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겁쟁재 30

정재격 - 1 / 4

정재격 - 1 / 4 통근력이 약한 천간의 정재는 사회적인 활용도와 실용성이 지지의 정재보다 많이 떨어지게 되며 격국을 이룬 정재격도 천간에 투간되면 한정된 공간이 아니니 이는 적은 돈, 좁은 공간으로만 통변하는 것은 무리가 있게 되고 이는 합법적이고 그 규모가 커지게 된다. 대외적인 활용도를 제외하고 재물 자체만을 본다면 천간보다는 지지의 정재가 실질적이고 실용적인 면에서 좋고 지장간(地藏干)의 정재가 더욱 좋은 경우도 있다. 정재격에 정재를 극하는 겁재가 있는 경우에는 정관이 없으면 편관이라도 제 1 용신이 되며 겁재가 없으면 식상이 제 1 용신이 된다. 재성격에서 일간의 신강신약을 따지게 되면 운세를 통변하는데 실수가 많게 되니 주의를 할 일이며 비겁이나 겁재가 지지에 하나만 있으면 일간 편을 들고..

격국론 2020.12.04

■ 비견과 겁재 그리고 양인에 대하여 - 2 / 2

■ 비견과 겁재 그리고 양인에 대하여 - 2 / 2 비겁이 용신인데 약하게 되면 너무 망설이다 기회를 놓치는 경우가 많으니 재성인 물건, 여자, 배우자, 직장 등도 너무 고르다가 기회를 놓치게 됨을 통변할 수 있다. 비겁이 혼잡, 편중, 형충이 되면 몸으로 때우는 직종에 종사하게 되니 노동, 노가다, 농사 등을 직접 하거나 혹은 타인을 이용한 노무직에 종사하게 된다. 비겁에 관성이 잘 짜여져 있으면 호인이며 출장을 많이 다니니 주말부부가 좋고 이루고자 하는 목표 의식이 두렷하며 사회활동이나 조직의 활용을 잘 하니 단체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혜택을 많이 받을 것이다. 비겁이 왕하면 성과급, 능력급, 도급제 등이 좋고 경쟁자가 있어야 경쟁력이 살아나서 능력을 발휘하며 겁재가 왕한 양인격은 한 번 정도는 ..

격국론 2020.11.18

■ 비견과 겁재 그리고 양인에 대하여 - 1 / 2

■ 비견과 겁재 그리고 양인에 대하여 - 1 / 2 브랜드가 있는 직업의 결정과 운용에는 격국과 격국용신이 활용되지만 격국이 불분명한 경우에는 억부용신이 활용되는 경우도 있으며 격국용신에는 비겁을 용하는 경우는 적으나 비겁이 용신이 되면 순작용을 하는 협력작용인지 혹은, 분리작용인 흉한 역작용을 하는지를 잘 헤아려야 할 것이다. 명(命)에 비겁이 중중(重重)하면 일찍 고향을 떠나 객지에서 자수성가(自手成家)하며 프리랜서 등의 자유직종이 길하고 동업은 불가하나 비겁이 용신이 되는 경우에는 공동사업이나 동업도 가하게 된다. 건록격과 양인격(陽刃格)은 예술가, 작가, 프리랜서, 아나운서, 컨서시움, 법인병원, 법무법인, 한의사도 법인화된 한방병원의 분점, 소호(Soho)사업 등의 독립적인 일이나 사업이 좋다...

격국론 2020.11.17

■ 성격(成格)과 파격(破格)의 기준 - 2 / 2

■ 성격(成格)과 파격(破格)의 기준 - 2 / 2 왕지인 子午卯酉월의 여기가 투간되면 100%의 순도있는 격국이 형성된다. 여기의 투간은 최하 70% 정도 격국으로 인정할 수 있고 寅월의 甲목 투간에 午화가 있으면 "寅午戌삼합"이 되기 때문에 寅목은 午화에 힘이 쏠리게 된다. 그래서 왕지인 월지에서의 투간이 100%에 근접하는 순도 높은 격국을 이룰 수 있으나 삼합이나 방합을 이루어 투간된다면 120%의 더욱 강력하고 완벽한 격국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卯월의 왕지에서 본기인 乙목이 투간 되더라도 합(合)과 충(沖) 등으로 격국이 흔들리는지를 살펴야 하며 격국이 성립되더라도 성격인지 파격인지를 구분해야 한다. 비록 투출(透出)이기는 하나 월주가 癸亥(60), 丙午(43), 丁巳(54) 그리고 壬子(..

