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전화상담 188

접목대운, 합기대운, 충제(冲提)대운과 예문

접목대운, 합기대운, 충제(冲提)대운과 예문 대운을 살필 때 접목대운, 합기대운, 충제대운을 주의하여 살펴야 하는데 오늘은 이에 관한 설명을 예문과 함께 하도록 한다. 甲//己/辛癸癸癸 곤명(坤命) / 53 세 午//巳/酉未亥卯 51 庚己戊丁丙乙甲 午巳辰卯寅丑子 먼저 명(命)의 특징을 살펴보면 亥월에 癸수일간이고 水기비겁이 태과하다. 火기재성이 부족하나 丙丁, 巳午未대운에서는 활용을 잘 하게 된다. 癸亥(60)만 있다면 亥수겁재는 癸수일간만을 위한 충복이 되나 癸수비견이 있어 비겁에 의한 흉한 역작용이 있게 되며 壬수겁재가 있다면 亥수는 壬수겁재를 밀어주니 역작용의 문제가 크게 된다. 다행이 壬수대운은 보이지 않고 다만, 壬수세운을 조심해야 할 것이다. 亥卯未삼합, 申금정인 공협, 卯목은 문창성과 천을귀..

사주학 2021.03.18

음(陰)과 양(陽)을 구분한 지지의 활용

음(陰)과 양(陽)을 구분한 지지의 활용 자평명리학의 기본은 음양오행(陰陽五行)임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음은 누누히 설명한 바와 같고 음양과 오행을 간파하는데 기본적인 관점은 아주 중요하니 이 장을 소홀히 여기지 말고 긴장하면서 궁구(窮究)해 주기를 바란다. 체(体)와 용(用) 그리고 기(氣)와 질(質)을 구분한 음양에 대하여 살펴보면 체(体)의 관점 - 子寅辰 午申戌이 양이 되고 丑卯巳 未酉亥는 음이 되며 용(用)의 관점 - 일반적으로 水기와 火기가 체(体)와 용(用)이 바뀌게 되는데 水기를 살펴보면 子수는 양으로 태어났으나 癸수의 기운을 간직했기 때문에 활용은 음이 되며 반대로 亥수는 음으로 태어났으나 壬수의 기운을 간직하였기 때문에 활용은 양이 되는 것이다. 火기를 살펴보면 午화는 음으로 태..

사주학 2021.03.17

지지 통변 - 2 / 2

지지(地支) 통변 - 2 / 2 투간(透干)은 지지나 지장간의 동일한 오행이 천간에 나옴을 의미하고 투출(透出)은 지지나 지장간의 오행이 음양이 변해서 천간에 나옮을 의미하는데 투간은 본래의 역할을 하나 투출은 주위환경에 따른 변화가 많게 되고 작용력이 순일하지 않으니 투간과 투출의 의미를 정확이 구분해야 할 것이다. 지지에만 있다면 생각이나 계획없이, 본능적, 육체적, 충동적인 작용을 하며 특히, 인신사해 (寅申巳亥)의 생지가 그러한 작용을 하게 되는데 그래서 생지의 충은 “평지풍파(平地風波)충” 혹은, “전전긍긍(戰戰兢兢)충”이라는 별명이 있는 것이다. 작용력이 비교적 간단한 천간과 달리 지지에는 "합형충파해(合刑冲破害)"의 기본적인 작용에 합만 보더라도 여러 가지의 합이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고 이 ..

사주학 2021.03.16

단풍꿈, 단풍잎꿈, 단풍나무꿈

단풍꿈, 단풍잎꿈, 단풍나무꿈 ♠ 단풍나무가 울긋불긋하고 화려하게 물들어 있는 꿈은 참신한 아이디어로 신상품을 개발해서 시장에 출시하게 되고 또한, 좋은 반응을 얻게 되니 사업가에게는 길몽이 될 것이며 예술가라면 훌륭한 작품을 창작하게 되는 징조가 되며 옥상이나 지붕에서 단풍나무가 보이는 꿈은 전도가 편안해지고 만사형통(萬事亨通)하는 길몽이다. ♠ 단풍잎이 책이나 문서로 변하는 꿈은 관청이나 회사에 관련된 문서에 기쁜 소식이 있게 되거나 바람직한 결과가 있는 출판, 창작 등과 관련된 꿈이며 단풍잎이 길거리에 수북하게 쌓여있는 꿈은 고문서에서 바라던 자료를 발견하여 세상에 알리거나 출판하게 된다. ♠ 산에 단풍잎이 아름답게 물들어 있는 꿈은 집안이나 회사에 즐거운 일이 생기는 징조이며 단풍잎이 별로 변하는..

꿈해몽 2021.03.15

동굴꿈, 터널꿈, 거북이꿈, 용꿈

동굴꿈, 터널꿈, 거북이꿈, 용꿈 ♠ 동굴 속에서 불길이 뿜어져 나오는 꿈은 생산업이나 유통업 등에 투자를 하여 큰 재물을 벌게 되는 꿈이니 주식투자를 하는 사람이라면 참고해야 할 것이고 일반적으로 횡재, 경사, 재물 등을 암시하는 길몽이다. 동굴 속에서 맑은 물이 졸졸 흐르는 꿈은 매사가 순조롭게 풀리거나 귀인을 만나 조언, 지도, 도움을 받게 된다. ♠ 커다란 거북이가 동굴 속에서 나오는 꿈은 새로운 사업을 시작하여 대기업으로 발전하게 되는 좋은 징조이고 이는 일익번창(日益繁昌), 횡재수, 재물, 물품 등을 암시하는 좋은 징조가 되며 동굴 안에서 돌아가신 부모님을 만나는 꿈은 과거를 반성할 일이 생기게 되고 고사를 지내거나 제사를 모시는 일이 생기게 된다. ♠ 동굴 속에서 무언가를 찾아내는 꿈은 그 ..

