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 운성론에 대하여 “양극즉음생(陽極卽陰生)”이고 “음극즉양생(陰極卽陽生)”이니 양(陽)의 기운이 사지 (死支)에 이르게 되면 음(陰)의 기운이 시작되는 생지(生支)가 시작되고 이러한 음 (陰)의 기운이 사지(死支)에 이르게 되면 또한 양(陽)의 기운이 시작되는 생지(生支)가 되는 것이다. 삼합과 삼재(三災) 그리고 12 신살은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으니 삼합은 12 운성의 생왕묘지(生旺墓支)의 합이 되고 삼재는 연지(年支)의 삼합의 기운이 12 운성의 병사묘지(病死墓支)에 들어가는 시기인 것이니 일명 포태법(胞胎法)이라고도 하는 12 운성론은 천간과 지지 사이의 신살이 되는 것이다. 심효첨님은 “자평진전”에서 음(陰)기와 양(陽)기의 차이를 설명하고 甲목과 乙목에서 甲목은 木의 기(氣)이고 乙목은 木의 질(質)이라고 하였으며 기(氣)는 양(陽), 물질이고 질(質)은 음(陰), 정신이라고 설명을 하였으니 甲목은 亥수에서 생(生)하고 午화에서 사(死)하나 지엽(枝葉)인 乙목은 午화에서 생(生)하고 亥수에서 사(死)하게 된다고 설명을 하고 있다. 설화고님은 “자평진전평주”에서 음양(陰陽)이 함께 한다고 설명을 하고 있으며 천고비전에서는 “천간은 동(動)의 기운이라 끝임 없이 움직이고 지지는 정(靜)의 기운이라 움직이지 않는다”라고 설명을 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12 운성론으로 일간이 즐겨하는 섹스(Sex)의 형태를 설명하고 바람을 피우는형상에 대해서도 구체적이고 자세한 설명에 활용을 하니 이러한 12 운성론을 깊이있게 연구하게 되면 활용하는 방법도 무궁무진(無窮無盡)하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12 운성론의 암기법과 특징, 활용에 대하여 설명을 하면 생지(生支, 장생), 욕지(浴支, 목욕), 대지(帶支, 관대), 록지(綠支, 건록), 왕지(旺支, 제왕), 쇠지(衰支), 병지(病支), 사지(死支), 묘지(墓支. 고장), 절지(絶支, 포), 태지(胎支), 양지(養支)의 순서로 암기를 해야 하며 가능하다면 역순으로도 암기를 하면 음간의 12 운성의 기운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특징은 양간의 생지(生支)는 삼합의 첫자 즉 "寅申巳亥"가 되고 음간의 사지(死支)가 된다. 왕지(旺支)는 삼합의 중간 글자인 "子午卯酉"가 되고 묘지(墓支)는 삼합의 끝 자인 "辰戌丑未"가 된다. 음간의 생지(生支)는 食神, 문창성(文昌星)이 되고 "子午卯酉"이며 이는 양간의 사지(死支)가 되는 것이다. 록지(祿支)는 천간의 비견(比肩)이고 왕지(旺支)는 겁재(劫財)가 되며 록지(綠支)와 절지(絶支)는 서로 충이 된다. 양간은 왕지(旺支)인 "子午卯酉"가 겁재(劫財)가 된다. 묘지 (墓支)는 음간과 양간 모두가 "辰戌丑未"에 해당된다. 음간의 묘지(墓支)는 예를 들어 壬수의 묘지(墓支)인 辰토 다음의 未토가 음간인 癸수의 묘지(墓支)가 된다. 다른 것도 유추해서 가늠하면 암기와 활용에 도움이 될 것이다. 육지(浴支)는 양간은 "子午卯酉"가되고(정인성분) 음간은 "寅申巳亥"이다(상관성분). 절지(絶支)는 비견(比肩)이 충(沖)이되는 곳이고 묘지(墓支)의 (전)前이나 후(後)가 된다. 12 운성론의 활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거(居)하는 12 운성법 : 각 천간이 동주(同舟)하는 지지에 거(居)하니 각 천간이 거(居) 하는 지지에서의 상태를 유추해 볼 수 있는 것이다. 봉(逢)하는 12 운성법 : 하나의 천간을 각 지지에 대입하여 각 지지에서의 상태를 유추해 볼 수 있는 것이다. 인종(引從)하는 12 운성법 : 원명(原命)에 없는 육친(六親)도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각 지지에 인종(引從)하여 상태를 유추해 볼 수 있고 육친이 지지에 있다면 역시 천간으로 바꾸어 인종해서 상태를 유추해 볼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사항을 궁구하면 "丁○○丁/亥辰酉○"의 명(命)에서 밤에 불을 켜고 죽은 닭을 장사하는 그림이 되니 "호프집을 하는구나!!"라고 놀라운 통변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경지까지 오르시기를 궁구하시기를 바란다. (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