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친론

결혼운에 대하여 - 결혼이나 파혼, 그리고 만혼(晩婚) 혹은 조혼(早婚)을 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기림역학 2015. 12. 22. 19:50

 

 

                                                                                                                      Image Origin / Blog Captured 


■결혼운에 대하여 - 결혼이나 파혼, 그리고 만혼(晩婚) 혹은 조혼(早婚)을 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곤명(坤命)에서 무관(無官)사주는 관성이나 관성을 생조하는 재성운이 오면 결혼하게  되고 원명(原命)의 조후(調喉)가 불량하면 조후용신운이 들어오게 되면 결혼을 하게      된다.                                                                                                            *용신을 살펴야 하니 운에서 억부용신, 조후용신, 격국용신이 들어오거나 힘을 받을 때   결혼을 하게 되는 것이다.                                                                                  *신왕한 건명(乾命)은 식상(食傷)운이나 재성(財星)운이 들어 올 때나 혹은 식상과 재성을 생조해 주는 운이 되면 결혼을 하게 된다.                                                             

*신왕한 곤명(坤命)은 식상(食傷)운이나 관성(官星)운이 들어오면 결혼을 하게 된다.       *중화를 이룬 사주는 격국(格局)용신운이 살아날 때이니 사회적으로 잘 나갈 때에 결혼을 하게 된다.                                                                                                    *재관인식(財官印食)의 4길신의 용신운일 때 결혼을 하게 되면 마음에 드는 사람과       결혼을 하게 되고 기신운 즉 살상효인(殺傷梟刃)의 4흉신운일 때 결혼을 하게 되면        마음에 들지 않는 사람하고 갑자기(편성) 결혼을 하게 되거나 다 된 혼사가 파혼(破婚)이 된다.                                                                                                      

*상대 배우자를 의미하는 배성이 쟁합이나 투합을 하는 운이면 파혼이나 이혼을 하게     되는 운이다.                                                                                                  *원명(原命)에 없는 오행이 들어오면 즉, 통기가 좋아지면 결혼을 하게 된다.                 *일주와 합이 되는 干支운 일 때이니 예를 들어 戊午일주에 癸未운이 들어와 천지합덕 (天地合德)을 하게 되면 결혼하는 운이 되는 것이다.                                               *원명(原命)에 합이 많으면 조혼(早婚)을 하고 하나의 오행이 편중(偏重), 혼잡(混雜)이  되었거나 비겁이 많거나 혹은 일시주가 충이 되면 만혼(晩婚)을 하게 된다.

*건명(乾命)일 경우에 생각치 않은 사람의 소개로, 타의에 의해 갑작스러운 결혼을         하게 되는 경우는 예를 들어 "○壬戊○"의 命에 癸수운이 와서 "戊癸육합"을 해서        배성인 火기재성을 만들 때 결혼을 하게 된다. 이는 원명(原命)에 배성(配星)인 火기      재성이 없는 경우를 의미하는 것이다.                                                                  *원명(原命)에서 配星이 극(剋)을 당할 경우에는 극을 억제해주는 운일 때 결혼을 하게  되니 예를 들어 원명(原命)에서 군겁쟁재(郡劫爭財)를 이루고 있는 경우에는 관성운이   올 때 결혼을 하게 된다는 의미이다.                                                                     *세운에서 일지가 육합이나 삼합이 되고 천간에 配星운이 올 때이니 남명(男命)에서      戊午일주에 癸未운 일 경우에 결혼을 하게 되는 운이 된다는 의미가 된다.                   

*합이 많으면 조혼을 하고 일주와 연운이 합이 될 때 결혼한다.                                   *원명(原命)에서 정편재(正偏財)나 정편관(正偏官)이 혼잡되는 경우에는 세운이 하나를 합을 하거나 충거(沖去)를 해 줄 때 결혼을 하는 운이 된다.                                                      *원명(原命)에서 配星이 묶여 있으면 즉 다른 곳에 신경을 쓰고 있으면 그것을 깨트리는 운일 때 결혼을 하게 된다.                                                                                *원명(原命)에 配星이 없는데 운에서 다른 천간과 합을 해서 배성을 만들 때는 갑자기    결혼을 하게 된다.                                                                                          

*일지와 합이 되면서 천을귀인(天乙貴人)이 들어 올 때 결혼을 하게 된다.                     *원명(原命)에 하나의 오행이 편중(偏重) 혹은 편중(混雜)되어 있거나 일주와 시주가     상충을 하고 있으면 만혼(晩婚)이고 합이 많으면 조혼(早婚)을 하게 된다.                     *일생의 전환점이 되는 대운이 바뀌는 시기에 특히 접목대운에 결혼을 많이 하게 된다.

*배성(配星)이 고지(庫地)에 있는데 그 고지를 깨트리는 운일 때 즉, 개고(開庫)를 할 때  결혼을 하고 배성이 활동을 시작하게 되는 운이다.                                                  *너무 극신약한 사주는 지지로 록왕지(祿旺支)의 비겁운이 올 때 결혼을 한다.               *물상론으로 천간으로 일간이 좋아하는 운이 올 때이니 예를 들어 辛금일간에 壬수운이나 甲목일간일 경우에는 丙화운에 결혼을 하게 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