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재와 편재의 차이점 4

편재와 정재를 구분한 물상론적 접근 - 1 / 5

■ 편재와 정재를 구분한 물상론적 접근 - 1 / 5 지금은 재성을 구분하여 공부를 하고 있는데 같은 재성이라도 편재와 정재의 역할과 의미는 하늘과 땅의 차이가 있으며 편재라 하더라도 또한, 물상에 따른 차이가 있으니 아래의 간단한 설명으로 전체를 볼 수 있는 안목을 키우기를 바란다. 지면 상 모든 것을 자세히 설명하기에는 어려운 점을 양해하기 바라면서 . . . 甲戊편재 - 산 위에 있는 큰 나무의 형상이니 통제력, 통찰력이 좋고 비현실적, 이론적, 정신적이다. 건축을 한다면 부분적인 시공이 아니고 전체적인 기획, 설계, 감독, 감리 등의 일이 적성이며 회사나 조직에서 총괄하는 부서, 전반적인 감찰, 통제하는 일 등이 잘 맞고 사교적이며 대인관계가 아주 원만하다. 甲己정재 - 정신적인 큰 나무가 실용적..

격국론 2020.12.22

정재와 편재

정재와 편재 재성(財星)은 처, 이성, 재능, 재주, 능력, 재물, 재화, 일, 활동, 건강, 현실, 시장, 직원, 신도 등을 의미하며 사건사고의 80% 정도가 이 재성 때문에 일어나게 되니 재성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을 것이다. 재성은 모든 육신(六神)의 중심이 되고 이러한 재성이 없으면 건강이 상하게 되고 심하면 자살하는 경우도 있게 되며 재성과 인성의 관계도 반드시 필요한 관계가 된다. 재성은 세상의 일을 다루고 일간의 영역을 만들며 전진과 후퇴를 가릴 줄 아는 능력을 의미하니 이러한 재성을 너무 강하게 다루면 없어지거나 도망가게 된다. 정재는 일간의 것, 일간의 소유권, 강한 소유욕, 항상성, 일간만의 힘으로 해결해야 하는 것 등의 의미가 있으며 알뜰, 치밀, 집착, 욕심 등이 아..

격국론 2020.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