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癸癸비견에 대하여 신강신약을 따지지 않는 癸수일간은 약한 淸水이나 癸수비견을 만나 흐르면 합력은 없고 치열한 두뇌경쟁을 하게 되며 섞여서 구분이 안 되니 겉으로는 협력자인 척을 하나 결실,결말, 결산을 할 때에는 분리작용을 하니 서로가 배신감이 심하게 되는 것이다. 신약한 癸수일간이 甲목상관에게 도기되는 경우에만 癸수운비견이 길하고 신약한 癸수 일간에 癸수비견운이 와서 길하다고 하면 안 된다. 癸亥(60)일주에 甲목상관이 있어 이미흐르고 있는 경우에는 癸수비견운이 별 문제가 없으나 윤(潤)하고 있는 경우에는 문제가 되는 것이니 예를 들어 辛금일간에 하나의 癸수식신이 있어 辛금일간을 윤(潤)하고 있는데 癸수식신운이 온다며 癸수식신이 흘르게 되어 이에 대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니 분리, 방해, 경쟁하는 역작용이 나타난다. 비인 癸수비견운은 태양인 丙화정재를 가리고 戊토정관하고는 쟁관을 하나 일간에게 우선권이 있으니 남편에게 여자가 생겨서 신경이 쓰이는 정도지 남편을 빼앗기는 심각한 일은 아닌 것이다. ○癸丙○/癸. ○癸戊○/癸. 나무, 木기식상을 적시고 싶은 약한 癸수일간 즉, "○癸癸○/○未卯○"의 命인 경우에는 癸수일간이 癸卯(40)의 癸수겁재에게 가게 되니 卯목식신에 대한 분리작용이 생겨 癸수일간이 피해를 당하나 癸亥일주 같으면 이미 흐르고 있으니 별 문제가 없게 되는 것이다. "○癸癸○/○亥卯○". 지지에 亥子수 비겁이 있어 흐를 때는 癸수비견의 방해 작용이 없으나 윤(潤)하는 경우에는 문제가 발생한다. 癸수비견 밑에 木기식상이 있으면 癸수비견이 木기식상을 키움에 도움을 주고 있으나 분리할 때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癸戊육합"으로 戊토 정관을 투합을 할 때는 일간이 주도권을 갖게 된다. "癸癸癸甲/○亥○寅"의 命에서 己토편관운은 3 개의 癸수비겁은 甲목상관을 통해 흐르고 있으니 甲"己육합"이 되면 "상관과 편관의 육합"이니 실용성을 갖고 己토편관을 잘 활용하는 운이 되는 것이다. "○癸癸戊"의 命은 戊토정관을 놓고 쟁관(爭官)의 역작용이 심한 형상이 된다. 독상인 "丙戊辛癸"는 신강신약을 따지지 않는다. 많은 양의 水기비겁이 필요없는 癸수일간은 癸수비견이 도움이 안 되니 이는 신약해도 문제가 없다는 의미이고 3 개가 되면 일간의 선택권이 넓어지게 된다. 윤(潤)함은 화분에 필요한 약간의 물을 의미하니 아름답게 하고 쓸모있게 해준다는 의미인데 "癸癸비견"으로 물의 양이 많아지면 癸수비견의 도움이 없고 쟁관(爭官)의 흉한 역작용이 나타난다. 癸수일간에 록지, 子수비견은 맑은 물이니 상관이 없으나 왕지, 亥수겁재가 있으면 탁수(濁水)가 되고 癸수일간이 壬수처럼 흐르려고 하니 흉한 부작용이 생기게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