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인살(陽刃殺)에 대하여
양인살이란 순한 양의 목을 따는데 높이 든 칼날이 태양빛에 번쩍이는 형상을 의미하니 이는 아주 강력하고 무서운 살기(殺氣)를 의미하고 12 운성에서는 양간의 왕지(旺支)를 의미한다.
순수한 양인살은 乙丁己辛癸의 음간을 제외한 甲丙戊庚 그리고 壬수의 양간 만을 의미하고 이러한 강력한 살기가 공망(空亡)과 합형충 등을 만나게 되어 생기는 작용력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양인살이 합을 만나게 되면 가장 흉한 살기의 역작용을 하며 합이 있다면 도발적이고 충동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고 특히 건명(乾命)은 배우자와 재성을 극하게 되니 아주 조심을 할 일이다.
고서에서는 “양인충합세운(陽刃沖合歲郡)이면 발연지화(發然之禍)”라고 했으니 대운이나 세운에서 양인살을 합(合)과 형(刑) 그리고 충(沖)을 하게 되면 그 해에는 수술수나 교통사고 등의 돌발상황이 생기게 되고 아주 흉하게 되니 철저한 대비를 할 일이다. 양인살을 충하는 것을 특별히 비인살(飛刃殺)이라고 한다.
양인살이 공망을 맞게 되면 허장성세(虛張聲勢)하게 되고 원진살을 만나게 되면 부부불화가 발생하며 형살을 만나면 형권 쪽으로 가야 길하게 되고 충을 만나게 되면 충동적인 성격이 있으니 역시, 형권 쪽으로 가야 능력을 발휘하고 또한 길하게 된다.
년주에 양인살과 조상님이 동주(同舟)하면 조상님의 도움이 없으니 음덕을 기대하면 안 될 것이며 월주에 양인살과 부모형제가 동주하게 되면 부모형제와 다툼이 많게 되니 오호, 통재(痛哉)라 !!
일지에 양인살과 배성(配星)이 함께 하면 배우자와 많이 다투게 되고 힘든 결혼생활을 하며 별거, 이혼 등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시지에 양인살과 자식이 동주하면 자식과 다툼이 많게 되며 시지가 편인이 있고 공망이 되면 자식과의 인연이 아주 박하게 된다.
양인살이 상관(傷官)과 동주하고 있으면 사회생활이나 직장생활 등에 문제가 아주 많게 되며 양인살이 도화살과 동주(同舟)하면 신병(身病)이나 질병으로 고생을 하게 되나 양인살은 활동하는 것을 좋아하니 역마살과 함께 하면 길한 의미가 된다.
양인살이 천간의 칠살을 합살(合殺)하고 명(命)이 격국을 이룬다면 이를 “양인합살격”이라고 하여 대부대귀하는 명(命)이 되는데 이것은 양인살의 기질을 사회적으로 아주 합법적으로 발휘할 수가 있게 되니 즉, 나의 누이가 칠살의 강한 놈과 결혼하여 더 이상 일간을 괴롭히지 않은 뿐더러 오히려 일간을 위해 길한 순작용을 해주니 최대한의 양인기질을 발휘할 수가 있어 아주 길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역지사지(易地思之)로 대운과 세운에서 이러한 양인합살이 깨지는 운은 관재수와 구설수가 생기는 흉한 운이 되니 조심을 할 일이다.
고서(古書)에서는 “양인중중(陽刃重重)하면 고집불통(固執不通)”이라고 기술하고 있으니 명(命)에 2 개의 양인살이 있게 되면 일간 만의 고집이 강하게 되니 부부생활이 고독하게 되는 것이며 양인살이 3 개 이상 있게 되면 편중된 가치관과 사회생활에 문제가 있는 정신 이상 까지도 조심을 해야 할 것이다.
또한 곤명(坤命)에서 양인살이 중중하게 되면 상기의 흉한 역작용에 더하여 주색잡기를 좋아하고 음란하게 되며 심지어는 남의 남편을 탐하게 된다. 백호대살, 괴강살, 양인살, 비겁(比劫), 상관(傷官), 편인(偏印)이 발달된 명(命)은 필히 관성(官星)이 있어야 길하게 되니 이는 강한 기운과 성격을 통제하고 순화, 제화하기 때문인 것이다.
명(命)에 양인살이 중중(重重)하면 생김새도 우락부락하게 생겼으며 양인격에 건록시에 출생하게 되면 무관, 군인, 경찰, 법조계 등의 형권계통에서 발복하고 또한, 대부대귀 (大富大貴)하게 된다.
일주를 중심으로 해서 월주나 시주에 양간의 양인과 음간의 양인이 동주(同舟)하게 되면 남녀 모두 주색잡기(酒色雜技)와 부정(不淨)으로 배우자를 구원(仇怨)하게 되니 그 예문은 아래와 같다.
///○甲乙○ ///○辰卯○ 상기의 甲목일간은 卯목이 양인살이 되고 乙목은 辰토가 대지(帶支) 즉, 양인살이 되는 경우이다.
///○丙丁○ ///○午未○ 상기의 丙화일간은 午화가 양인살이 되고 丁화는 未토가 대지(帶支) 즉, 양인살이 되는 것이니 동일한 원리로 아래의 예문을 통변하기 바란다.
///○戊己○ ///○庚辛○ ///○壬癸○ ///○午未○ ///○戌酉○ ///○子丑○
|
'사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화살의 종류와 홍염살에 대하여 (0) | 2019.12.31 |
---|---|
도화살(桃花殺)에 대하여 (0) | 2019.12.30 |
괴강살(魁罡殺)에 대하여 (0) | 2019.12.27 |
백호대살(白虎大殺)에 대하여 (0) | 2019.12.26 |
귀문관살(鬼門關殺)의 유래에 관하여 (0) | 2019.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