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우자의 복(福)과 덕(德)
배우자궁인 일지(日支)는 물질적, 환경적, 선천적 배경 등을 의미하는 음(陰)이 되고 배우자인 배성은 언행, 능력, 정신적, 후천적, 그리고 활동적인 의미가 있는 양(陽)이 되며 또한, 일지에서는 배우자의 복(福)을 살피고 배성(配星)이 대운을 포함한 명(命)에서는 어떠한 작용을 하는지를 살펴서 배우자의 덕(德)을 통변할 수 있는 것이다.
곤명(坤命)에서 관성을 생하는 재성이 편중, 혼잡되어 있거나 일지나 시간(時干)에 상관이 있으면 교태를 많이 부리고 타인에게 잘 하며 현실적이고 실속이 있게 된다. 또한 상관과 재성의 조합이 좋거나 합이 되고 관성이 없으면 귀명(貴命)이 되며 관인상생(官印相生)이 잘 이루어져 있으면 전통적인 의미에서 총명하고 미인들이 많다.
천간의 재성은 돌아다니며 활동하는 근거지, 무대 등을 의미하나 그 천간의 재성이 통근을 하게 되면 실질적인 재물이 되는 근거지가 되는 것이니 실속이 있게 되며 재극인(財剋印)의 흉한 역작용으로 탐재괴인(貪財壞印)이 되어 인성(印星)이 깨지게 되면 돈 앞에서 너무 조급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명(命)에 관성(官星)이 없으면 남편이 무능함이 일반적인데 만약에 그 남편에게 능력이 있고 처에게 잘 대해 준다면 이혼이나 사별을 하게 됨을 통변해야 할 것이며 남들은 모두 좋은 남편이라고 하는데 본인 만이 못마땅하고 서운함을 느끼며 남편의 못난 점이나 잘못 만 보이게 되니 차라리 없는 것이 더 좋겠다는 생각을 하니 안타까운 일이다. 그러나 외격(外格)인 경우에는 해당사항이 없으니 이러한 경우에는 격국의 정도를 잘 헤아려 보아야 할 것이다.
곤명(坤命)에서 관성이 약하고 비겁(比劫)이 왕하게 되면 남편을 무시하게 되는데 특히 양간들이 그렇다. “재생살(財生殺)”, 즉 재성과 관살이 태과(太過)하게 되면 시모가 두 분일 수 있으며 남자, 남편에게 잘 해주나 결국에는 배신을 당하게 되니 조심을 할 일이다. 남녀 불문하고 군겁쟁재를 이루게 되면 의처증이나 의부증이 있게 되고 배우자를 못살게 하는 의미가 있으니 극처(剋妻)나 극부(剋夫)하고 독재적이니 무던한 배우자를 만나야 해로할 수 있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약에 배우자와 화목하다면 배우자가 병약하거나 사별하게 됨을 통변할 수 있는 것이다. 명(命)에 처에 해당되는 재성이 있더라도 양인살(陽刃殺)에 비겁(比劫)이 중중한 경우에는 해로가 힘들고 생이별, 사별 등을 하게 됨이 일반적이나 식상(食傷)이 있다면 해로할 수 있게 되니 이런 경우에는 처가 현명하고 내조의 힘이 크게 된다. 그러나 운에서라도 인성이 왕해지고 식상을 파극하게 되면 처가 비명횡사(非命橫死)하게 되거나 병고에 시달리게 되는 등 흉한 일이 생기게 됨을 통변할 수 있는 것이다.
양간에 군겁(群劫)이 왕하고 양인살이 있으면 일시주의 재성을 극처하니 생이별이나 사별을 하게 되며 음간은 년월주의 재성을 극부(剋父)하니 이를 다른 말로 표현하면 군겁쟁재(群劫爭財)의 역작용을 하는 경우에 년월주에 재성이 있으면 아버지가 먼저 돌아가시고 일시주에 재성이 있으면 처와 해로가 어렵다는 의미가 되는 것이니 따라서 식상과 인성의 동태가 아주 중요하게 된다.
