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기오행 12

생지, 왕지 그리고 묘고지에 따른 재성

■ 생지, 왕지 그리고 묘고지에 따른 재성 본 장에서는 우리가 살아가면서 당면하게 되는 모든 사건사고의 중심에 서있는 재성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생지, 왕지 그리고 묘고지(墓庫支) 별로 재성의 특성이 다름은 물론이고 모든 육신과 마찬가지로 재성이 천간과 지지, 그리고 지장간에 있는 경우로 크게 대별해 볼 수 있는데 기본적으로 이러한 재성의 특징과 용도에 대하여 궁구한 다음에 운에 따른 천간의 합충극설생(合沖剋洩生) 그리고 지지의 합형충파해(合刑沖破害)의 작용에 따라 나타나게 되는 재성의 길(吉)과 흉(凶)의 결과를 읽어낼 줄 알아야 할 것이다. 생지인 寅申巳亥는 지장간의 중기(中氣)를 잘 활용하니 예를 들어 申금의 지장간, “戊壬庚”의 중기인 壬수는 천간에 없어도 있는 것처럼 보아야 하며 천간에 통..

운세론 2020.08.19

乙목일간에 월간 己토편재가 있는 경우의 甲午년의 통변

■ 乙목일간에 월간 己토편재가 있는 경우의 甲午년의 통변 “○乙己○”의 명(命)에 甲午년은 월간의 己토편재(偏星)와 甲목겁재(偏星)가 천간육합을 하는 운이 되고 지지는 午화식신운이 된다. 이러한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사건사고를 살펴보기로 하자. 역마성인 편재는 넓은 무대, 이동무대, 전국무대, 해외무대 등의 활동공간을 의미하며 유동적인 재물을 의미한다. 金기관성이 있다면 협조자가 갑작스럽게 다가와서 안착하게 되는 운이 되고 화기오행(化氣五行)이 土기재성이니 또 다른 공간을 확보하는 운이 된다. 등라계갑(藤蘿繫甲)을 해서 경쟁에서 승리하니 이는 乙목일간이 己토편재를 다스릴 수 있다는 의미가 되는 것이다. 명(命)이 신약재다(身弱財多)하다면 재성은 일간에게 부담, 부채, 짐이 되며 겁재의 도움을 받을 수는..

운세론 2020.0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