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연법

■ 일진법(日辰法)중에 강일진(强日辰)의 활용과 통변에 대하여

기림역학 2018. 8. 31. 01:00

 

 






일진법(日辰法)중에 강일진(强日辰)의 활용과 통변에 대하여

 

             甲

申未午巳卯寅

 

만약에 甲辰일에 손님이 철학관을 방문하였다면 토를 "강일진(强日辰)"이라고 하고 토를 충하는 토는 다음에 설명하는 "약일충(弱日沖)"이라고 한다.


강일진(强日辰)” , 토는 현재의 시간, 오늘이니 어제와 내일이 중복되어 있고 해당하는 지지의 육신과 육친 그리고 궁위의 의미에 능력이 있게 되며 반대로 강일진(强日辰)”을 충하는 약일충(弱日沖)” , 토는 해당하는 지지의 의미에 능력이 약하거나 현실적인 상황판단을 못하고 있다는 통변을 할 수 있다.

 

강일진(强日辰)“ , 토가 원명(原命)의 각 지지에 있는 경우의 대표적인 통변은 아래와 같다.

 

년지(年支)에 강일진(强日辰) , 토가 있다면 살아가는데 필요한 금전, 능력, 긍정적인 사고가 있는 사람이고 대지, 부동산을 구매하려는 마음이 반반이나 구매하려는 쪽으로 기울어져 있는 일간이니 문점자가 왔다면 "대지나 부동산을 구매하려고 하시는 군요" 하고 초사언(初辭言)을 던질 수 있다는 의미이다.

 

월지(月支)에 강일진(强日辰) , 토가 있다면 월지가 의미하는 거주를 위한 주택이나 아파트를 매입하려는 마음이나 혹은 직장생활을 하려는 마음이 반반이나 하는 쪽으로 기울어진 사람이니 연령이나 성별을 구분하여 직장인지 주택인지를 가늠하여 초사언을 던지면 된다. 예를 들어 젊은 사람이라면 직장을 구하는데 언제 생길지 궁금해서 오셨네요라고 말을 하면 상대방이 깜작 놀라게 될 것이다.

 

일지(日支)에 강일진(强日辰) , 토가 있다면 기혼자는 부부생활에 문제가 없는 사람이고 미혼자는 결혼할 마음이 반반이나 하는 쪽으로 기울어져 있으니 만약에 애인이나 배우자에 대한 걱정이나 불만을 토로한다면 쓸데없는 말을 한다고 핀잔을 해주어도 괜찬다.

 

시지(時支)에 강일진(强日辰) , 토가 있다면 금전과 능력이 있고 "사업을 해볼까" 하는 마음이 반반인 사람이나 만약에 운이 나쁘다면 결국은 개업을 하고 곧 문을 닫게 될 것이니 용신을 잘 집어내는 실력을 갖추면 좋겠다. 성별과 나이를 감안하여 이러한 사항 중에 하나를 선택해서 문점자에게 초사언(初辭言)을 던지면 방문자는 그 예견하는 능력에 감탄하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