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진법(日辰法) 중에 조객살(弔客殺)의 활용과 통변에 대하여
甲 申未午巳辰卯寅
위에 있는 붉은 색의 일진(日辰)은 甲辰일에 문점자가 철학관을 방문한 날이다. 甲辰일 전후의 각 지지에 해당되는 신살(神殺)의 명칭을 미리 알고 있어야 설명과 이해가 용이하니 가급적 암기하기를 바라며 해당 신살(神殺)의 명칭은 다음과 같고 모두 11개이며 여기서 성(星)은 길한 의미를 나타낸다.
寅목 - 조객살(弔客殺(星)) 卯목 - 병부살(病符殺) 辰토 - 강일진(强日辰), 辰토 강일진(强日辰)을 충하는 戌토는 - 약일충(弱日沖) 巳화 - 양인살(陽刃殺(星)), 巳화 양인살(陽刃殺(星))을 충하는 亥수는 - 비인살(飛刃殺(星)) 午화 - 상문살(喪門殺), 午화 상문살(喪門殺)을 충하는 子수는 - 해결신(解決神(星)) 未토 - 합식성(合食星), 未토 합식성(合食星)을 충하는 丑토는 - 퇴식살(退食殺) 申금 - 비부살(飛符殺)
그리고 해당 사주의 4 지지 별로 의미하는 바를 알아야 하는데 그 4 지지 별로 구체적인 의미는 아래와 같다. 年支 - 본인, 부동산, 대지, 선산, DNA 등 月支 - 직장, 주택 등 日支 - 애인, 배우자 등 時支 - 사업, 가게, 사무실, 미래 등
문점일인 일진(日辰)의 이틀 전인 조객살(弔客殺)은 해당 지지의 육신(六神)이나 육친(六親) 그리고 4 지지의 궁위(宮位)에 대한 경제적 이득이 있게 되고 상대적인 이익이 발생하는 조건부적인 관계, 환경, 거래를 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강일진(强日辰)“의 전전 날인 ”조객살“ 즉, 寅목이 원명(原命)의 4 지지에 있는 경우의 대표적인 통변은 아래와 같으며 여기에 시대운(始大運)을 감안한 인자론, 육신 그리고 육친을 넣어서 통변하면 귀신같은 초사언(初辭言)을 할 수 있게 된다.
일간, 먼 과거, 조상, DNA, 선산, 토지 등을 의미하는 연지(年支)에 조객살(弔客殺) 즉, 寅목이 있으면 현재 잘 살고 있는 사람이고, 선산이나 예전에 매입한 토지는 조건부적인 이득이 발생 중이니 매도하지 말고 소유하고 있어야 길하고 토지를 매입한다면 대출을 받아서라도 여러 명이 공동으로 매입함도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뚜렷한 사회생활을 의미하는 격국(格局), 주택, 거주지, 직장 등을 의미하는 월지(月支)에 조객살(弔客殺) 즉, 寅목이 있으면 현재 이득이 발생하는 중이니 활용도가 증대하여 주택의 가치나 가격이 올라가게 된다. 구체적으로 주변이 재개발되거나 혹은 집세를 올리거나 하숙을 치는 등의 일이 생기게 되고 직장생활을 잘 하나 시간제, 알바, 계약직, 연봉제 등의 조건으로 일을 하게 되고 격국이 좋으면 스톡옵션(Stock-option)이 있는 사회생활을 하는 것이다.
개인궁, 애인궁, 배우자궁, 가정궁 등을 의미하는 일지(日支)에 조객살 즉, 寅목이 있으면 이득이 발생하는 조건부적인 결혼생활, 연애(Date)를 하는 사람이다. 불협화음이 없고 서로 간의 애정이 돈독하며 이득을 보니 좋은 상대이며 기혼자도 동일하게 통변한다.
미래, 개인적인 사업, 장사 등을 의미하는 시지(時支)에 조객살(弔客殺) 즉, 寅목이 있으면 좋은 미래가 기다리고 있으며 장사나 사업을 잘 하고 있고 또한 잘 되고 있는 중이니 계속해야 할 것이다. |
'인연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일진법(日辰法)중에 강일진(强日辰)의 활용과 통변에 대하여 (0) | 2018.08.31 |
---|---|
■ 일진법(日辰法) 중에 병부살(病符殺)의 활용과 통변에 대하여 (0) | 2018.08.27 |
양인살(羊刃殺)과 비인살(飛刃殺)에 대하여 (0) | 2016.11.02 |
원진살(怨嗔殺)에 대하여 (0) | 2016.11.01 |
공망(空亡)에 대하여 (0) | 2016.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