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戊토에 대하여
木기와 火기는 올라가면서 퍼지고 金기와 水기는 밑으로 내려가면서 뭉치게 되니 土기는 木火의 기운과 金水의 기운의 중간에 있게 된다. 戊토는 생장화수장(生長化收藏)의 작용 중에 화(化)의 중간역할을 하며 정신적인 면이 발달되었고 己토는 실용적, 현실적, 물질적, 실리적으로 활용하니 己토를 만난 모든 육신(六神)은 실용적으로 변하게 된다.
이러한 정신적인 戊토는 통제, 포용, 중심, 중개, 정리, 조절의 역할 등을 하고 실용적인 己토는 생육하고 배양하는 작용을 한다. 己토로 水기를 통제하려 함은 불가하고 하게 되면 己토는 호수의 바닥이 된다. 土기가 왕하면 환(患)이 되는 것이다.
명(命)에 戊토가 없으면 水기가 날뛰게 되고 戊토가 왕하면 水기가 움직이지 않게 된다. 곤명(坤命)에서 水기는 생산력, 씨앗이니 왕한 戊토에 조열하면 임신, 출산이 힘들고 석녀가 된다.
戊토는 비현실적인 공간, 비실용적인 것, 멀리 있는 것 등을 의미하고 己토는 집 앞의 논밭이니 실용적, 현실적이다. 己토는 모든 것을 받아들이면서 내 것으로 만드는 능력이 탁월하다. 己토는 외부적인 요인과 사람에 따라 변하고 말을 하니 그 속을 알기 힘들다. 丙화정인이 있어야 쓸모있고 활용하는 땅이 된다. “○己丙○”.
천간의 화치승룡(火治乘龍)인 己토는 火기를 흡수하고 조절하며 巳午未가 있으면 己토와 丑辰토가 열기를 끌어 내린다. “丁己식신”은 가장 나쁜 식신(食神)이고 木기관성이 없는 己토는 쓸모없는 땅이 된다. 甲목은 戊토를 통제하고 戊토는 반발하면서 甲목을 키우나 己토는 수용하고 키우면서 자기 것으로 만든다.
이러한 己토는 木기관성을 먼저 찾아야 하며 만물을 포용하고 호연지기(浩然之氣)를 자랑하는 戊토는 신왕함을 좋아하고 지지가 충됨을 극히 싫어한다. “戊甲편관”은 비현실적, 정신적, 저돌적인 면이 치우친다.
戊토는 밀도가 상당히 안정되고 후중(厚重)하여 한 쪽으로 치우치지 않으며 적절한 균형을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戊토는 추동기(秋冬期), 즉 申酉戌월과 亥子丑월에는 휴지기가 되어 만물의 기(氣)를 뿌리에 저장하고 춘하기(春夏期), 즉 寅卯辰월과 巳午未월에는 활동하는 시기로 발아(發芽)하고 개화(開花)한다.
戊토는 나무를 울창하게 기르는 것이 제일의 임무이며 甲목편관과 丙화편인이 투출하는 것이 아름답고 지지에는 습토가 있는 것이 좋다. 산에 나무가 많다는 것은 부귀(富貴)를 의미하고 戊토일간에 지지에 충(冲)이 있으면 지진이 일어나는 현상과 같아 불안초초하고 폭발하는 성격이 있다. 戊토는 대륙, 평야, 큰 산과 같아 己토에 비하여 고후(高厚)하며 己토의 발원지가 된다.
土기가 한 번 수장(受贓)하고 한 번은 발양(發養)하여 만물이 땅에 의지하여 살아가며 땅에서 태어나고 땅으로 돌아가므로 대지는 우주의 자궁(子宮), 만물의 어머니가 된다. 풍수에서는 이를 지모사상(地母思想)이라고 하며 戊토가 상당한 수분이 조절되어 자양지토(慈養支土)가 되어 만물을 성장시키고 생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戊토일간은 이상이 거대하고 단위가 크며 또한 무사기질이 강하다. 인품이 중후하고 믿음직한 성품을 지니고 있으며 강직하며 불굴의 의지가 있으며 신앙심이 강하고 뒤끝은 없으나 경쟁심리가 강한 반면에 남에게 베풀고 싶어 하는 다소 헤픈 기질이 있다.
이러한 戊토일간이 각 천간을 만나는 경우를 간단히 살펴보면
戊토일간에 甲목편관이 있다면 부귀하게 살 수 있고 지지에는 조후가 해결된 辰토나 丑토의 습토가 있다면 더욱 길하며 乙목정관이 있다면 고산지화(高山之花)가 되고 큰 산에 꽃동산이 있는 형상이니 사치와 낭비가 심하고 바람을 많이 피우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戊토일간에 丙화편인이 있다면 철학, 문학, 학자나 교직 등의 정신적인 분야에서 능력을 발휘하나 고독한 명(命)이 되며 일반적으로 丙화는 나무가 있어야 키우는 보람이 있게 되는 것이다. 丁화정인이 있다면 큰 산에 불이 난 형상이니 난리가 나며 壬수편재로 불을 끄려고 하니 “丁壬음란지합”이 되어 힘만 들게 되니 오직 癸수정재로 불을 꺼야 할 것이다.
戊토일간에 戊토비견이 있다면 큰 산맥에 나무가 없는 형상이니 아무런 보람을 느끼지 못하는 명(命)이 되고 땅에 심어 놓은 것이 없으니 할 일을 다 하지 못하고 있다. 己토 겁재가 있다면 호연지기(浩然之氣)의 戊토를 배경으로 실리를 취하는 펜션이나 식당이 있는 형국이니 호가호위(狐假虎威)하는 己토겁재가 된다.
戊토일간에 庚금식신이 있다면 광산이 되는 형상이니 먹고 사는 것은 문제가 없으며 辛금 상관이 있다면 산에서 금을 캐는 형상이니 역시 먹고 사는 것은 문제가 없으나 土기가 왕한 경우에 토다매금(土多埋金)됨을 주의해야 한다.
戊토일간에 壬수정재가 있다면 큰 산에 장대같은 비가 내리고 있는 형상이고 오랜 시간 비가 내리게 되면 산에 있는 나무들이 비에 쓸려 내려가며 또한 나무의 뿌리도 썩는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癸수정재가 있다면 오랜 장마로 인하여 산에 있는 나무들이 빛을 보지 못하고 뿌리도 썩고 있는 형국이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