격국론 2020.11.11

비겁(比劫)과 결혼생활

■ 비겁(比劫)과 결혼생활 이제 부터는 명(命)에서 하나의 육신(六神)이 왕한 경우를 예를 들고 또한, 범위를 결혼생활에 한정하여 설명을 하고자 하니 이 공부를 다 마치게 되면 즉, 비겁, 식상, 재성, 관성 마지막으로 인성이 왕한 경우를 따로 분류하여 결혼생활의 그림을 연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여기에서 파생되는 성격이나 가치관 그리고 육친에 관한 좋은 이론이 될 것이니 진지한 궁구(窮究)가 되길 바란다. 명(命)에 비겁(比劫)이 중중하게 되면 독신주의자, 주체성, 유아독존(唯我獨尊), 일방적인 사람이고 비겁이 왕한 친구나 문점자라면 자존심을 세워주어야 교류나 대화가 부드럽게 될 것이며 역지사지(易地思之)로 실질적으로 행동하고 격의없는 우두머리의 기질이 있는 사람을 좋아한다. 비겁(比劫)이 왕하..

육친론 2020.09.06

남자(乾命)의 이혼

■ 남자(乾命)의 이혼 건명(乾命)에서 군겁쟁재(郡劫爭財)의 흉한 역작용을 하게 되는 경우에는 부부이별의 강한 암시가 있게 되며 시간(時干)에 통근처가 없는 편재가 있거나, 일지(日支)에 재성이 있고 신약재다한 경우에도 해로가 힘들게 되며 특히, 비겁운이 오는 경우에는 결혼생활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게 된다. 곤명(坤命)은 식상운과 재성운에서 외부활동 등에 대하여 심각한 생각을 하게 되며 대체적으로 이혼율이 많이 올라가게 된다. 명(命)에 괴강살, 백호살 등이 있고 지지에 辰戌丑未, 형충, 원진살 등이 많은 경우에도 평범한 결혼생활이 어렵게 되고 命에 金기와 水기가 태왕하고 한냉하거나 반대로 火기와 土기가 많고 조열한 경우에도 역시 원만한 결혼생활이 힘들게 된다. 12 운성론, 혹은 포태법(胞胎法)..

육친론 2020.09.03

배우자의 복(福)과 덕(德)

■ 배우자의 복(福)과 덕(德) 배우자궁인 일지(日支)는 물질적, 환경적, 선천적 배경 등을 의미하는 음(陰)이 되고 배우자인 배성은 언행, 능력, 정신적, 후천적, 그리고 활동적인 의미가 있는 양(陽)이 되며 또한, 일지에서는 배우자의 복(福)을 살피고 배성(配星)이 대운을 포함한 명(命)에서는 어떠한 작용을 하는지를 살펴서 배우자의 덕(德)을 통변할 수 있는 것이다. 곤명(坤命)에서 관성을 생하는 재성이 편중, 혼잡되어 있거나 일지나 시간(時干)에 상관이 있으면 교태를 많이 부리고 타인에게 잘 하며 현실적이고 실속이 있게 된다. 또한 상관과 재성의 조합이 좋거나 합이 되고 관성이 없으면 귀명(貴命)이 되며 관인상생(官印相生)이 잘 이루어져 있으면 전통적인 의미에서 총명하고 미인들이 많다. 천간의 재성..

육친론 2020.09.01

甲午년을 만나는 丙화일간

■ 甲午년을 만나는 丙화일간 丙화일간이 선호하고 키우고 싶은 甲목편인운이니 일단은 느낌이 좋고 지지의 午화는 겁재 혹은, 양인이 되는 운이며 왕지에 통근하게 되는 丙화일간이다. 편성과 편성의 조합은 궁합이 잘 맞으며 드러내고 확장하며 갑작스럽고 빠른 변화가 있게 되는 운이 되나 길함과 흉함은 일간의 식재관(食財官)을 감당할 수 있는 통근력과 한난조습(寒暖燥濕)의 환경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신약한 丙화일간이라면 甲午년에 왕지에 통근하게 되니 추진력이 생기고 독립하게 되는 긍정적인 면이 있으나 반대로 신왕한 명(命)은 많은 문제가 발생하게 되니 이는 폭발, 독단, 속전속결의 분위기에서 이용하려고 하거나 사기, 이용을 당하게 되는 흉운이 된다는 의미이다. 甲목편인은 편법, 사기성, 허위문서, 속전속결, 무리..

운세론 2020.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