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학

육십갑자(六十甲子)의 육친(六親)과 육신(六神) 그리고 12운성에 대하여

기림역학 2020. 1. 8. 16:24

 

 


육십갑자(六十甲子)의 육친(六親)과 육신(六神) 그리고 12운성에 대하여


()을 한 눈에 꿰뚫어 보려면 일간을 제외한 7개의 육친(六親)과 육신(六神), 그리고

12운성으로 일간을 포함한 4개의 천간이 4지지에 해당하는 기운과 공망을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함은 기본이다.

 

물론 정밀한 통변을 위해서는 음간과 양간을 구분하고 음포태와 양포태를 사용하여 수장도 (手掌圖)를 짚어야 하나 그래도 60간지에서 어느 정도는 눈에 익숙해야 하니 여기에서는 “60甲子의 기본적인 것을 정리해 본다. 이는 반드시 암기해야 할 것이다.

 

육십갑자 중에 01번인 甲子일주의 목일간은 토편재와 수편인이 공망되고 욕지(浴支)수정인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육십갑자 중에 02번인 乙丑일주의 목일간은 토정재와 수정인이 공망되고 쇠지(衰支)토편재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육십갑자 중에 03번인 丙寅일주의 화일간은 토식신과 수편관이 공망되고 생지(生支)목편인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육십갑자 중에 04번인 丁卯일주의 화일간은 토상관과 수정관이 공망되고 병지(病支)목편인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육십갑자 중에 05번인 戊辰일주의 토일간은 토비견과 수편재가 공망되고 대지(帶支)토비견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육십갑자 중에 06번인 己巳일주의 토일간은 토겁재와 수정재가 공망되고 화정인 왕지(旺支)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토와 화는 금이 생지(生支)가 된다.

 

육십갑자 중에 07번인 庚午일주의 금일간은 토편인과 수식신이 공망되고 욕지(浴支)화정관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육십갑자 중에 08번인 辛未일주의 금일간은 토정인과 화정관이 공망되고 쇠지(衰支)토편인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금은 수가 생지(生支)가 된다.

 

육십갑자 중에 09번인 壬申일주의 수일간은 토편관과 수비견이 공망되고 생지(生支)금편인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육십갑자 중에 10번인 癸酉일주의 수일간은 토정관과 수겁재가 공망되고 병지(病支)금편인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수는 목이 생지(生支)가 된다.

 

육십갑자 중에 11번인 甲戌일주의 목일간은 금편관과 금정관이 공망되고 양지(養支)토편재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육십갑자 중에 13번인 丙子일주의 화일간은 금편재와 금정재가 공망되고 양지(養支)수정관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육십갑자 중에 14번인 丁丑일주의 화일간은 금정재와 금편재가 공망되고 묘지(墓支)토식신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화와 토는 금이 생지(生支)가 된다.

 

육십갑자 중에 15번인 戊寅일주의 토일간은 금식신과 금상관이 공망되고 생지(生支)목편관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육십갑자 중에 16번인 己卯일주의 토일간은 금상관과 금식신이 공망되고 병지(病支)목편관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육십갑자 중에 17번인 庚辰일주의 금일간은 금겁재와 금비견이 공망되고 양지(養支)토정인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육십갑자 중에 18번인 辛巳일주의 금일간은 금겁재와 금비견이 공망되고 사지(死支)화정관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丙辛으로 자화간합이다.

 

육십갑자 중에 19번인 壬午일주의 수일간은 금정인과 금편인이 공망되고 태지(胎支)화정재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丁壬으로 자화간합이다.

 

육십갑자 중에 20번인 癸未일주의 수일간은 금정인과 금편인이 공망되고 묘지(墓支)토편관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육십갑자 중에 21번인 甲申일주의 목일간은 화상관과 토정재가 공망되고

절지(絶支)금편관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육십갑자 중에 22번인 乙酉일주의 목일간은 화식신과 토편재가 공망되고

절지(絶支)금편관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목은 화가 생지(生支)가 된다.

 

육십갑자 중에 23번인 丙戌일주의 화일간은 화겁재와 토상관이 공망되고

묘지(墓支)토식신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육십갑자 중에 24번인 丁亥일주의 화일간은 화비견과 토상관이 공망되고

태지(胎支)수정관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丁壬으로 자화간합이다.

 

육십갑자 중에 25번인 戊子일주의 토일간은 화정인과 토겁재가 공망되고

양지(養支)수정재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戊癸으로 자화간합이다.

