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학

삼합과 방합

기림역학 2021. 4. 24. 17:00

삼합과 방합

 

삼합과 방합의 예로 설명합니다.!!

 

명실상부한 사회적인 목적을 추구하는 삼합(三合)은 상하관계가 있는 목적지합, 혈연지합, 정신적인 합이며 생왕묘지(生旺墓支)의 계통 별, 구성원의 역할이 각자 다르니 생지(生支)는 시작, 왕지(旺支)는 활동, 묘고지(墓庫支)는 정리하는 역할을 한다. 삼합이라 개인적인 사정(私情)에 끌리지 않고 사회적인 능력만을 따지니 각자 나름대로 전문가적인 생각이 있게 된다.

 

명(命)에 삼합(三合), 방합(方合), 암합(暗合), 음양합인 육합(六合), 전문가합, 간지합 중에 어떤 합이 있는냐에 따라, 혹은 어느 오행이 힘이 있는냐에 따라 일을 대하는 가치관, 자세와 처리하는 방식 등이 다르게 되는 것이다.

 

사회적, 직업적인 의식이 있는 결합인 삼합을 형(刑)과 충(沖)이 깨뜨리게 되면 충(沖)을 하는 쪽이 원인을 제공하며 당하는 쪽에 흠집이 나고 삼합의 기운이 분산되니 추구하는 사회적인 일에 갈등이 생기게 된다. 삼합과 달리 방합(方合)은 처음에는 자기편으로 끌어들여 일을 도모하나 약한 것이 강한 방합, 특히 왕지(旺支)를 형충(刑沖)하게 되면 방합은 폭발을 하게 되니 고서에서는 이를 “왕자익발(旺子益發)“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삼합에 방합이나 육합(六合)이 겹치게 되면 서로 다른 일을 하고 다른 주장을 하게 되니 구성원 간에 반목, 갈등이 생기게 되고 삼합(三合)의 목적에 개인적인 친분에 따른 갈등이 생기게 되니 이것이 형살(刑殺)의 역작용이 되는 것이다. 삼합과 삼합이 만나도 한 쪽이 다른 쪽을 생(生)을 한다면 생을 하는 쪽은 반목이나 자중지란(自中之亂)의 형살(刑殺)이 생기됨을 통변해야 할 것이다.

 

방합은 학연, 지연, 혈연 등의 공통점이 있는 모임이며 일간의 의지와 상관없이 이루어지는 횡적, 공동체적이며 단순한 모임인 것이다. 이러한 방합에 운에서 형(刑)이나 충(沖)이 되면 즉, 공동의 적이 생기게 되면 방합은 맹렬하게 공동대항을 하니 동네의 화장터 설립이나 모교의 폐교 등의 반대를 위한 세력, 무리를 이루어 시위하는 형상이 된다.

 

원래 방합은 친목, 방어의 목적이었으나 형이나 충을 당하게 되는 경우에는 공격적으로 변하는 특징이 있다. 반대로 공동체적인 방합이 명(命)에 없으면 친화력, 사교력이 약하며 특별한 목적이 없는 모임에는 안 나가는 사람이며 사회지향적인 삼합과는 달리 방합은 보수적, 방어적인 특징이 있다.

 

각 계통 별로 분업을 통한 전문성이 있는 삼합과는 달리 방합은 시간이 지나면 세력화가 되어 상대육신(六神)을 지배하려는 욕심이 생기고 방합의 이익을 위한 술수와 전략이 능숙하게 변하게 된다.

 

운에서 방합이 형성되면 외부활동을 도와주는 세력, 집단, 모임 등이 생기게 되며 운이 좋으면 집단, 조직, 세력에서 공동작업, 협업을 통해서 일을 처리하고 운이 나쁠 때는 쓸데없는 모임에 참가하여 시간과 돈을 낭비하고 다닌다는 통변을 할 수 있을 것이다.

 

형제지간도 방합이 되는데 평소에는 각자 살다가 부모님이 위중하거나 집안의 대소사를 위하여 서로 뭉치는 형상이다. 이러한 방합은 원래 사회적인 목적은 없으나 천간에 합화된 오행이 투간되면 이익집단으로 변질하고 삼합보다 더욱 설치게 되니 예를 들면 아파트단지 어머니회 모임이 세력화로 진행되는 형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