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허자(虛字), 천래재(天來財) 그리고 천간의 변화에 대하여
천간에서는 천간육합이 가장 중요한 작용을 하고 그 작용력은 정도는 변하고, 간섭하고, 쏠리고, 묶이고 그리고 생산을 하게 된다. 음간은 실용적이고 실리적인 간섭을 하여 양간을 변하게 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니 예를 들어 "甲己육합"을 하면 甲목은 己토에 묶이고 안주하니 甲목은 다른 천간과의 작용력이 약해지게 된다.
甲목은 항상 己토정재를 생각하고 申子는 辰토가 있는 것으로 간주하니 이를 허자 (虛字)라고 하는 것이다. 화기(化氣)오행은 정신적인 육신의 해석이 중요하니 예를 들어 "甲己육합"은 土기재성을 생산하니 이를 천래재(天來財)라고 하며 천간이라 세력적은 아니고 정신적인데 재성(財星)의 실제적인 양은 운에 따라 다르게 된다.
"甲己육합"에서 己토는 음간, 정재(正財)이니 정재의 특성이 잘 나타나게 된다. 명(命)에 왕한 財星은 일단 시작하고 보는 특징이 있게 되며 약한 甲목은 현실적으로 변하게 된다. 음간, 己토는양간, 甲목을 통해서 이상을 실현하니 己토는 甲목을 잘 활용하며 이는 "丙辛육합"과 그 작용력이 같게 된다. 일반적으로 木기와 火기는 이상적이고 상향성이 강하나 양간은 음간과 육합이 되면 본래의 성향을 잃어버리게 된다.
양간은 편재(偏財)를 보면 흥분하고 정재(正財)를 보면 소유하려다가 음간에게 잡히게 됨이 일반적이며 음간은 편재(偏財)를 보면 활용을 하려 하고 정재를 보면 끌려다니며 감당하기 어렵게 된다.
丙화와 丁화의 식상이 있으면 안정적인 육합을 하고 변화를 하니 편안한 명(命)이 된다. 己토는 甲목과 육합을 하려고 하니 甲목은 실용적으로 변하는 긍정적인 면과 이상을 포기하는 부정적인 면의 양면성이 있게 되는 것이다.
火기가 왕하게 되면 화치승룡(火致乘龍)이니 이 때는 己토가 길한 순작용을 하며 가장 정재 (正財)다운 己토정재이니 안정되고 모험을 하지 않는다. 육합이 된 건명(乾命)은 가정을 중요하게 여기게 되고 "甲戊편재"는 유흥적이나 "甲己정재"는 실용적으로 변하며 근검 절약을 하게 되는 것이다.
신약한 일간에 천간육합이 되면 화기격(化氣格)이나 종격(從格)이 되는 경우가 많게 되는데 그의 조건은 1)化氣오행의 계절 일 것, 2)방합이나 삼합이 있을 것, 3)천간에 화기(化氣)오행이 있을 것, 4)화기오행을 거스르는 오행이 없을 것, 등인데 3)번까지 해당되면 화기격(化氣格) 혹은 종격의 가능성이 있게 된다.
천간에서는 천간육합이 가장 중요한 작용을 하고 그 작용력은 정도는 변하고, 간섭하고, 쏠리고, 묶이고 그리고 생산을 하게 된다. 음간은 실용적이고 실리적인 간섭을 하여 양간을 변하게 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니 예를 들어 "甲己육합"을 하면 甲목은 己토에 묶이고 안주하니 甲목은 다른 천간과의 작용력이 약해지게 된다.
甲목은 항상 己토정재를 생각하고 申子는 辰토가 있는 것으로 간주하니 이를 허자 (虛字)라고 하는 것이다. 화기(化氣)오행은 정신적인 육신의 해석이 중요하니 예를 들어 "甲己육합"은 土기재성을 생산하니 이를 천래재(天來財)라고 하며 천간이라 세력적은 아니고 정신적인데 재성(財星)의 실제적인 양은 운에 따라 다르게 된다.
"甲己육합"에서 己토는 음간, 정재(正財)이니 정재의 특성이 잘 나타나게 된다. 명(命)에 왕한 財星은 일단 시작하고 보는 특징이 있게 되며 약한 甲목은 현실적으로 변하게 된다. 음간, 己토는양간, 甲목을 통해서 이상을 실현하니 己토는 甲목을 잘 활용하며 이는 "丙辛육합"과 그 작용력이 같게 된다. 일반적으로 木기와 火기는 이상적이고 상향성이 강하나 양간은 음간과 육합이 되면 본래의 성향을 잃어버리게 된다.
양간은 편재(偏財)를 보면 흥분하고 정재(正財)를 보면 소유하려다가 음간에게 잡히게 됨이 일반적이며 음간은 편재(偏財)를 보면 활용을 하려 하고 정재를 보면 끌려다니며 감당하기 어렵게 된다.
丙화와 丁화의 식상이 있으면 안정적인 육합을 하고 변화를 하니 편안한 명(命)이 된다. 己토는 甲목과 육합을 하려고 하니 甲목은 실용적으로 변하는 긍정적인 면과 이상을 포기하는 부정적인 면의 양면성이 있게 되는 것이다.
火기가 왕하게 되면 화치승룡(火致乘龍)이니 이 때는 己토가 길한 순작용을 하며 가장 정재 (正財)다운 己토정재이니 안정되고 모험을 하지 않는다. 육합이 된 건명(乾命)은 가정을 중요하게 여기게 되고 "甲戊편재"는 유흥적이나 "甲己정재"는 실용적으로 변하며 근검 절약을 하게 되는 것이다.
신약한 일간에 천간육합이 되면 화기격(化氣格)이나 종격(從格)이 되는 경우가 많게 되는데 그의 조건은 1)化氣오행의 계절 일 것, 2)방합이나 삼합이 있을 것, 3)천간에 화기(化氣)오행이 있을 것, 4)화기오행을 거스르는 오행이 없을 것, 등인데 3)번까지 해당되면 화기격(化氣格) 혹은 종격의 가능성이 있게 된다. |
'사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육친(六親)을 보는 법 (0) | 2019.06.03 |
---|---|
사주팔자(四柱八字)와 대운수(大運數)의 의미에 대하여 (0) | 2019.06.01 |
■ 형(刑)과 형살(刑殺)의 차이점에 대하여 (0) | 2019.01.22 |
■ 육파(六破)와 육해(六害)에 대하여 (0) | 2019.01.21 |
■ 격각(隔角)과 공협(控挾), 도충에 대하여 (0) | 2019.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