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辛己편인에 대하여 戊토정인보다는 덜하나 그래도 매금을 걱정한다. 己토편인은 丙화정관을 가리고 辛금 일간이 필요한 壬수상관을 탁임하는 역작용을 하니 木기 재성으로 소토해서 丙화가 빛이 나고 水기식상을 잘 흐르게 해야 길하게 되는 것이다. 辛금일간은 직접 木기재성을 다룸이 아니고 水기식상을 보호하는 용도로 사용하며 己토편인에게 항상 木기재성이 필요하다. 그러나 습토인 己토편인이 열, 火기관성을 도기 (盜氣)한다면 辛금일간에게 길한 순작용을 한다. 생설(生洩)이 안되니 직접적인 관계보다 水火식관의 관계에서 길흉의 작용력을 살펴야 한다. 壬수상관을 만나면 辛금일간이 壬수상관을 생해줌이 아니고 壬수자식이 辛금 엄마를 빛내주는 형상이나 己토편인은 이러한 壬수상관을 흐리게 하는 것이며 월간의 己토편인이 가장 흉하다. 壬수상관이 탁해지면 편법, 잔머리를 굴려 사리사욕(私利私慾)만을 채운다. 乙목정재는 “乙辛충”을 당하나 그래도 없는 것보다 났다. 戊토정인은 水기식상을 막아버려 크게 왜곡시키고 辛금일간을 매금시킨다. 壬癸수 식상이 너무 맑으면 아무 일이나 못하니 己토편인이 조금 탁하게 함은 사람도 꼬이게 하고 경제적으로는 좋은 면이 있다. 곤명(坤命) 辛금일간에 土기인성이 왕하면 출산에 문제가 있게 된다. 辛금일간에게 戊토정인은 부담스러우나 己토편인은 매금이 아니라서 좋아한다. 기토탁임(己土濁壬)이라 壬수상관을 흐리면 엉뚱한 생각 때문에 좋은 재주를 발휘 못하게 되는 것이니 너무 재물을 탐한다는 의미이다. 戊토정인보다 매금이 덜하나 己토편인도 매금이 가능하다. 己토편인은 辛금일간이 필요한 壬수상관을 탁하게 하니 甲목정재로 조절이 필요하다. 기토탁임(己土濁壬)을 하면 辛금일간의 표현이 부정적으로 작용하니 壬수상관을 보호하는 용도로 甲목정재의 조절이 필요하다. 생각을 하거나 너무 계산적으로 가면 안된다. "辛壬금수상관격"에 왕한 己토편인은 정신적으로는 壬수상관을 제화하니 좋고 戊토정인, 甲寅목 재성도 필요하다. 申亥子丑월이라면 火기관성부터 찿아야 하고 申亥子丑월이 아니라면 土기인성을 찿아야 한다. 辛금일간은 壬수상관을 좋아하고 따라가니 도기를 억제를 해야 하는데 己토가 억제를 하기는 하는데 흐릴 수가 있다. 적당히 탁해진 壬수상관은 탁수가 되어야 실리적이 되니 이는 너무 실용적으로 가고 왜곡되게 이용하니 의학을 배웠다면 의술을 베품이 아니라 재물을 탐한다는 의미이다. “辛己편인”의 己토편인은 특별한 작용이 없지만 열의 火기는 활용도가 좋다. “辛壬 상관”은 壬수상관이 辛금일간의 능력을 발휘하게 하니 총명하고 깔끔한 일간이나 己토 편인이 이를 흐리나 木기재성이 이를 깨끗하게 한다.
“壬辛己◯“의 命은 己토편인과 壬수상관이 흉한 역작용이라 엉뚱한 생각이니 상관패인(傷官佩印)이라고 하면 안 된다. ”辛壬상관“인데 己토편인운에 壬수상관이 엉뚱한 행동, 생산을 하나 木기재성이 있다면 상관패인(傷官佩印)이 되니 甲목정재가 없으면 乙목 편재라도 있어야 한다. 辛금일간은 戊己토 인성이 필요없고 있으면 엉뚱한 생산이 되니 유산을 받으면 활용이 나쁘고 도움이 안 된다.

◯辛己◯의 命에 甲午년의 세운을 살펴보면 “편인(편성) + 정재(정성)운”. 午화편관이 된다.
甲목정재와 육합을 하는 己토편인이 현실적, 실용적, 실리적으로 변하고 개성을 살리니 실용적인 기술을 배우려고 학원에 등록, 리모델링(re-modeling)을 하는 형상이다.
신약하면 “甲己육합”으로 부담스러운 甲목정재의 일, 큰 집, 큰 일, 큰 사업을 시작한다면 절차, 대출이 부담스러우니 일시 보류함이 좋다. 현실감, 적응력이 생기나 속전속결 (速戰速決)하면 필패(必敗)하니 일시적으로 연기함이 좋다.
특수한 자격증(證), 기술을 가지고 정재인 일간의 자리, 공간이 만들어 진다. 미혼남은 결혼하면 현실적으로 변하고 좋으나 허위문서, 사기문서에 당할 수 있다. “편인과 정재가 육합”이 되어 사기를 당하면 전 재산을 날리니 도장을 찍을 때 반드시 확인을 해야 할 것이다.
건명(乾命)은 甲목정재, 처와 己토편인, 어머니 사이인 고부(姑婦)간의 갈등이 생기거나 己토편인의 어머니와 甲목정재의 아버지가 육합을 해서 일간을 왕따시키는 일이 생기고 혹은 사이비(似而非) 신앙에 빠져 정재를 헌납하기도 한다.
午화는 甲목정재의 死支이고 己토편인의 록지이니 命에 甲목정재가 통근처가 없거나 己토편인이 命에 통근처가 없었다면 변화가 많게 된다. 甲午(31)는 자화간합(自化干合)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