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살을 제화하는 방법에 대하여 - 1 / 2
관성은 재성의 생조(生助)함을 받아 일간을 극하는 작용을 하게 되는데 일간의 통근력과 물상론을 감안하여 작용력의 정도를 편관, 칠살(七殺), 귀살(鬼殺)의 작용으로 대별해 볼 수 있는데 본 장에서는 중간 정도인 칠살에 대하여 극하는 작용력을 살펴보기로 하며 이에 준하여 편관과 귀살의 작용 정도를 가늠해 보기를 바란다.
천간에서는 육합이 된 육신의 통변이, 지지는 궁위(宮位), 오행, 육신의 순서로 통변이 중요하게 되며 정신적, 전체적, 공간적, 공적, 명예적, 분위기, 결과, 시기성 등을 천간에서 살펴야 하고 환경적, 물질적, 육체적, 개인적, 그리고 실리적인 과정은 지지에서 살핀다.
지지에서는 월주와 일지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은 주지의 사실이고 월주가 사회적인 활동 무대이기 때문에 사업가, 직장인은 격국과 함께 월주를 살펴야 하며 결혼한 사람은 일지와 함께 월지를 살펴야 하는 것이다.
보통 년주는 초년, 부모의 영향, 중학교까지를 의미하고 월주는 결혼 전 까지, 그리고 결혼 후에는 일주, 시주는 말년이니 은퇴 후, 자녀의 비중을 두고 살아가는 시기가 된다. 년주나 시주는 간접적인 영향을 받으며 일주와 월주는 직접적이 된다. 가정사, 개인사는 결혼의 유무를 따져서 살펴야 하며 이혼한 사람은 일주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甲庚○”의 명(命)에 乙목겁재운이 오게 되면 "乙庚육합"으로 어떠한 일이 생기는가에 대하여 설명하면 庚금편관이 있으면 이 편관을 감당할 정도의 일간의 통근력이 중요하게 되고 일간이 신약한데 재성이 있으면 “재생살(財生殺)”의 흉한 역작용의 정도를 잘 살펴서 통변에 임해야 하는 것이다.
木기에 대한 삼합과 방합에 해당하는 寅卯辰亥未에 통근하는 甲목일간이 록왕지인 寅卯에 통근을 하게 되면 일간이 庚금편관에 대응할 수 있으니 관성으로써 활용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편관격이나 칠살격은 일간의 신강, 신약을 반드시 눈여겨 보아야하며 亥未辰에 약한 통근을 하더라도 칠살이 약하면 편관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일단 칠살로 판단되면 칠살의 제화 여부를 살펴야 하는데 제화를 하는 방법에는 식신제살, 상관합살(傷官合殺), 그리고 관인상생(官印相生)의 3 가지 방법이 있으며 이 중에서 식신제살(食神制殺)이 가장 강력하고 신속, 정확, 정면으로 공격적이 된다.
웬만하면 일간 편을 드는 식신은 일간의 의도대로 칠살을 제살하기 때문에 일간이 약하거나 식신이 약하게 되면 제살(制殺)에 어려움이 있게 되며 음간은 상관합살(傷官合殺)을 하고 양간은 양인합살(陽刃合殺)을 한다. 甲목일간에 丁화상관은 庚금칠살을 다듬어서 값어치가 있게 하고 丙화식신은 庚금칠살을 비추는 작용을 하나 庚금칠살의 흉한 역작용을 어느 정도는 막아준다.
★ 칠살을 제화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은 다음 장에도 계속 됩니다.
'사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합과 방합이 중복되는 경우에 대하여 (0) | 2021.07.24 |
---|---|
칠살을 제화하는 방법에 대하여 - 1 / 2 (0) | 2021.07.23 |
庚금일간이 乙목정재를 보는 입장에 대하여 (0) | 2021.07.21 |
乙목육신에 대한 물상론적인 접근 - 5 / 5 (0) | 2021.07.20 |
乙목육신에 대한 물상론적인 접근 - 4 / 5 (0) | 2021.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