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甲子일주
육십갑자(六十甲子) 중에 01 번인 甲子일주의 甲목일간은 戌토편재와 亥수편인이 공망되고 욕지(浴支)인 子수정인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자연수인 청수(淸水)에 나무가 떠 있는 형상이고 부목(浮木)이 되면 정처없는 떠돌이 인생이 우려되며 썩은 나무 즉, 부목(腐木)이 되면 정신적, 육체적인 질병 등에 신경을 많이 써야 할 것이다. 일지가 장성살(將盛殺)이라 고집과 성정이 강하고 유아독존(唯我獨尊)적이며 子수정인이라 보수성이 강하고 일간의 가치관에 많이 치우쳐 있다.
일간이 욕지에 앉아 있으니 음주가무(飮酒歌舞)를 즐기는 선비적인 풍류기질이 강하고 이성에 의한 관재구설수에 항상 조심해야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성정이 강직하고 정직, 온순하며 전통을 존중하고 옛 것을 선호함이 보통이며 곤명(坤命)은 고집이 강해 남편이 있어도 허무감으로 남편과의 화합이 어려우며 또한 부모와도 인연이 약해 조실부모(早失父母)를 많이 하거나 모친 때문에 고생을 하는 일이 많게 된다.
일지가 정인이고 청수(淸水)인지라 청빈한 교육자의 길로 가면 발복할 수 있다. 보통 자애롭고 따듯한 성품의 소유자이나 냉정할 때는 가혹하게 변하는 양면성이 있다.
신살로는 일간도화, 장성살, 효신살, 그리고 평두일이 있고 고독성이 있으니 기혼자라면 부부갈등에 신경을 많이 쓰고 살아야 한다. 직업은 상격이라면 교육계, 예능계, 연예계, 목재, 주택 등의 방면에서 능력을 발휘하나 하격이 되면 유흥가, 매춘부(賣春婦) 등의 화류계로 전락할 가능성이 농후하다.
여기서 일간도화(日干桃花)라 하면 甲목일간이니 木기를 추구하는 亥卯未의 연살(年殺), 즉 子수가 일간도화라고 하는 것이다. 그리고 평두일(平頭日) 혹은 평두살(平頭殺)은 甲子(01), 甲辰(41), 甲寅(51), 丙寅(03), 丙戌(23) 그리고 丙辰(53)의 六일을 의미하고 이는 초혼은 어렵고 문제가 많이 발생하게 되며 이혼을 많이 하게 된다.
그러나 재혼을 한다면 편안한 결혼생활을 할 수 있게 되니 이는 초혼이 액댐을 한다는 의미가 되며 만약 성직자, 승려, 활인업(活人業) 등의 직종에 종사한다면 역시 액을 면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가급적이면 결혼을 늦게 하라는 통변을 해 줄 수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