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e origin/Blog captured ■壬寅일주에 대하여
육십갑자 중에 39 번인 壬寅일주의 壬수일간은 辰토편관과 巳화편재가 공망되고 병지(病支)인 寅목식신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水기비견과 木기식상의 상생(相生)으로 지혜로움이 돋보이고 성격 또한 원만하며 새로운 환경에서도 적응을 잘 하며 명석하니 천재소리를 듣는 경우가 많다. 예지력이 발달하여 꿈이 잘 맞으니 신기(神氣)가 많은 일주이며 선견지명(先見之明)이 있어 만인 위에 군림하며 인품 또한 준수하니 보는 이로 하여금 시원하다는 느낌을 준다.
일견 온순한 듯하나 대단히 야심적이고 위기상황에서 대처하는 능력이 능수능란(能手能爛)하다. 어려운 난관을 만나도 태연한 심성이 있고 힘과 권력에 아부를 하지 않고 타인이 어려운 일을 부탁하면 냉정하게 거절을 못해서 피해를 보는 경우가 많으니 이러한 점을 유의해서 살아기야 할 것이다.
사람을 좋아하고 항상 사람이 따르지만 추종자로부터 피해도 보게 되니 항상 사람 조심을 해야 할 것이니 이러한 면은 록과 양인을 많이 닮았다. 먹을 복(福)이 많고 음식이나 이에 관련된 것에 인연이 많게 되고 곤명(坤命)은 일지食神이니 조후가 좋다면 원만한 출산을 하여 자식들의 양육을 잘 하고 온순하고 조용한 편이나 때로는 남편과의 충돌이 생겨서 생사의 이별이 있게 되고 비만증이나 당뇨병 등의 질환에 고생하는 사람들이 많음을 볼 수 있으니 유의를 할 일이다.
신살(神殺)은 방해일, 급각살, 폭패살, 탕화일, 문창성 등이 작용하며 학문에도 소질이 많고 육신(六神)으로는 일지食神이라 음식솜씨가 좋다. 직업은 교육자, 외교부문, 법조계, 공무원, 외국상사, 예능계, 철학계, 요식업 등의 분야에서 능력을 발휘한다.
문창성(文昌星) 혹 문창귀인(文昌貴人)에 대하여 살펴보면 甲목일간은 巳화 식신, 乙목일간은 午화식신, 丙화일간은 申금편재, 丁화일간은 酉금편재, 戊토일간은 申금식신, 己토일간은 酉금식신, 庚금일간은 亥수식신, 辛금 일간은 子수식신, 壬수 일간은 寅목식신, 그리고 癸수일간은 卯목식신을 만나는 경우를 이르니 명(命)에 문창성이 있게 되면 글을 좋아하고 총명하며 공부를 잘 하게 된다는 길신이다. 그 작용력은 천을귀인(天乙貴人)이나 천월귀인(天月貴人)과 닮았다.
육신이나 육친을 더하여 활용하는 예를 살펴보면 문창성이 比劫과 동주(同舟)하면 형제가 교직에 있거나 학문을 숭상하는 사람이 되고 食傷과 동주하면 자식이나 조모, 장모가 교육계에 종사하게 되며 財星이 동주하면 처와 부친이, 官星과 동주하면 자식이나 남편이, 印星이 동주하면 조부나 모친이 선생님이거나 학문에 능한 사람이라고 통변을 하는 것이다.
고서(古書)에서는 곤명(坤命)의 壬寅일주를 “임인여성(壬寅女性)이면 유재무부 (有財無夫)”라고 기술을 하고 있으니 이는 재물은 많이 벌 수 있으나 지아비와의 인연이 약하다고 기술하고 있으니 살아가면서 항상 부부관계에 신경을 써야 할 것이며 일지食神이라 안방에 자식이 있는 형상이니 모든 것에 자식이 우선 됨이 부부생활에 문제가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