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e Origin is from blog. ■ 육친(六親)을 보는 법
일반적으로 육친(六親)이란 부모, 형제, 배우자, 자식 등을 의미하나 이를 확장하여 일가친척 (一家親戚)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극단적으로 사돈에 팔촌까지 일일이 찾아 볼 필요는 없으나 그래도 한 번 정도는 이들을 짚어보는 시간과 학습은 필요하니 정리하여 여기에 소개하는 것이다.
* 비견(比肩) : 건명(乾命) - 남녀형제, 처조카, 자매의 빙부(媤父), 친구, 동창생 곤명(坤命) - 남녀형제, 빙부(媤父)의 형제, 친구, 동창생
* 겁재(劫財) : 건명(乾命) - 남녀형제, 이복형제, 며느리, 동서, 딸의 시모 곤명(坤命) - 남녀형제, 이복형제, 빙부(媤父), 동서, 아들의 장인
* 식신(食神) : 건명(乾命) - 손자, 장모, 사위, 생질녀, 증조부(曾祖父) 곤명(坤命) - 아들, 딸의 빙부(媤父), 증조부(曾祖父)
* 상관(傷官) : 건명(乾命) - 할머니, 손녀, 생질, 외할아버지, 외숙모 곤명(坤命) - 딸, 할머니, 시누이 남편
* 정재(正財) : 건명(乾命) - 처, 백부, 고모, 아들의 장인, 자매의 시모 곤명(坤命) - 외손자, 백부, 고모, 시모의 형제, 시할아버지
* 편재(偏財) : 건명(乾命) - 아버지, 첩, 애인, 형수, 제수, 처형제 곤명(坤命) - 아버지, 시모, 외손녀, 아들의 장모
* 정관(正官) : 건명(乾命) - 딸, 조카, 증조모 곤명(坤命) - 남편, 며느리, 딸의 빙모(媤母), 증조모
* 편관(偏官) : 건명(乾命) - 아들, 조카딸, 외할머니, 매부, 딸의 시부(媤父) 곤명(坤命) - 애인, 정부(情夫), 시형제, 시숙, 시동생, 시누이, 며느리 형제
* 정인(正印) : 건명(乾命) - 어머니, 외손자, 처남의 처, 장인 곤명(坤命) - 어머니, 손녀
* 편인(偏印) : 건명(乾命) - 계모, 서모, 이모, 외삼촌, 할아버지, 외손녀, 아들의 장모 곤명(坤命) - 계모, 서모, 이모, 외삼촌, 할아버지, 손자, 사위, 시할머니
|
'사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주를 보는 방법에 대하여 (0) | 2019.06.09 |
---|---|
용신의 종류와 신살(神殺)의 통변 (0) | 2019.06.05 |
사주팔자(四柱八字)와 대운수(大運數)의 의미에 대하여 (0) | 2019.06.01 |
■ 허자(虛字), 천래재(天來財) 그리고 천간의 변화에 대하여 (0) | 2019.01.24 |
■ 형(刑)과 형살(刑殺)의 차이점에 대하여 (0) | 2019.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