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화기제 15

편재와 정재를 구분한 물상론적 접근 - 4 / 5

■ 편재와 정재를 구분한 물상론적 접근 - 4 / 5 ☞ 전장에 이어서 편재와 정재를 구분한 물상론적 설명이 계속 됩니다. ^^ 辛乙편재 - 예리한 흉기로 화초를 꺽거나 상하게 하는 물상이고 실제로 辛금은 乙목편재를 보기만 하면 흥분하며 빠른 속도로 “乙辛충“을 하려고 한다. “辛甲정재"와는 반대로 너무 설쳐서 문제가 생기게 되며 외부에 보여지기를 좋아하는 辛금일간과 乙목정재이니 즉흥적이고 충동적인 것이 흠이 된다. 그러나 신속하게 처리하고 외부로, 남에게 들어나는 일에는 소질이 있으며 정밀하고 투기성이 있으니 잘만 하면 탁월한 결과가 나타나기도 한다. 정확하고 실용적이며 감각적인 의미가 강한 것은 장점이 되고 주색잡기(酒色雜技)로 가는 경우도 많으며 乙목편재에게는 辛금을 감당할만한 통근처가 절실하다. ..

격국론 2020.12.25

癸수일간의 통변

■ 癸수일간의 통변 癸수는 생명(生命)과 지혜(智慧)의 근본이며 10 천간 중에서 가장 약한 듯 하면서 생명체를 키우는 위대한 일을 하게 되며 온화, 따뜻한 성품이고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으니 수단방법을 가리지 않고 목적을 달성하는 집요함이 있으며 “음기(陰氣) 중의 (陰)”이라 햇빛인 丙화정재를 가장 좋아한다. 그러나 癸수일간은 무사안일(無事安逸) 주의라서 협상에 서투르고 실기(失氣)를 자주 하며 남에게 잘 보이려고 애를 쓰고 예민하여 신경질적이다. 자기최면에 잘 빠지고 조용한 것을 좋아하며 병치례가 잦고 항상 마음이 답답하다. 권태가 자주 오며 초혼에 실패수가 많게 되고 현실에는 무딘 편이지만 때로는 응큼하고 이기적이며 본능적인 끼를 부리기도 한다. 癸수일간은 甲乙목 식상을 배양하여 丙丁화 재성을 생..

운세론 2020.07.30

丙화일간의 통변

■ 丙화일간의 통변 “양(陽)의 기운 중에 최고의 양기(陽氣)”인 丙화는 양간을 좋아하고 음간을 꺼려함이 일반적이며 壬수편관을 가지고 甲乙목 인성을 배양하여 결실을 맺음이 제 1의 본분이 되고 지지에 습토인 辰토나 丑토가 있으면 아름다운 조합이 된다. 일과 사물에 대한 분석력이 뛰어나고 솔직, 친절, 온화하며 하늘 높이 떠서 베풀고 만물을 생육하는 미덕이 있으나 성격이 급하고 경솔하니 폭발을 하게 되면 물불을 안 가리는 단점이 있다. 불의 특성상 확 타오르기는 하나 뒤 끝은 없으며 생지(生支)인 寅월의 丙화는 인기가 많은 사람이다. 1. 이러한 丙화일간이 甲목편인을 만나게 되면 본분인 큰 나무를 키울 수 있는 환경이 되고 이는 꺼지지 않는 불이 되어 임무를 완성하게 되는 팽팽하고 좋은 의미가 있게 된다...

운세론 2020.07.23

子수가 각 12 지지(地支)를 만나는 경우의 통변

■ 子수가 각 12 지지(地支)를 만나는 경우의 통변 子수는 씨앗, 종자(種子), 처음, 시작, 물질, 생명의 근원, 씨앗 안에 있는 물, 음기가 가장 강할 때 등을 의미하며 또한 가장 응축되고 순수한 물, 한랭한 물, 인체에서 나오는 물, 피, 소변, 음용수, 샘물, 빗물 등을 의미한다. 따라서 양이 적고 자연적인 물은 子수가 되고 亥수는 인공적인 물이 되는 것이다. 子월의 절기로는 대설(大雪), 동지(冬至)가 있으며, 음극즉양생(陰極卽陽生)의 의미가 있는 子월에는 일양시생(一陽始生)을 시작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수생목(水生木)”의 작용을 하지는 않으나 “수극화(水剋火)”의 작용은 크게 한다. 또한 子수는 왕지(旺支)이니 순수, 정통, 전문성 등을 주장하며 주관과 개성이 뚜렷하고 냉혹한 면이 있으며 ..

지지론 2020.0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