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성(印星)의 역할과 작용에 대하여 1. 식상(食傷)을 극제(剋制)한다. 재성이 있으면 상관패인(傷官佩印)이 되고 이는 전문직에 종사를 한다. 전문화된 지식을 의미하는 편인(偏印)운도 좋은 순작용을 한다. 재성(財星)이 없으면 "印극食"으로 도식(盜食)의 역작용을 하는 것이다. "偏印극食神"은 생산력, 표현력, 연구의 중단이니 경제적 어려움, 부도, 사업실패, 건강, 질병, 정신력 약화, 진취력이 없어지고 정인이 편중, 혼잡되어 있어도 편인을 닮아가니 역시 도식(盜食)작용을 하게 된다 2. 官星을 설기(洩氣)한다. 설기(泄氣)는 빛내준다, 방향제시, 지켜준다(식상이 관성을 파극함을 인성이 지켜줌)의 의미가 있고 관인상생(官印相生), 살인상생(殺印相生)으로 전문화된 지식과 자격을 인정받고 활용을 하게 된다. 관성을 도기(盜氣)한다면 자리가 불안해지고 진로, 직업에 수정, 변동이 있게 된다. 관살혼잡(官煞混雜), 관살무력(官煞無力)은 술수를 써서 문제를 야기하니 자승자박 (自繩自縛), 자화자초(自禍自招)의 의미가 있으니 경거망동을 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3. 일간(日干)과 비겁(比劫)을 생한다. 일간의 강약과 재성에 의한 제화(制化)여부를 살펴야 하고 만약 일간이 극신약하게 되면의심이 많아지고 결과를 확신을 못하게 되니 편인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정인과 편인이 혼잡되는 운이 오면 정신적 갈등, 가치관의 혼란이 심해지는 운이 된다. 재성의 제화가 없는 편인은 의심, 변덕이 심하고 결과를 확신하지 못하니 맹신으로 돌아설 수 있게 된다. 인성은 반드시 재성(財星)이 있어야 印星의 결과를 볼 수 있는데 재성(財星)이 없다면 말, 고집만 앞세우고 따지기를 좋아하며 자아도취(自我陶醉), 외골수가 된다. 재성(財星)으로제화가 되어있지 않거나 극신약 일간에게는 편인(偏印)운은 흉운이 되는 것이다. “財星 + 偏印운”은 현실성이 있는 실용적인 기술, 꾸준한 학문, 검증된 실력, 임상을 거친 역학, 가치관이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