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관(財生官) 혹은 재생살(財生殺)에 대하여 ■ 재생관(財生官) 혹은 재생살(財生殺)에 대하여 겁재(劫財)를 충분히 제화하는 정관(正官)이 있으면 열심히 노력하고 살아가는 일간이니 정재라도 편재(偏財)성분을 띠게 되고 겁나는 재물이 된다. 정재(正財)에게는 군비쟁재가 해당되지 않고 공동소유가 된다. 군비쟁재의 상대육신은 .. 사주학 2019.12.03
상관견관(傷官見官)과 상관합살(傷官合殺)에 대하여 ■ 상관견관(傷官見官)과 상관합살(傷官合殺)에 대하여 상관견관을 하게 되면 정신적인 반항, 괘도이탈, 탈선, 심각한 관재구설(官災口舌), 파격적, 제멋대로 함 등을 의미하고 양간과 음간의 상관(傷官)은 그 작용력이 각기 다르게 되니 그 차이점을 잘 살펴보아야 한다. “음간은 칠살과.. 사주학 2019.12.02
식신제살(食神制殺)에 대하여 ■ 식신제살(食神制殺)에 대하여 식신제살은 칠살(七殺)이나 귀살(鬼殺) 즉, 일간에게 도움이 안 되는 것, 위험한 것을 방어, 준비, 물리치는 것 등을 의미하며 살(殺)은 질병, 사고, 시달림을 주는 것 등을 의미하니 식신제살은 이를 물리치거나 대비하는 블랙박스, 보험, 병원, 건강검진 .. 사주학 2019.12.01
상관생재(傷官生財)와 힘의 균형에 대하여 ■ 상관생재(傷官生財)와 힘의 균형에 대하여 식신생재(食神生財)는 관성(官星)까지 배려하나 상관생재는 오직 재성(財星)에 대한 집착, 욕심이 강하며 수단이 좋고 불법성과 편법성이 가미되어 있다. 재물에 대한 노예가 될 여지가 많으며 상관패인(傷官佩印)이 되지 않으면 과욕, 불법, .. 사주학 2019.11.29
정인(正印)과 편인(偏印)에 대하여 ■ 정인(正印)과 편인(偏印)에 대하여 “인(印)”은 증명서를 받으려고 무릅을 꿇고 있는 형상이고 도장, 확인, 부모, 윗사람, 스승, 멘토, 성직자, 공부, 실력, 자격, 증, 생각, 계획, 미래, 약속, 확인, 문서, 서류, 증서, 받을 受, 줄 授, 닦을 修, 지킬 守, 證, 끈 綬, 印綬, 이어지니 인연, 전.. 사주학 2019.11.28
정관(正官)과 편관(偏官)에 대하여 ■ 정관(正官)과 편관(偏官)에 대하여 “관(官)”의 의미는 벼슬, 명예, 자리, 법, 책임, 직장, 멍에, 굴래, 빚 등을 의미하고 관직이 높으면 큰 멍에와 굴레가 있고 애증이 교차하게 됨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관성(官星)이 命에 없으면 일간을 통제, 조절 그리고 관리를 해 줌이 없게 되니 리.. 사주학 2019.11.27
정재(正財)와 편재(偏財)에 대하여 ■ 정재(正財)와 편재(偏財)에 대하여 같은 재성(財星)이라도 오행 별로 의미하는 재성의 속성이 모두 다르고 또한, 정성인 정재(正財)와 편성인 편재(偏財)의 차이점도 크게 된다. 오늘은 세밀한 통변을 위한 밑 그림이 되는 정성(正星)과 편성(偏星)의 차이점을 설명하니 이를 잘 궁구하.. 사주학 2019.11.26
상관(傷官)에 대하여 ■ 상관(傷官)에 대하여 오늘 설명하고자 하는 상관은 일간이 생하는, 혹은 일간을 설기(洩氣)하는 음(陰)과 양(陽)이 다른 육신(六神)을 의미하고 그 자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 귀여운 악동의 이미지가 있는 상관의 모든 것에 대한 궁구(窮究), 진지한 시간이 되길 바란다. 상관(傷官)에.. 사주학 2019.11.25
식신(食神)에 대하여 ■ 식신(食神)에 대하여 식신(食神)은 일간이 생하는 음양(陰陽)이 같은 육신(六神)을 의미하며 음양이 다르면 상관(傷官)이 된다. 그 자세한 내용과 작용력 그리고 특징은 아래와 같다. 우선은 “식(食)“에 대한 다양한 의미를 알아야 하니 식(食)자는 “사람 人과 좋을 良”의 합자이며 .. 사주학 2019.11.22
겁재(劫財)에 대하여 ■ 겁재(劫財)에 대하여 겁재(劫財)는 일간과 음양이 다른 육신(六神)을 의미하며 음양이 같으면 비견(比肩)이 된다. 그 자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 먼저 “겁(劫)”에 대한 다양한 의미를 읽어야 하는데 여기에는 겁탈할, 빼앗을, 빼앗길, 강제할, 경쟁할, 위협할, 힘을 가지고, 경쟁할, 승.. 사주학 2019.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