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간과 지지의 특성과 분류 그리고 합이 중복됨에 의하여 발생하는 형살에 대하여
천간에서는 육신(六神), 물상론, 정신적, 외적인 면 등을 살펴야 한다. 천간에서의 혼잡됨은 생각이 분산되고 비교평가 하는 갈등구조를 의미하기 때문에 흉한 운이 되고 운에서 하나를 합거(合去)거나 충거(冲去)를 하면 하나가 정리되어 순일하게 되니 좋은 운이 된다. 지지는 항상 월지와 중심세력이 어디에 있는지와 궁위(宮位), 오행(五行), 육신(六神), 그리고 운에 따른 세력의 판도를 살펴야 한다.
이러한 것들은 합과 충에 의해서 변하게 되니 이러한 작용을 통해서 변하는 흐름을 읽어내야 하는 것이고 여기에 인자론(因字論)적인 통변 즉, 시간성, 운동성, 동물적인 특징 등을 가미해서 통변을 하게 되면 입체감이 생기고 아주 잘 하는 통변이 될 것이다.
투간(透干)의 여부도 중요하다. 언행일치 여부 즉, 乙卯(52)일주에 酉금운은 ”卯酉충“이 되는데 이는 乙목의 통근처인 卯목뿌리가 상한 것이지 乙목이 없어짐이 아님을 알아야 한다. 이는 좋고 나쁨의 작용력은 있겠으나 지지를 극단적인 길흉이나 선악의 개념으로 보지 말고 과정으로 보아야 한다는 의미가 되니 합형충(合刑冲)으로 해당 지지의 작용력이 완전히 소멸되는 것이 아니고 작용력의 변화, 과정으로 살펴야 한다는 것이다.
가장 먼저, 지지는 음지(陰支)와 양지(陽支)로 구분해서 파악해야 하니 용(用)의 활용인 음지 즉, 丑卯巳 未酉亥는 물질적, 현실적, 육체적, 본능적, 후천적인 것이니 변화가 많고 체(體)의 활용인 양지 즉, 子寅辰 午申戌은 정신적, 선천적인 것이니 상대적으로 변화가 적음을 의미한다. 이는 지지에서의 합과 충의 작용력을 볼 때 주로 통변하는 관점이 된다.
水기와 火기는 체용(體用)과 음양(陰陽)이 바뀜을 알아야 할 것이며 결론적으로 음지는 작용력과 변화에 더욱 민감하니 이는 ”寅申충“보다는 ”巳亥충“이, ”子午충“ 보다는 ”卯酉충“의 작용과 결과가 더욱 실질적이고 민감하다는 의미가 된다. 만약, 사주가 모두 음으로 이루어진 음팔통(陰八通)이라면 더욱 세심한 판단을 해야 할 것이다.
12 지지의 전반기인 子丑寅 卯辰巳는 생각, 계획, 씨앗, 준비 등을 의미하고 후반기인 午未申 酉戌亥는 마무리, 기(氣)를 의미한다. 질(質)적으로는 寅卯辰, 巳午未, 申酉戌, 亥子丑으로 나타나게 된다.
조후의 관점은 한난조습(寒暖燥濕)에서 조(燥)는 寅卯巳 午未戌이고 습(濕)은 辰申酉 亥子丑이나 이 중에 酉금은 예외적으로 건조하니 특별히 조금(燥金)이라고 한다. 배열에 따른 음양구조로는 子丑, 寅卯, 辰巳, 午未, 申酉, 戌亥로 분류해 볼 수 있으며 이에 대한 통변은 차후에 살펴보기로 하자!!.
합의 종류를 살펴보면 대표적인 음양합인 육합이 있고 오행합, 계급합, 정신적인 결합이고 충을 하면 흩어지는 특징이 있는 삼합, 그리고 물질적이니 세력을 의미하고 충을 하면 폭발하거나 오행이 강해지게 되는 방합이 있다. 마지막으로 전문가합인 丑寅卯, 辰巳午, 未申酉, 戌亥子가 있으니 이는 활용적인 측면이 아주 강하다.
육합과 암합은 삼합, 방합, 전문가합 등의 작용력을 변하게 하며 쏠리는 힘의 순서는 육합(六合) > 삼합(三合) > 방합(方合)의 순서가 된다.
삼합은 양간을 지향하나 삼합에 육합이나 암합이 더해지게 되면 격국을 이루는 사회적인 정신력에 변화가 있게 된다. 방합(方合)은 현실적, 환경적, 정신적, 물질적인 성향이 있는 음간을 지향하고 왕지(旺支)의 육합은 애초부터 삼합, 방합에는 관심이 없으며 주동자인 왕지가 변질되고 딴 짓을 하니 사정(私情)적으로, 인간적으로 변하게 되는 것이다.
지지에서의 육합은 “변하고, 간섭하며, 쏠리고, 묶이며, 생산하는“ 등의 작용을 하니 이는 천간에서의 육합과 비슷한 통변을 해야 하는 것이다. 특히, 방합에서 왕지인 子午卯酉가 육합이 되면 사회적으로 정상적인 운영이 불가하니 방합으로 일을 하는 아파트 조합장이 돈을 빼 먹는 형상이 된다.
삼합과 육합이 겹치게 되면 겉으로는 표시가 나지 않으나 정신적으로 딴 짖을 하는 형살의 역작용을 하며 “卯戌합화 火氣”에서 화기오행인 火기는 火기의 분위기만을 생산하니 이는 일을 진행하거나 관재구설수가 있다면 이러한 일이 진행되는 분위기를 통변한다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辰酉○"의 명(命)은 왕지인 酉금이 공적인 일을 하는데 개인적인 관계나 사정(私情)을 섞어서 공적인 일을 추진하는 의미가 되는 것이다. 삼합에 방합이 섞이면 방합이 삼합의 기운을 방해하니 형살의 흉한 역작용이 나타나게 되니 예를 들면 “寅午戌 삼합”인데 “巳午未방합”을 따로 형성하는 巳화는 “寅午戌삼합“을 도와줌이 아니고 火기를 분리하는 역작용이라 살(殺)의 흉한 작용을 통변해야 하는 것이다.
'사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합과 방합 (0) | 2021.04.24 |
---|---|
계통 별 삼합의 작용력 (0) | 2021.04.23 |
육합 (0) | 2021.04.21 |
천간육합 - 2 / 2 (0) | 2021.04.20 |
천간육합 - 1 / 2 (0) | 2021.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