 

육십갑자 중에 26번인 己丑일주의 토일간은 금식신과 금상관이 공망되고

묘지(墓支)토비견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육십갑자 중에 27번인 庚寅일주의 금일간은 토정인과 화정관이 공망되고

절지(絶支)목편재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육십갑자 중에 28번인 辛卯일주의 금일간은 화편관과 토편인이 공망되고

절지(絶支)목편재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육십갑자 중에 29번인 壬辰일주의 수일간은 화정재와 토정관이 공망되고

묘지(墓支)토편관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육십갑자 중에 30번인 癸巳일주의 수일간은 화편재와 토편관이 공망되고

태지(胎支)화정재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戊癸으로 자화간합이다.

 

육십갑자 중에 31번인 甲午일주의 목일간은 토편재와 화식신이 공망되고

사지(死支)화상관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甲己으로 자화간합이다.

 

육십갑자 중에 32번인 乙未일주의 목일간은 토정재와 화상관이 공망되고

양지(養支)토정재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육십갑자 중에 33번인 丙戌일주의 화일간은 토식신과 화비견이 공망되고

묘지(墓支)토식신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육십갑자 중에 34번인 丁亥일주의 화일간은 토상관과 화겁재가 공망되고

생지(生支)수정관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丁壬으로 자화간합이다.

 

육십갑자 중에 35번인 戊戌일주의 토일간이 토비견과 화편인이 공망되고

묘고지(墓庫支)토비견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육십갑자 중에 36번인 己亥일주의 토일간은 토겁재와 화정인이 공망되고

태지(胎支)수정재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甲己으로 자화간합이다.

 

육십갑자 중에 37번인 庚子일주의 금일간은 토정인과 화편관이 공망되고

사지(死支)수상관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육십갑자 중에 38번인 辛丑일주의 금일간은 토정인과 화정관이 공망되고

양지(養支)토편인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육십갑자 중에 39번인 壬寅일주의 수일간은 토편관과 화편재가 공망되고

병지(病支)목식신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육십갑자 중에 40번인 癸卯일주의 수일간은 토정관과 화정재가 공망되고

생지(生支)목식신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육십갑자 중에 41번인 甲辰일주의 목일간은 목비견과 목겁재가 공망되고

쇠지(衰支)토편재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육십갑자 중에 42번인 乙巳일주의 목일간은 목겁재와 목비견이 공망되고

욕지(浴支)화상관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육십갑자 중에 43번인 丙午일주의 화일간은 목편인과 목정인이 공망되고

왕지(旺支)화양인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육십갑자 중에 44번인 丁未일주의 화일간은 목정인과 목편인이 공망되고

대지(帶支)토식신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육십갑자 중에 45번인 戊申일주의 토일간이 목편제와 목정관이 공망되고

병지(病支)금식신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육십갑자 중에 46번인 己酉일주의 토일간은 목정관과 목편관이 공망되고

생지(生支)금식신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육십갑자 중에 47번인 庚戌일주의 금일간은 목편재와 목정재가 공망되고

쇠지(衰支)토정인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육십갑자 중에 48번인 辛亥일주의 금일간은 목정재와 목편재가 공망되고

욕지(浴支)수상관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육십갑자 중에 49번인 壬子일주의 수일간은 목식신과 목상관이 공망되고

왕지(旺支)수겁재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육십갑자 중에 50번인 癸丑일주의 수일간은 목상관과 목식신이 공망되고

대지(帶支)토편관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육십갑자 중에 51번인 甲寅일주의 목일간은 수정인과 토정재가 공망되고

록지(祿支)목비견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육십갑자 중에 52번인 乙卯일주의 목일간은 수편인과 토편재가 공망되고

록지(綠支)목비견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육십갑자 중에 53번인 丙辰일주의 화일간은 수정관과 토상관이 공망되고

대지(帶支)토식신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육십갑자 중에 54번인 丁巳일주의 화일간은 토식신과 수편관이 공망되고

겁재인 화왕지(旺支)에 자좌(自座) 하고 있다.

 

육십갑자 중에 55번인 戊午일주의 토일간이 수정재와 토겁재가 공망되고

왕지(旺支)화정인 혹은 화양인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육십갑자 중에 56번인 己未일주의 토일간은 수편재와 토비견이 공망되고

대지(帶支)토비견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육십갑자 중에 57번인 庚申일주의 금일간은 수상관과 토정인이 공망되고

록지(祿支)금비견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육십갑자 중에 58번인 辛酉일주의 금일간은 수식신과 토편인이 공망되고

록지(祿支)금비견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육십갑자 중에 59번인 壬戌일주의 수일간은 수겁재와 토편관이 공망되고

대지(帶支)토편관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가장 많은 신살을 거느리고 있는

특이한 일주이다.

 

마지막으로 육십갑자 중에 60번인 癸亥일주의 수일간은 수비견과 토편관이

공망되고 왕지(旺支)수겁재에 자좌(自座)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