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인상생 20

인성(印星)과 결혼생활 - 1 / 2

■ 인성(印星)과 결혼생활 - 1 / 2 인성(印星)은 받을 복(福)을 의미하고 또한 관성인 남편과 소통할 수 있는 수단이나 관계를 의미하며 이러한 인성이 태과(太過)하게 되면 재성(財星)이 제 1용신이 된다. 궁합에서 격국용신이 어울리게 되면 길하게 되니 예를 들어 “식신(食神)격 + 정재(正財)격”, “정관(正官)격 + 정인(正印)격”이 되면 궁합이 좋다는 의미가 되는 것이다. 서로 설기(洩氣)하고 생(生)하는 격국은 어울리고 아름다우나 반대로 충하고 극하는 격국(格局)이 되면 불화하고 싸움이 잦게 되며 서로 등을 돌리게 된다. 곤명(坤命)에서 인성이 태과하거나 혼잡(混雜)하게 되면 관성(官星)을 도기(盜氣)하니 남편이 무능해진다. 이로 인한 본인의 신세를 한탄하면서 어느 덧 가장역할을 하게 되고 무..

육친론 2020.09.10

甲午년을 만나는 己토일간

■ 甲午년을 만나는 己토일간 먼저 일견을 해야 하는 사항은 己토일간은 정성인 甲목정관과 “甲己육합”을 하고 지지의 午화편인과 록지(祿支)에 통근하는 운이 되는 것이니 己토일간이 신약하면 건록이 되고 巳午未월에 명(命)이 조열하면 午화는 편인이 된다. 己토일간은 관성인 木기나무를 키워서 인성인 丙화로 꽃을 피움이 숙명이나 배속되는 다른 오행에 따라서 임무와 모양이 변하게 된다. “己甲丙“의 관인상생은 아름다운 조합이 된다. 己토일간은 木기관성이 있어야 쓸모있는 땅이 되나 반드시 火기인성이 있어야 결과가 있게 되고 己토일간이 습토라 水기재성은 어느 정도는 작용하고 있음을 알아야 할 것이다. 자연적인 丙화정인이 좋으니 식신제살로 木기관성을 키움이 아니고 관인상생(官印相生)으로 키운다. 명분, 원리원칙, 책임감..

운세론 2020.08.14

甲午년을 만나는 戊토일간

■ 甲午년을 만나는 戊토일간 甲목편관에게 戊토일간이 다가가는 운이고 지지의 午화는 정인 혹은 양인이 되는데 여름, 즉, 巳午未월에 비겁이 왕하면 양인이 되고 그렇지 않으면 정인이 되며 일간이 왕하거나 식신제살(食神制殺)하면 甲목은 편관이 되고 일간이 약하거나 水기재성(財星)과 木기관성(官星)이 강하면 칠살이 된다. 甲午년은 午화가 정인인지 양인인지에 따라 관에 관한 일이 크게 달라지게 되는데 직업의 변경사, 취직, 승진, 시험의 당락, 인허가의 일 등에서 변화가 예상되는 운이 된다. 일반적으로 甲목편관은 戊토일간에게 강한 정신적인 가치가 있게 해 주며 심리적인 궁합은 서로 잘 맞으나 직선적, 저돌적, 강직함이 단점이 되며 양간과 양간의 조합이니 너무 이상적이고 비실리적이다. 승진, 취직, 인허가 등으로 ..

운세론 2020.08.13

庚己정인에 대하여

■ 庚己정인에 대하여 庚금과 辛금일간은 土기인성을 반기지 않으나 간접적인 인성은 수용한다. 庚금일간은 "금생수(金生水)"의 목적이 분명한데 土기인성에게 水기식상의 출력을 방해 당하니 이것이 토다매금(土多埋金)의 흉한 역작용인 것이다. 木기재성이 있어야 비로소 水기식상과 火기 관성이 살아나게 되니 庚금일간에게는 木기재성이 아주 중요하게 된다. 생(生)과 설(洩)의 작용에서 庚금일간은 己토정인을 끌고 다니니 부모, 선생님, 선배 등의 생각과 가치관을 자기 나름의 생각으로 끌고 나가며 힘이 균등하다면 매금의 역작용은 없으나 甲목편재가 있고 土기인성이 간접적으로 있으면 아주 길한 조합이 된다. 庚己甲. 庚금일간에게 할 일을 의미하는 甲목편재를 己토정인이 합거(合去)해 버리니 가장 흉한 역작용을 하게 되며 丙화편..