꿈해몽 2021.03.14

지지 통변 - 1 / 2

지지(地支) 통변 - 1 / 2 전장의 천간에 관한 통변에 이어서 이 시간에는 지지를 통변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하니 지지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합충극설생(合沖剋洩生)의 비교적 간단한 작용을 하는 천간보다 보다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사건사고가 발생하는 지지가 더욱 복잡다단(複雜多端)하고 중요한 작용을 하게 되며 이는 음과 양에 대한 작용력을 대전제하여 궁위, 육신, 인자론 그리고 합형충파해(合刑沖破害)의 작용력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가 선결되어야 정확한 통변이 가능하게 된다. 4 지지 중에서도 핵심, 중심, 기준이 되는 월지(月支)의 가중치가 가장 높으며 다음에는 왕지(旺支)가 어느 궁위에 있는가를 살펴야 한다. 천간이 양이라면 지지는 음이 되고 년월이 양(陽)이라면 일시가 음(陰..

사주학 2021.03.13

천간 통변 - 2 / 2

천간(天干) 통변 - 2 / 2 2 개의 양간이 음간인 하나의 정재(正財)를 놓고 서로 육합을 하려는 쟁합(爭合) 혹은, 쟁재(爭財)는 합이불화(合以不化)이고 2 개의 음간이 양간인 하나의 정관을 놓고 서로 육합을 하려는 투합(妬合) 혹은, 쟁관(爭官)은 통근력이 비슷할 경우에만 투합으로 인정한다. 여기서 투합으로 인정한다 함은 화기오행이나 삼각관계, 갈등하는 상황 등을 통변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운에서 쟁합이나 투합을 하게 되면 삼각관계나 결정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망설이고 갈등 하게 됨을 통변하며 투합이나 쟁합이 아니더라고 모든 육신이 혼잡되는 운이 되면 정신이 산만해지고 초지일관(初志一貫)이 어렵게 되며 여러 가지의 일을 벌리려고 하나 결과가 없으니 흉한 운이 될 것이다. 역지사지(易地思之)로 명(..

사주학 2021.03.12

천간 통변 - 1 / 2

천간(天干) 통변 - 1 / 2 복잡한 지장간(地藏干)이나 지지와는 달리 천간에서는 “육합(六合), 충극(沖剋), 극제(剋制), 설기(洩氣), 생(生)”의 비교적 단순한 5 가지의 작용을 하게 된다. 이 중에서 육합과 화기(化氣)오행의 통변이 가장 핵심적이고 중요하며 육신(六神)에 관한 통변이 우선하니 천간은 육신, 궁위(宮位), 오행의 순서로 통변을 해야 하고 지지는 궁위, 오행, 육신의 순서로 통변을 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庚금일간에 "乙庚육합“에서 생산되는 화기(化氣)오행의 金기는 비견에 대한 통변이 우선시 된다는 의미이고 육합을 하게 되면 “변하고, 간섭하고, 쏠리고, 묶이고 생산하는 작용" 등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통변의 기준은 육합을 하는 2 개의 오행의 통근력의 강약에 달려있다. "丙辛..

사주학 2021.03.11

격국의 종류와 화기격 그리고 종격의 조건

격국의 종류와 화기격 그리고 종격의 조건 품격있는 사회생활과 그 성향을 이루는 격국은 정격(正格)이라 불리는 보통격국과 외격 (外格) 또는, 편격(偏格)이라고 불리우는 특별격국의 두 종류로 나누며 정격은 보통 월지를 위주로 정하거나 혹은, 사주 전체의 기운으로 정하게 되는데, 내격(內格), 팔정격(八正格), 십정격(十正格)으로도 부른다. 전체 사주의 80% 정도가 여기에 해당하는데, 그 종류로는 식신격(食神格), 상관격(傷官格), 정재격(正財格), 편재격(偏財格), 정관격(正官格), 편관격(偏官格), 정인격(正印格), 편인격 (偏印格)으로 구분되고 이것을 팔정격이라고 하는 것이다. 학자에 따라서는 월지가 비견이나 겁재일 경우에는 격국으로 정하지 않는 경우도 있으나, 월지가 양인이거나 건록에 해당될 때 양..

사주학 2021.03.10

통변에 대하여- 2 / 2

통변(通辯)에 대하여- 2 / 2 종격(從格)이나 화격(化格)은 궁위의 해석이 중요하게 되며 쌍생아(雙生兒)의 명(命)은 궁위의 해석이 더욱 중요하게 된다. 오행이나 육신 등이 없는 것을 있는 것처럼 각고의 노력으로 극복해서 사용하는 것이 개운법이고 노력하면 보다 활용을 잘 할 수는 있겠으나 쉽지만은 않을 것이다. 태과하거나 혼잡된 오행이나 육신은 전생부터 인연이 넘치거나 갈등하는 것이니 이는 강한 습성, 어쩔 수 없는 습관 등으로 나타나게 되며 싫어하면서 끌려 다니게 된다. 비교평가 하게 되는 혼잡은 갈등하고 만족을 못하게 되니 예를 들어 여자에게 관살이 혼잡되게 되면 남자나 직장 등에 만족을 못하고 자주 바꾸게 되며 관살이 태과하면 관살에 끌려 다니게 된다. 그러나 태과한 오행과 육신에 대한 제화가 ..

사주학 2021.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