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창성(文昌星)에 대하여 문창성(文昌星)의 경우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甲목일간에는 巳화식신이 乙목일간에는 午화식신이 丙戊일간에는 申금편재와 식신이 丁己일간에는 酉금편재와 식신이 庚금일간에는 亥수식신이 辛금일간에는 子수식신이 壬수일간에는 寅목식신이 그리고 癸수일간에는 卯목식신이 문창성(文昌星)에 해당된다. 전반적인 특징은 육신으로 식신(食神)에 해당되고 음간의 생지(生地)가 되며 丙丁화만 제외된다. 양간은 생지(生地)와 충이 되는 지지가 문창성(文昌星)이 된다. 원명(原命)에 문창성(文昌星)이 있게 되면 총명, 박식하고 문학, 예술적인 재능이 뛰어나게 된다. 세운에서도 활용이 가능하며 음간은 학당성(學堂星)의 의미와 같고 일간이 통근을 해야 장점이 잘 발휘되고 형충(刑沖)과 공망(空亡)이 되면 흉한 역작용을 하게 된다. 원명 (原命)에서 일간이 신약하거나 길신(吉神)들도 많으면 능력이 분산되고 발휘가 안 되니 역시 흉한 역작용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음간일주 즉, 丁酉(34), 癸卯(40)일주는 일지가 생지이고 문창성(文昌星)이니 신약하더라도 정신력이 살아있고 역경을 돌파하는 힘이 있으며 재능을 발휘하는 힘과 능력이 있으니 일지(日支), 월지(月支), 시지(時支)의 순으로 힘이 있게 된다. 문창성(文昌星)은 천간으로도 바꾸어 볼 수 있으니 "○甲丙○"에서 丙화는 문창성 (文昌星)성분이 된다. 학문으로 창성(昌盛)하고 박사, 교수와 인연이 많게 되고 예술성, 창작능력이 뛰어난 일간이 된다. 그러나 인성(印星), 관성(官星), 격국(格局)이 있어야 국가, 사회로부터 인정을 받을 수 있고 없다면 재야선비가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