천간물상론 2020.06.13

己丙정인

■ 己丙정인 木기관성인 나무를 아름답게 키울 수 있게 己토일간을 도와주는 가장 정인다운 丙화정인이 된다. 편성(偏星)인 편인은 티를 내고 자랑하나 정성인 정인은 티를 내지 않으며 꾸준하고 희생을 하는 측면이 강하다. 丙화일간에게 己토상관은 도움이 되지 않으나 己토에게 丙화 정인은 온도와 습도를 적절하게 하고 큰 도움이 있는 정인이니 己토일간은 丙화정인이 있어야 木기관성을 키우는데 탁월한 재능이 있게 되고 결과가 생기는 것이다. 己甲丙 丙화정인은 甲목정관을 공익적, 전체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좋은 정인(正印), 즉 실력, 공부, 어머니가 되며 보편적인 공부를 해서 보편적인 행정관료가 됨이 일반적이다. 丙화 정인의 목적은 "화생토(火生土)"의 작용이 아니고 甲목정관을 키움에 있다. 경작지인 己토 일간은..

천간물상론 2020.06.09

丁甲정인에 대하여

■ 丁甲정인에 대하여 丁화를 통변함에 있어서 대운을 포함하여 열의 작용을 하는지 아니면 빛의 작용인지를 판단하고 결과를 내야 정확한 통변을 할 수 있는 것이며 만약, 丁화가 열과 빛의 중간에 있다면 세운에 따라 운이 변하게 되니 10년 간의 대운 중에 세운(歲運)을 중요하게 활용해야 할 것이다. 열의 丁화일간은 金기재성을 녹이려 함이 본성이니 甲목정인의 자격증, 학식, 실력 등으로 작품을 만드는 전문가이고 정신적, 이론적인 밑받침이 잘 갖추어져 있으며 총명하고 작품이 나올 때 까지 기다릴 줄 일간이 된다. ○丁甲庚. ○丁甲壬. 그러나 음간인 丁화일간이 목다화식(木多火熄)이 되면 설기(洩氣)가 약해져서 부담이 되니 이러한 목다화식의 흉한 역작용을 해결하는 것이 庚금정재의 벽갑인정(劈甲引丁)이 되는 것이며 ..

천간물상론 2020.05.24

丙乙정인에 대하여

■ 丙乙정인에 대하여 "丙乙정인"은 "丙甲편인"처럼 시야는 넓지 않으나 실용적으로 활용하는 공부이고 활용도와 결과가 빨리 나타나니 편인의 특성을 닮았고 이는 정인의 특성에 억매이면 안 될 것이라는 의미이다. 시대의 흐름에 민감하니 개인적으로 좋아서 하는 학문이 아니라 돈이 되고 사회가 요구하는 공부를 하게 되며 乙목이니 그 순환주기가 빠른 것이 특징이다. "丙甲편인"은 장기적인 투자나 기초부터 탄탄한 학문을 궁구(窮究)하게 되나 "丙乙정인"은 장기적인 과정이나 목적이 아니며 기초부터 정상을 향한 정상적인 단계를 차근차근 밟지 않으니 이는 선비가 아니고 장사꾼에 불과하다. "丙甲편인"은 일단 출력이 되면 그 실력은 오래가나 "丙乙정인"은 단박사니 점쾌, 육효 등을 좋아하고 시의적절해야 하며 한 달 벌어 일..

천간물상론 2020.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