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학

명리학을 공부하는 순서

기림역학 2021. 2. 4. 17:00

자평명리학(命理學)을 공부하는 순서와 각론에 대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1) 먼저 10 천간과 12 지지에 관한 이해가 필요하니 10 천간은 “갑을병정 무기 경신임계 (甲乙丙丁 戊己 庚辛壬癸)”를 이해하고 또한 암기를 해야 함은 기본 중에 기본이다. 또한 12 지지는 “자축인 묘진사 오미신 유술해(子丑寅 卯辰巳 午未申 酉戌亥)”가 있다.

 

2) 일간을 기준으로 천간과 지지에 대한 십신(十神)과 육친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러한 십신에는 “비견(比肩), 겁재(劫財), 식신(食神), 상관 (傷官), 정재(正財), 편재(偏財), 정관(正官) 편관(偏官), 정인(正印) 그리고 편인(偏印)”의 10 가지가 있으며 육친은 본인, 남편이나 처, 아들이나 딸, 모친이나 부친 등의 일가친척 관계를 의미한다.

 

3) 천간의 “합충극설생(合冲克洩生)“과 지지의 “합형충파해(合刑沖破害)”의 작용력에 대해서 이해를 해야 하며 내용은 아래와 같다.

 

4) 먼저 6 종류 합(合)에 대한 간단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 천간에는 5 종류의 육합이 있으니 그 종류는 “갑기(甲己)합土, 을경(乙庚)합金, 병신(丙辛)합水, 정임(丁壬)합木, 무계(戊癸)합火”이다.

♠ 천간에는 “갑경(甲庚)충, 을신(乙辛)충, 병임(丙壬)충, 정계(丁癸)충”의 4 종류의 충이 있다.

 

♠ 지지에는 6 종류의 육합이 있느니 그 종류는 “자축(子丑)합土, 인해(寅亥)합木, 진유(辰酉)합金, 사신(巳申)합水, 오미(午未)육합, 묘술(卯戌)합火”이다.

♠ 지지의 삼합에는 4 종류가 있으니 그 종류는 “인오술(寅午戌), 신자진(申子辰), 사유축(巳酉丑), 해묘미(亥卯未)”이다.

 

♠ 지지의 방합 혹은 방국에는 4 종류가 있으니 “인묘진(寅卯辰) 동방木局, 사오미 남방(巳午未)火局, 신유술(申酉戌)서방金局. 해자축(亥子丑)북방水局”이다.

♠ 천간과 지장간의 본기와 육합을 하는 자화간합에는 “辛巳(18), 壬午(19), 戊子(25), 甲午(31) 그리고 丁亥(24)”의 5 종류가 있다.

 

♠ 지장간의 본기와 육합을 하는 암합에는 4 종류가 있으니 “寅丑암합, 卯申암합, 子戌암합 그리고 午亥암합”이다.

♠ 지지에는 “자오(子午)충, 인신(寅申)충, 묘유(卯酉)충, 사해(巳亥)충, 축미(丑未)충, 진술(辰戌)충”의 6 종류의 충이 있다.

 

5) 형(刑) 혹은 형살에 대한 종류는 아래와 같이 4종류가 있다.

 

♠ 인사신(寅巳申) 무은지형(無恩之刑)

♠ 축술미(丑戌未) 지세지형(地勢之刑)

♠ 진진(辰辰), 오오(午午), 유유(酉酉), 해해(亥亥)의 자형(自刑)

♠ 자묘(子卯)상형(相刑)

 

6) 파(破)에는 “巳申파, 寅亥파, 子酉파, 卯午파, 未戌파, 辰丑파”의 6종류가 있다.

 

7) 육해(六害)에는 “신해(申亥)해, 인사(寅巳)해, 유술(酉戌)해, 묘진(卯辰)해, 자미(子未)해, 축오(丑午)해”의 6 종류가 있고 육해살(六害殺) 혹은 상천살이라고 한다.

 

8) 천간과 지지의 관계인 육십갑자(六十甲子)의 간지를 이해하고 여기에서 파생되는 “공망 (空亡)“과 몇 가지의 신살에 대해서 알아야 하며 조금은 어려운 부분이기는 하나 12 지지에 대한 ”지장간(支藏干)“, 역시 이해를 해야 하는 것이다.

 

9) 마지막으로 여러 가지 신살(神殺)에 대하여 알아야 하는데 신살의 종류는 밤하늘에 별 만큼 많으나 여기서는 “12 신살, 역마살, 원진살, 천의성(天醫星), 문창성, 도화살, 백호살, 괴강살(魁罡殺)” 정도만 이해해도 충분할 것이다.

 

상기의 사항의 이해와 암기는 기본이 되며 암기를 한 후에는 그 의미와 활용에 대해서 공부를 시작하게 되는데 가장 중요한 통변에서의 활용은 여러 가지의 사주를 보는 방법에 따라 활용하는 방법이 선생님마다 조금씩 다르니 이 때부터는 선생님의 지도와 예문을 통한 임상이 아주 중요하게 된다.

 

 

'사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합의 종류  (0) 2021.02.05
12 지지의 동물과 시간의 배속  (0) 2021.02.05
신살의 양면성  (0) 2021.02.03
본원의 간명하는 방법  (0) 2021.02.02
사주학의 활용  (0) 2021.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