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간(天干)과 지지(地支), 그리고 지장간(支藏干)의 관계에 대하여 ■ 천간(天干)과 지지(地支), 그리고 지장간(支藏干)의 관계에 대하여 드러난 천간과 지지는 비교적 쉽게 파악할 수 있으니 천간은 단순하고, 정신적, 공적, 대중적이다. 상대적으로 천간보다 다소 복잡한 지지는 천간의 기운을 받아서 간직하고 있으니 여기에서 “간직한다”함은 바로 .. 사주학 2019.10.22
양간과 음간의 육합과 申금과 酉금의 직업에 대한 통변 ■ 양간과 음간의 육합과 申금과 酉금의 직업에 대한 통변 甲丙戊庚壬의 양간은 ”편재와 정인“이 육합을 하고 乙丁己辛癸의 음간은 ”정재와 편인“이 육합을 하니 음간과 양간을 구분한 특징과 편재, 정인, 정재의 자세한 사항을 미리 알고 있어야 하며 또한, 각 천간의 통근의 강약.. 사주학 2019.10.20
식신(食神)과 상관의 육합에 관한 통변 ■ 식신(食神)과 상관의 육합에 관한 통변 천간의 육합을 통변하는 경우에는 경우의 수를 구분해야 하는 바, 이는 명(命)에 육합이 되어 있는지, 운에서 육합이 되는지, 또는 일간이 육합이 되는지와 일간을 제외한 천간이 육합이 되는 지를 먼저 구분하고, 그리고 어느 오행의 통근력이 .. 사주학 2019.10.16
비견과 겁재의 육합에 관한 통변 ■ 비견과 겁재의 육합에 관한 통변 양간(陽干)이나 양간의 비견은 정재(正財)와 육합을 하고 음간(陰干)이나 음간의 비견은 정관(正官)과 육합을 하게 되니 투합이나 쟁합에 관한 사건사고는 양간과 음간을 구분하여 통변을 해야 하는 것이다. 자신감, 주체성, 추진력, 고집 등을 의미하.. 사주학 2019.10.14
생왕묘지(生旺墓支)의 각기 다른 작용력에 대하여 ■ 생왕묘지(生旺墓支)의 각기 다른 작용력에 대하여 생지(生支)인 寅巳申亥는 사생지(四生地), 사맹지(四孟地)라고도 하며 준비, 역마살, 개척, 시작, 창조 등의 의미가 강하다. 이러한 생지는 계절의 시작을 의미하니 寅목은 봄, 巳화는 여름, 申금은 가을 그리고 亥수는 겨울의 시발점 .. 사주학 2019.10.09
지지에 있는 5 종류의 합과 년지(年支)의 중요성에 대하여 ■ 지지에 있는 5 종류의 합과 년지(年支)의 중요성에 대하여 모두가 아는 것처럼 지지에는 삼합, 방합, 육합, 암합(暗合)의 4 개의 합에다 천간과 지장간의 본기와 육합을 하는 자화간합(自化干合), 모두 5 종류의 합이 있다. 음양합이나 전문성의 합 등의 특별한 합이 있으나 이는 나중에 .. 사주학 2019.10.07
천간에서의 작용력과 화기격 그리고 “천간(天干)육합”의 특성에 대하여 ■ 천간에서의 작용력과 화기격 그리고 “천간(天干)육합”의 특성에 대하여 전장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세운이나 대운이 천간을 “합(合)하고, 충(冲)하며, 극(克)을 하고, 설기(洩氣)하며, 생(生)하는” 5 가지의 작용력을 미리 파악하고 있어야 운의 통변이 쉬워지게 되는 것이다. 예를 .. 사주학 2019.10.05
길흉(吉凶)과 시의성(時宜性)에 관여하는 조후, 그리고 음양오행의 활용에 대하여 ■ 길흉(吉凶)과 시의성(時宜性)에 관여하는 조후, 그리고 음양오행의 활용에 대하여 대운과 세운을 포함한 사주팔자(四柱八字)를 통변하는 기본은 木기, 火기, 土기, 金기, 그리고 水기인 5 행의 변화를 보는 생극제화(生剋制化)의 작용과 지지의 변화를 보는 합형충파해 (合刑冲破害)의 .. 사주학 2019.10.01
진해(辰亥)와 사술(巳戌) 원진살에 대하여 ■ 진해(辰亥)와 사술(巳戌) 원진살에 대하여 “辰亥원진살”은 “辰巳음양합”을 戌토와 亥수가 충을 해서 음양합을 깨트리면서 동반자의 관계를 무너트려 원진살이 이루어진 형상이다. 木기인 나무가 성장해서 巳화가 있어야 뜻을 펼 수 있는데 이를 戌토와 亥수가 깨트리니 공간이나.. 사주학 2019.09.29
인유(寅酉)와 묘신(卯申) 원진살에 대하여 ■ 인유(寅酉)와 묘신(卯申) 원진살에 대하여 “寅酉원진살(怨嗔殺)”을 설명함에 있어서 寅卯와 申酉의 음양합은 수평적인 음양합의 관계인데 이것을 충하니 이는 동료애가 깨져 상대방의 부실에 대한 원망과 서로 상대의 공을 알아주지 않는 것에 대한 서운함이 강해지면서 상대를 의.. 사주학 2019.0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