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인성(無印星)이고 신약한 20 대의 곤명(坤命)에 대한 뻔한 통변
인성을 의미하는 멘토, 신앙생활, 부모, 공부, 학교 등과의 인연이 약하고 여기에 대한 가치관이 왜곡되거나 결여되어 있으며 살아가면서 이로 인한 살기(殺氣)가 뻗치게 된다. 개운법으로는 신앙생활, 윗사람, 효도, 조상섬김 등을 반드시 실행을 하여야 하고 자신을 믿고 자립하는 수 밖에 없다.
인생의 준비와 계획을 반드시 세워야 하고 이 계획에 따라 사고하고 움직여야 하며 메모하는 습관이 중요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인내심, 지구력이 약하고 남자와 제도권(官星)의 혜택을 받기 힘들며 순일하지는 않으나 출력은 좋고 입력이 약한 형상이다.
평생을 살아가면서 남자로 인한 피해가 크게 되니 조심에 조심을 할 일이고 주기만하고 배신을 당하게 되며 미래에 대한 피해의식이 있게 된다. 인허가 등 부동산의 매매에는 관재수(官災數)가 따르니 반드시 본인이 직접 확인하고 도장을 찍어야 할 것이다. 참을 인(忍)자 셋이면 살인도 면하게 되니 이를 반드시 명심하고 살아야 한다.
사회생활은 자격증을 따서 이에 근거한 활동을 해야 할 것이며 장기적인 안목이 필요하고 확인하고 일을 진행해야 한다. 말년이 불안하니 노후를 위한 연금보험, 생명보험 등을 들어야 함도 대비책이 되고 금전이 생기면 부동산에 묻어 두고 잊어버리고 살아야 문제없는 말년을 보낼 것이다.
食傷이 날뛰니 언행과 일을 추진함에 있어서 한 번 더 생각을 하고 주위의 조언을 경청해야 하며 한 박자를 늦추면 좋다. 정상적인 절차를 밟아야 안정되니 어렵기는 하나 참선(參禪), 명상(冥想), 묵언(默言), 수행 등이 살아가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남편과의 관계를 원만하게 유지해야 부부해로를 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부모, 선배, 윗 사람 등의 혜택이나 도움이 없으나 있게 되면 바로 뜰 수 있고 크게 된다. 입력에 주의를 기울이고 반드시 증이나 자격을 획득해서 사회활동을 해야 하며 돈을 만드는 재주는 좋으나 재성을 갖게 되면 바로 “재생살(財生殺”)의 흉한 역작용에 시달리게 되니 돈 욕심을 피우지 말아야 할 것이다.
배우자는 소통할 수 있는 사람이 절실하니 반드시 궁합을 보아서 결혼을 할 일이며 명(命)에 합(合)이 많으면 연예결혼을 하게 되고 신약하니 록지(祿支)의 띠와 결혼을 하게 되면 남편의 도움이 있게 되고 또한 길하게 될 것이다.
水기가 없으면 조열하니 모든 것이 급하게 된다. 일간이 극신약하고 인성(印星)이 없으면 “재생살(財生殺)”의 흉한 역작용이 나타나게 되며 여기에 합(合)이 많게 되면 인물이 좋고 다정한 것이 화근이 된다.
왕한 식상(食傷)은 섹스어필(Sex-appeal)을 의미하나 일간이 신약하면 이를 감당하기 어려우며 대운을 포함한 명(命)에 水기가 없으면 즉, 조열하게 되면 매사가 급하고 인성 (印星)이 없으니 생각이나 계획없이 일을 저지른다. 특히 火기가 공망(空亡)이면 잘 타고 빛나나 금방 꺼진다.
파격이 되면 조후용신이나 억부용신을 사용해서 통변을 해야 하며 신약재다(身弱財多)의 명(命)에서는 재성(財星)의 활동을 크게 할수록 “재생살(財生殺)”의 흉한 역작용이 발생하니 사는 것이 점점 고달프게 됨이 일반적이다.
이상으로 “극 신약하고 인성이 없는 20 대의 여자에게 해 줄 수 있는 통변과 개운법”에 대해서 적어 보았는데 문점자가 남자인지, 몇 살인지, 무슨 일을 하는지 그리고 대운을 포함한 명(命)에서 일간이 신약한지 신왕한지, 그리고 다른 육신과의 관계는 어떤지에 따라 선택된 통변과 개운법을 말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점술의 일종인 일진법(日辰法)을 통해서 현재 이 사람의 처해진 상황과 무슨 일로 철학관을 방문을 했는지를 미리 알고 통변에 임하게 되면 문점자(問占者)에게 유익한 통변을 120%를 해 줄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노파심에서 하는 말인데 최소한 이 정도의 공부와 실력을 갖추어서 말이 줄줄 나와야지 남의 운명을 예견해 주고 개운법도 처방할 수 있으며 또한 작명도 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즉 한 마디를 하려면 머릿속에는 100 마디를 알고 있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
'사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미(子未)와 축오(丑午) 원진살에 대하여 (0) | 2019.09.22 |
---|---|
원진살(怨嗔殺)에 대하여 (0) | 2019.09.18 |
辰丑파(破)와 未戌파(破)에 대하여 (0) | 2019.09.15 |
子酉파(破), 寅亥파(破), 그리고 卯午파(破)에 대하여 (0) | 2019.09.13 |
子卯상형(相刑)과 진진(辰辰), 오오(午午), 유유(酉酉), 해해(亥亥)의 자형(自刑)에 대하여 (0) | 2019.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