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 운성론 중에서 생지(長生支)에 대하여 일간이 생지(生支)에 통근하게 되면 해당 일간의 탄생을 알리고 발전적이고 희망적인 생각을 하는 시기가 되니 준비하고 미래 지향적인 일간이 된다. 그러나 양간과 음간의 생지에 대한 의미가 다르게 되니 양간의 생지(生支)는 인성(印星)적인 의미가 강하고 丙寅(03) 일주의 "寅申충(沖)"처럼 형충(刑沖)을 두려워하지 않으나 음간의 생지(生支)는 식신, 문창성(文昌星)이고 癸卯(40)일주는 신약하기 때문에 "卯酉충"이 되면 많이 흔들리게 되니 형(刑)과 충(沖)을 싫어하고 합(合)을 선호하는 것이다. 음간이 생지(生支)에 통근하게 되면 정신력, 감수성, 창작 예술성 등이 뛰어나서 정신적인 분야에서는 성공을 하게 되고 물질적인 측면에서는 성공하기 어려운 면이 있으나 록왕지(祿旺支)가 함께 있으면 금전운도 아주 좋게 되는 것이다. 양간의 생지는 음간의 사지 (死支)가 되고 음간의 생지(生支)는 양간의 사지(死支)가 되니 양생음사(陽生陰死)이고 음생양사(陰生陽死)가 된다. 생지(生支)는 충(沖)이 오면 무조건 변동을 하게 되는데 주거지, 사업장 등의 이사수가 있는 운이 되는 것이다. 원명(原命)에 생지(生支)의 충이 있으면 발전이 빠르니 조발(早發)하고 조숙(早熟)한다. 음간의 생지의 충은 역시 정신적으로 발복하고 민첩하고 진취력이 있으나 단점은 결단력이 약하다는 것이다. 음간은 생지(生支) 하나만 있어도 신약하더라도 사회활동을 잘 한다. 황희정승의 사주인 "丁癸乙癸/巳卯卯卯"의 명(命)에서 申금운은 보통운이 되나 신약한 상태에서 충하는 酉금운은 문제가 발생한다. 생지(生支)는 4 지지 중에 어디에 있더라도 좋은데 연지(年支)에 있다면 조상음덕, 부모의 덕이 있게 되고 집 안, 가문이 좋고 조발 (早發)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월지(月支)에 있다면 활발한 청년시절을 보낸다. 일지가 생지(生支)인 일주들은 배우자의 복이 있고 배우자의 의견을 잘 듣고 따르나 만약에 공망(空亡)이 있다면 효과는 반감된다. "○戊○○/○寅申○"의 명(命)에서 戊토일간의 생지(生支)의 충은 산이 흔들릴 정도로 큰 변화가 있게 된다. 그러나 "寅申충"에서 寅목의 지장간이 "戊丙甲"이라 발전적인 변화가 있게 된다. 일지에 생지(生支)가 있으면 배우자의 의견을 존중하나 예외적으로 곤명(坤命)의 戊寅(15)일주는 배우자운이 약함이 일반적이다. 음간은 록지(祿支)가 있더라도 생지(生支)의 활용을 더욱 잘 하며 식신은 일간이 록지(祿支)가 있어야 더욱 빛나고 활용을 잘 할 수 있는 것이다. 寅목이 생지(生支)라 함은 "寅午戌삼합"으로 火기를 지향하니 이는 봄에서 여름을 지향하고 미래를 위한 확산과 분열을 시작하는 의미가 있게 되고 巳화가 생지(生支)가 되면 "巳酉丑삼합"을 지향하니 金기을 염두에 두고 열매를 수확하려는 생각이 있게 된다. 申금이 생지(生支)가 된다면 "申子辰삼합"으로 水기를 지향하니 겨울을 준비하고 분리, 수확, 재구성 등의 의미가 있게 되며 그리고 亥수의 생지(生支)가 있다면 "亥卯未 삼합"으로 木기 즉, 봄을 지향하니 정신적인 잉태를 하는 기운이 있는 것이다. (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