작용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삼합은 사회적인 목적을 지향하고 방합은 공동체.. 사주학 2019.09.03
“辰戌충”과 “丑未충”에 대하여 ■ “辰戌충”과 “丑未충”에 대하여 “辰戌충”은 붕충(朋沖)이고 토충유왕(土沖有旺)이라 土기는 다침이 없으나 지장간(地藏干)의 水기와 火기, 金기와 木기의 상전(相戰), 즉 싸움이 된다. 이는 변화의 시기를 알려주니 올라갈지 내려갈지, 심을지 거둘지, 그리고 나갈지 머물지를 알.. 사주학 2019.09.01
“子午충”과 “卯酉충”에 대하여 ■ “子午충”과 “卯酉충”에 대하여 왕지끼리의 충은 水기와 火기, 金기와 木기의 싸움이 된다. “子午충”은 子수가 寅午戌로 삼합된 午화를 충하게 되면 午화의 사회적인 결합과 목적에 충격을 가하는 것이고 巳午未로 방합된 午화를 충하면 午화의 친목, 배경 등깨짐을 의미한다. .. 사주학 2019.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