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간물상론

丙庚편재에 대하여

기림역학 2020. 4. 20. 17:00

 

 


丙庚편재에 대하여

 

왕성한 금생수(金生水)의 재생살(財生殺) 작용으로 금편재가 살기(殺氣)를 생하게 되면 이는 흉한 역작용의 항마살, 역마살, 주색잡기(酒色雜技)살 등이 된다. 이러한 편재(偏財)는 허장성세(虛張聲勢)가 특징이 되니 이는 빛을 내서 큰 집이나 외제차를 타는 형상이 되는 것이다. 비실용적이고 유흥적인 금편재이다.

 

열작용을 하는 화는 금편재를 유용하게 특화시키는 강한 순작용을 하나 빛의 화 일간은 평범하니 그 가치가 약해진다. 사업성을 의미하는 금편재에 기관성이 있으면 본래의 범주, 괘도를 벗어나지 않으니 관공서 납품, 대리점, 프랜차이즈(Franchise)사업 등의 관(官)을 낀 사업을 해야 길하게 된다.

 

그러나 수정관은 금편재를 녹슬게 하니 흉한 역작용을 하는 경우가 많고 壬亥수 편관 (偏官) 만이 길한 순작용을 한다. 수정관은 큰 사업만을 하려 하고 열심히는 하나 시간이 흐를수록 감당이 어렵게 되는 것이다.

 

목편인과 항상성을 유지하는 수편관이 잘 짜여져 있으면 예()와 의()가 분명한 명조가 된다. 빛이 필요 없는 금편재에 빛의 화는 소모적이고 비생산적이니 실속없는 여행, 유흥, 주색잡기로 가고 약한 수정관이 있으면 금편재를 녹슬게 하니 진짜 흉한 역작용을 하는 것이다.

 

丙午(43)의 양인은 비추어서 쓰니 실제적인 생산이 아니고 광고, 중간유통 등의 일을 하게 된다. 丙寅(03)수가 있으면 수정관은 길한 순작용을 하니 수정관을 이용한 유통을 하게 되나 화는 본질이 흐려지게 되고 오래가지 못하게 된다. 화와 수는 떨어져 있어야 좋다.

 

수편관이 있어야 금편재와 화일간이 빛나게 되는 것이다. 만약 생재(生財)의 재테크 활동을 하게 된다면 부정하고 엉뚱한 쪽으로 가게 되며 목편인이 있다면 금 편재를 광고, 유통 등으로 특화시켜서 특별한 작용을 하게 됨을 통변해야 할 것이다.

 

예의가 바르고 똑똑하며 의리가 있으나 놀기만 좋아하며 사람은 깔끔하고 화통, 아쌀하기는 하나 실속이 약한 것이 흠이다. 외국과 관련된 역마성인 편재의 일을 하게 되면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여 대성하게 되며 일반적으로 일은 크게 벌리고 나중에 감당을 못하는 경우가 많으니 이를 참조하는 사회생활을 하면 좋을 것이다.




 

 

'천간물상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戊壬편재에 대하여  (0) 2020.04.22
丁辛편재에 대하여  (0) 2020.04.21
乙己편재에 대하여  (0) 2020.04.18
甲戊편재에 대해서  (0) 2020.04.17
癸丙정재에 대하여  (0) 2020.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