비겁이 왕한 경우에만 재성이 묘고지(墓庫支)인 辰戌丑未의 지장간에 있음이 길하게 되며 반대로 비겁이 왕하지 않은데 재성이 지장간(地藏干)에 들어가 있으면 우둔한 처가 될 것이다. 남녀 모두 비겁이 왕하게 되면 배우자가 똑똑하고 인물됨이 좋으나 헌 배우자를 만나는 경우가 일반적이니 이는 헌 배우자는 다른 사람들이 탐낼 정도로 똑똑하고 인물이 좋으나 결과적으로는 배우자를 극하여 풍파가 많은 결혼생활을 하게 된다는 의미가 되며 주로 처가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관성과 비겁이 암합 혹은 삼합을 하게 되는 곤명(坤命)과 재성이 비겁과 암합(暗合)이나 삼합을 하게 되는 건명(乾命)에게는 결혼생활에 많은 문제가 생기게 되고 12 운성의 욕지(浴支)에 좌(坐)하거나 혹은 도화와 동주하게 되면 야반도주를 하는 일도 생기게 된다. 특히 재성과 관성이 합을 하여 합화(合化)한 오행이 비견이 되는 경우에도 많은 문제가 발생하게 되니 합화된 오행이 어느 육신에 해당되는지에 따라 그 통변의 내용은 다르게 된다.
곤명의 시상상관(時上傷官)은 상대방의 마음을 읽어내는 남다른 재주가 있으며 남에게는 교태를 부리는 언행을 잘 하나 남편에게만 못하니 그나마 상관의 위치는 시간(時干)이 가장 좋을 것이다. 곤명에게 상관이 용신이면 부모덕이나 남편덕을 기대하기 힘들고 관성이 약하고 운에서 식상운이 오게 되면 남편이 밖으로 돌게 되며 심지어는 다른데서 자식을 보게 되는 일도 생기게 된다.
곤명에서 일지나 시주의 상관이 재성과 합을 하게 되면 실속이 있으며 차라리 관성이 없으면 똑똑한 일간이 된다. 곤명(坤命)에서 상관이 중첩되거나 왕하게 되면 남편과 헤어지거나 남편이 하는 일에 실패하게 되며 특히, 25 ~ 55세 사이에 대운에서 식상운이 오고 천간에 바로 상관견관(傷官見官)하는 관성이 있으면 틀림없이 남편이 쫄딱 망하거나 이별 혹은, 사별을 하게 된다.
곤명에서 인성이 왕한데 극제(剋制)하는 재성이나 설기(洩氣)하는 비겁이 없으면 남편과 자식복이 없고 년주의 상관(傷官)은 첫 남자와의 해로가 어렵고 파격적인 불륜이나 동거, 부적절한 사랑 등을 하게 되며 가문에 먹칠을 하게 된다. 식상(食傷)이 태과(太過)하거나 년월간의 상관은 부모가 반대하는 불륜, 패륜이나 부적절한 결혼 등을 하게 되니 파격적이다.
또한 식상이 천간에 나와 있으면 희신이라 하더라도 자식과 본인 만을 우대하고 남자를 하시하니 집 안이 불편하고 가정의 평화가 깨지게 된다. 식상은 지지에 있어야 길한 작용을 하니 거기서 집 안을 꾸미거나 재주를 부리는 식상의 일을 하며 살아가는 것이며 시주나 일지의 식상(食傷)은 일간을 설기하는 힘이 강하고 성적인 기교가 발달되어 있으며 애교가 있어 연예계, 화류계 등에 진출을 많이 한다.
일지(日支)나 시주의 상관이 재성(財星)과 합을 하게 되면 실속이 있으나 반면에 년월간의 상관은 실속이 약하다. 곤명(坤命)에서 상관이 재성과 합을 하고 관성이 없으면 귀명(貴名)이 되니 이는 발달된 상관은 남자 일반에게 만족을 못하니 차라리 관성이 없는 것이 좋을 수 있다는 의미가 되는 것이며 관성이 없으면 여자가 똑똑하고 사회적으로 발전하게 된다.
'육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자(乾命)의 이혼 (0) | 2020.09.03 |
---|---|
비겁과 인성이 왕한 여자의 결혼생활 (0) | 2020.09.02 |
일지에 좌(坐)하는 육신(六神)에 따른 배우자운 (0) | 2020.06.23 |
여자의 바람기와 자화간합(自化干合) (0) | 2020.06.22 |
인성(印星)이 왕한 곤명(坤命)의 불편함 (0) | 2020.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