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신격 - 2 / 2 월지에 통근하거나 투간된 식신이 식신격을 이루는 것이 원칙이나 아래의 예처럼 월지의 식신만으로도 격국을 정하는 경우가 있다. 庚금일간을 지지하는 申금비견이 없으면 식신격으로 볼 수 없으며 투출(透出)은 辰戌丑未를 중심으로 본다. - 故 정주영님의 명(命) ///丁庚丁乙 ///丑申亥卯 丁戊己庚辛壬癸甲 卯辰巳午未申酉戌 식신격에서 생기는 재물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재물이다. 戊토편인, 辛금겁재운은 불길하고 비견운은 무난하다. 辛금겁재운은 불법, 편법, 일간 중심적으로 일을 추진해서 관재구설수가 발생한다. 상관으로 식상이 혼잡되면 파격이 되는데 이 때의 식신은 상관의 흉한 역작용을 닮아가나 상관을 합으로 잡아주는 패중유성(敗中有成)이 되면 길한 운이 되는 것이다. 양간은 상관과 편인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