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고지 9

생지, 왕지 그리고 묘고지에 따른 재성

■ 생지, 왕지 그리고 묘고지에 따른 재성 본 장에서는 우리가 살아가면서 당면하게 되는 모든 사건사고의 중심에 서있는 재성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생지, 왕지 그리고 묘고지(墓庫支) 별로 재성의 특성이 다름은 물론이고 모든 육신과 마찬가지로 재성이 천간과 지지, 그리고 지장간에 있는 경우로 크게 대별해 볼 수 있는데 기본적으로 이러한 재성의 특징과 용도에 대하여 궁구한 다음에 운에 따른 천간의 합충극설생(合沖剋洩生) 그리고 지지의 합형충파해(合刑沖破害)의 작용에 따라 나타나게 되는 재성의 길(吉)과 흉(凶)의 결과를 읽어낼 줄 알아야 할 것이다. 생지인 寅申巳亥는 지장간의 중기(中氣)를 잘 활용하니 예를 들어 申금의 지장간, “戊壬庚”의 중기인 壬수는 천간에 없어도 있는 것처럼 보아야 하며 천간에 통..

운세론 2020.08.19

천충지충(天冲支冲), 복음(伏吟)되는 운과 신강, 신약을 판단하는 기준에 대하여

■ 천충지충(天冲支冲), 복음(伏吟)되는 운과 신강, 신약을 판단하는 기준에 대하여 천간과 지지를 동시에 충하게 되는 천충지충(天沖支沖)의 운은 일반적으로 흉한 역작용을 하는 운이 되며 일간이 신약하다면 더욱 흉하게 되니 기신(忌神)운 이라면 확실하나 용신운이라도 특별히 유의..

사주학 2020.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