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격국(格局)과 격국용신 - 1 / 2 기본적으로 월지에 왕지가 있고 이를 중심으로 삼합이나 방합이 이루어지면서 투간(透干)되면 가장 순도 높은 격국이 형성되고 월지를 중심으로 방합과 삼합을 이루게 되면 투간이 없더라도 격국으로 잡을 수 있다. 월지가 생지, 인신사해(寅申巳亥)라도 본기가 사령하면 격국을 이루고 辰戌丑未월에는 여기(餘氣)의 투간이면 격국으로 잡을 수 있으나 순도는 떨어지게 된다. 건록격은 정격이고 편재격은 정격과 편격의 중간이니 주변상황을 잘 살펴야 한다. 정격(正格)은 생(生)과 설(洩) 즉, 정기신(精氣神)이 중요하니 이는 생하고 설하는 육신이 격국용신이 된다는 의미이며 순서는 바뀔 수 있다. 격국을 파극시키는 육신이 있으면 설기(洩氣)하는 것이 격국용신이 되는데 이는 설기하는 육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