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색잡기 15

편재격의 조합 - 2 / 2

■ 편재격의 조합 - 2 / 2 식신이 편재를 생하는 조합은 호응과 궁합이 좋다. 밝고 긍정적, 문화적, 정서적, 생산적인 활동을 하고 품격이 높고 사업성도 폭이 넓으나 잘못되면 주색잡기(酒色雜技)로 간다. 편재는 인성을 극제하니 편재가 있는데 인성이 없거나 약하여 탐재괴인(貪財壞印)의 역작용을 하게 되면 욕망, 탐욕으로 간다. 탐재괴인을 하게 되면 과욕, 무절제, 권력욕, 명예욕이 생겨 양심이 없는 일간이 되고 제동장치 없이 질주하는 차의 형상이다. 그러나 정인과 편인이 혼잡되거나 왕한 편인(偏印)의 치우친 생각을 재성으로 제화하면 현실적으로 변하고 대응능력, 공간활용 등의 능력을 갖추게 되고 생산적으로 변한다. 편재(偏財)는 노력한 이상으로 결과를 얻을 수도 있으나 잘못하면 부적절한 관계나 뇌물, 주..

격국론 2020.12.17

庚己정인에 대하여

■ 庚己정인에 대하여 庚금과 辛금일간은 土기인성을 반기지 않으나 간접적인 인성은 수용한다. 庚금일간은 "금생수(金生水)"의 목적이 분명한데 土기인성에게 水기식상의 출력을 방해 당하니 이것이 토다매금(土多埋金)의 흉한 역작용인 것이다. 木기재성이 있어야 비로소 水기식상과 火기 관성이 살아나게 되니 庚금일간에게는 木기재성이 아주 중요하게 된다. 생(生)과 설(洩)의 작용에서 庚금일간은 己토정인을 끌고 다니니 부모, 선생님, 선배 등의 생각과 가치관을 자기 나름의 생각으로 끌고 나가며 힘이 균등하다면 매금의 역작용은 없으나 甲목편재가 있고 土기인성이 간접적으로 있으면 아주 길한 조합이 된다. 庚己甲. 庚금일간에게 할 일을 의미하는 甲목편재를 己토정인이 합거(合去)해 버리니 가장 흉한 역작용을 하게 되며 丙화편..

천간물상론 2020.0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