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목상전 10

십신(十神)과 재성운의 통변

■ 십신(十神)과 재성운의 통변 재성을 감당할 정도로 일간이 신약한지 신강한지를 먼저 살펴야 하니 신약재다(身弱財多)의 명(命)에 재성운은 현실적(財的)인 일이 악화되어 빛이 늘게 되고 처(妻)와의 갈등, 건강악화 등에서 문제가 생기게 된다. 양간은 정재와 육합이 되니 쟁합(爭合), 투합(妬合)이 되면 갈등이 더욱 심해지는 운이 된다. 신강한 일간에 식상이 있는데 재성운이 오게 되면 현실적(財的)이고 새로운 공간을 확보하게 되고 주변이 안정되는 운이다. 정재운은 안정성을 추구하고 본인의 것을 확실하게 챙기는 운이 되고 명(命)의 편재에 편재운이 중첩되면 주색잡기(酒色雜技), 투기 등을 하게 되고 요행을 바라나 통제가 안 되는 운을 통변해야 할 것이다. 재성운은 일간의 통근력과 주변의 상황에 따라서 그 작..

운세론 2020.07.16

신살(神殺)과 활용

■ 신살(神殺)과 활용 “많은 사람들이 신살이 무었인가요?“하고 궁금해 한다. 사실 신살에 대한 명확한 기원과 음양오행(陰陽五行)에 의한 학문적인 설명은 어느 서적에서도 찾아볼 수는 없다. 다만 1,200여 년에 걸친 오랜 임상의 결과 10 천간과 12 지지의 일정한 조합에서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강한 기운이 있음을 알게 되었는데 이러한 조합에서 나오는 강력한 기운을 명리학에서는 신살이라고 통칭하는 것이다. 명(命)의 신살은 평생을 함께 살아가야 하는 것이니 차를 예로 든다면 일정한 옵션에 해당되는 부분이다. 본 원에서는 “합(合)과 충(沖)”의 작용력을 제외한 모든 것을 신살로 간주하니 기본적으로 “신살(神殺)”에서 신(神)은 길한 순작용을 의미하고 살(殺)은 흉한 역작용을 의미하나 경우에 따라 ..

신살론 2020.06.01

戊庚식신에 대하여

■戊庚식신에 대하여戊庚甲丙. 戊토는 만물을 주재하고 己토는 만물을 생육하니 戊토일간은 庚금식신을      통해서 원하는 것을 관리하는 것이다. 그러나 己토일간은 "木火관인"을 좋아하고 庚금  상관을 싫어한다. 辛금일간은 매금을 우려하니 戊토편인을 좋아하지 않는다. 戊己토의   일간은 먼저 木기관성과 힘의 강약을 살핀 다음에 금목상전(金木相戰)을 해소시키는     火기인성의 유무를 살펴야 한다. "木火관인"이 있으면 공적인 일을 하고 없다면 사적,     개인사업, 즉 생재로 가니 호연지기(浩然之氣)인 戊토일간이 옹색해 진다. "木火관인"이 없는 "戊庚식신"은 독불장군(獨不將軍)이니 단체생활이 힘들고 큰 일과   일확천금(一攫千金)을 노리며 혼자서 하는 마라톤, 등산, 골프 등을 즐긴다. 생설(生洩)은 庚..

천간물상론 2015.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