辛亥일주에 대하여 Image Origin/Blog Captured ■辛亥일주에 대하여 육십갑자 중에 48 번인 辛亥일주의 辛금일간은 寅목정재와 卯목편재가 공망되고 욕지(浴支)인 亥수傷官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이러한 辛亥일주는 예술이나 문화방면에 조예가 깊고 무었이든지 한 번 보면 탁월한 모방력과 일신된 모습으로 매.. 일주론 2017.08.04
庚戌일주에 대하여 (사진출처/미상) ■庚戌일주에 대하여 육십갑자 중에 47 번째인 庚戌일주의 庚금일간은 寅목편재와 卯목정재가 공망이 되고 쇠지(衰支)인 戌토정인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庚금의 강건함과 戌토의 지혜가 겸비되어 활동력이 강하고 무슨 일이든 화끈하고 적극적으로 돌진하나 지속력이 .. 일주론 2017.06.26
庚午일주에 대하여 (사진출처/미상) ■庚午일주에 대하여 육십갑자 중에 7 번째인 庚午일주의 庚금일간은 戌토정인과 亥수식신이 공망이 되고 욕지(浴支)인 午화정관에 자좌(自座)하고 있으며 백마(白馬)의 형상이라 이상이 크고 높으며 욕지에 앉으니 사교적이고 주색잡기(酒色雜技)를 즐기는 경향이 많다.. 일주론 2017.06.16
己卯일주에 대하여 (사진출처/미상) ■己卯일주에 대하여 60갑자 중에서 申금상관과 酉금식신이 공망이 되는 16 번째인 己卯일주의 己토일간이 卯목 병지(病支)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외면으로는 활발하게 보이지만 내심은 우울한 기운이 있고 감정이 예민하여 남들과 쉽게 어울리지 못하고 강한 개척정신.. 일주론 2017.06.02
戊戌일주에 대하여 (사진출처/미상) ■戊戌일주에 대하여 辰토비견과 巳화편인이 공망이고 35 번인 戊戌일주의 戊토일간이 묘고지(墓庫支)인 戌토비견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큰 산 위에 큰 산이 있는 형상이며 辛금상관이 戌토 안에 암장되어 있으니 호랑이가 발톱을 안으로 감추고 있는 형상이 되고 항상.. 일주론 2017.05.24
戊子일주에 대하여 (사진출처/미상) ■戊子일주에 대하여 午정인과 未토겁재가 공망이고 25 번인 戊子일주의 戊토일간이 태지(胎支)인 子수정재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큰 산 속의 쥐, 차가운 겨울산, 동토(凍土)의 형상이고 글자 그대로 무자식(無子息)이거나 자식이 있으면 무덕(無德)하게 됨이 보통이다. .. 일주론 2017.05.22
丁亥일주에 대하여 (사진출처/미상) ■丁亥일주에 대하여 육십갑자 중에 24 번째인 丁亥일주의 丁화일간은 午화비견과 未토식신이 공망되고 申금정재와 酉금편재가 공망되고 태지(胎支)인 亥수정관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외부로는 수극화(水剋火)의 작용을 해서 풍전등화(風前燈火)의 형상이 되니 머리는.. 일주론 2017.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