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의 육합과 육해(六害)의 상관관계 – 2 / 3
세운의 사건사고는 지지에서 많이 발생하고 또한 구체적이다. 천간의 육합은 부부지합 (夫婦之合)이나 지지의 육합(六合)은 부부지합의 의미가 강하지는 않고 애정지합, 음양지합, 사적인 결합이 되며 변한다, 묶인다, 간섭한다, 쏠린다, 생산한다, 본능적으로 서로 끌린다 등의 의미가 있게 된다.
편하게 통하고 공유할 부분이 많으며 정서적인 유대관계가 좋으니 서로 믿고 배려하며 의지하고 도움을 줄 수 있는 육합이 되는 것이다. 명(命)에 육합이 없으면 상대방에 대한 배려감, 인정이 없는 사람이며 육합만 있고 육해(六害)가 없으면 배신당함을 염려하지 않고 좋은 일만 있을 줄 아는 세상물정을 모르는 사람이 된다.
그러나 명(命)에 육합이 있으면 육합을 충하는 운에 의해서 육해가 발생하고 命에 육해가 있으면 육해를 충하는 운에 의해서 육합이 발생하게 되니 어느 것이 좋은 것이라고 단정지울 수 없음을 알아야 할 것이니 그래서 오늘은 육합과 육해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공부하는 것이다.
육해는 일명 상천살(相穿殺)이라고도 하며 육합이 상충(相沖)될 경우에 육해가 발생하게 되는데 그 작용력은 방해자가 생기거나 삼각관계에 의한 심적인 갈등이다. 일, 물질, 사람 때문에 배신감과 갈등을 느끼고 ”나는 왜 인덕이 없을까?“하는 생각을 하고 사정(私情)과 현실, 실리 사이에서 갈등과 선택을 해야 하고 감정싸움, 이별 등이 생기게 된다.
잘 짜여져 있는 명(命)에 육합이 있고 형충파해(刑沖破害)가 없으면 주위에 사람이 많고 어디를 가더라도 활발한 활동을 하는 사람이며 가족 이상으로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사람을 보는 안목이 있으나 반대로 육합이 없고 육해살이나 형충파해가 있으면 이기적이고 개인적인 성향이며 심하면 오지랍이 넓은 사람이 된다.
육합(六合)을 충하여 육해가 되는 운에서는 내 단점이나 불편함이 들어나게 되며 특별히 ”子丑육합“일 경우에 未토운은 ”子未원진“과 ”子未육해“가 동시에 발생하게 되니 子수는 丑토에 대하여 배신감, 소외감, 허망함 등을 느끼는 사건사고가 생기고 원인제공은 未토가 한다. 또한 ”未丑형“도 통변해야 하는데 특히, 巳午未월이면 丑토의 지장간 ”癸辛己“ 중에 辛금이 형살을 당하게 됨에 조심해야 할 것이다.
”子丑육합“과 ”午未육합“은 원진과 육해(六害)가 동시에 옮을 알아야 할 것이며 ”子丑육합“과 ”午未육합“은 혈연관계, 종속관계로 아주 밀접하고 가까운 사이인데 육합이 깨지면 끈끈했던 관계만큼 무시당했다는 배신감이 더욱 크게 되니 상대적으로 운에서 육해를 당하게 되면 용납하기가 어렵고 배신감이 크게 된다.
천간(天干)에 육합만 있으면 정신, 직업, 공적인 일만 있는 줄 아는 사람이고 지지에만 육합이 있으면 친화력, 사적인 인간관계는 좋으나 실속이 없는 사람이다.
충(沖)이 있다면 육해의 부작용을 심각하게 받아들인다. 지지의 육합이 합화(合化)되어 만드는 오행은 그러한 분위기와 뛰어난 친화력을 나타내니 오행별 분위기가 다르게 된다. 예를 들어 ”巳申육합“의 水기오행은 실질적인 물질, 세력이 아니고 분위기이나 밑으로 가라앉는 水기를 만드니 분위기가 가장 안 뜨게 되고 반대로 ”卯戌육합“은 火기를 만드니 분위기가 가장 뜨게 된다.
육합은 딴 짖을 하니 문제가 있게 되고 특히, 왕지(旺支)의 육합이 더욱 그러하니 예를 들어 ”○辰酉○“의 명(命)에서 월지(月支)에 왕지인 酉금이 주체가 되어 공적인 일을 하는데 ”辰酉육합“으로 사적인 일을 연결시키니 이는 인간관계, 친밀함으로 공적인 일을 처리하려고 한다는 통변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지지의 통변은 궁위(宮位), 오행(五行), 육신(六神)의 순서로 한다.
육합은 일간의 신왕함이 필요하고 만약에 일간이 신약한데 육합(六合)이 있으면 사적인 인정에 끌려가서 공적인 일을 망치고 특히, 편중되면 엉뚱한 짓을 할 소지가 더욱 심하게 되며 인간관계로만 일을 추진하려고 하니 되지도 않고 갈등만 많게 된다.
'사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子丑육합과 午未육합에서 나오는 子未육해와 丑午육해의 통변 (0) | 2021.03.31 |
---|---|
지지의 육합과 육해(六害)의 상관관계 – 3 / 3 (0) | 2021.03.30 |
지지의 육합과 육해(六害)의 상관관계 – 1 / 3 (0) | 2021.03.26 |
시주 혹은, 시지(時支)에서 알 수 있는 것 (0) | 2021.03.25 |
일주(日柱) 혹은, 일지(日支)에서 알 수 있는 것 (0) | 2021.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