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甲壬편인에 대해서 먼저 水기는 청탁(淸濁)과 심천(深淺), 흐르는지 적시는지를 그리고 수량을 살펴보아야 한다. 청탁은 정신적인 기운(氣運)을 살핀다는 의미이고 심천은 깊이와 노력적인 면을 살펴야 하니 청하면 귀(貴)를, 탁하면 부(富)를 의미하게 된다. 천지연(天池淵)처럼 깊고 맑은 물에는 신령스로움은 있으나 생명체는 존재하지 않는다. 흐르려고 하는 壬수는 인공수, 큰 물, 탁수, 사수(死水)이고 적셔서 윤택하게 키우는 癸수는 자연수, 청수, 생수(生水)이다. 청(靑)하면 청(靑)한 용도로, 탁(濁)하면 탁(濁)한 용도로 사용을 해야 한다. 인공수인 壬수는 정화시키는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조후용신에는 자연적인 丙화와 癸수를 쓰는 것이다. 水기의 가치를 정하는 것은 木기식상이고 없다면 썩은 물이 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