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 지지의 동물과 시간의 배속에 대하여
12지지(十二地支)라고 하는 "자축인 묘진사 오미신 유술해(子丑寅 卯辰巳 午未申 酉戌亥)" 에 배속되는 동물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자(子) - 쥐” “축(丑) - 소” “인(寅) - 호랑이” “묘(卯) - 토끼” “진(辰) - 용” “사(巳) - 뱀” “오(午) - 말” “미(未) - 양” “신(申) - 원숭이” “유(酉) - 닭” “술(戌) - 개” “해(亥) - 돼지”를 뜻하며
이러한 동물의 배속은 고대 중국의 원시적인 불교신앙에서 유래된 것이며 귀신을 물리칠 수 있는 12 종류의 동물로 장수를 표현하였는데 이를 “12 지신(至神)“이라고 하며 왕릉이나 대가집의 묘지에는 이러한 12지신을 흔히 볼 수가 있다.
이후에는 하루의 24 시간을 2시간 씩 나누어 구분하여 子시, 丑시, ... 등으로 표현하였으며 오늘 날과 같이 사용하게 되었다.
고대 중국인들은 시간을 표시할 때 그 시간에 나와서 활동하는 동물을 하나씩 예를 들어 그 시간을 나타냈는데 십이지의 동물은 바로 여기서 비롯되었고 이에 대한 의미는 아래와 같다.
자(子)시(오후 23 - 오전 01시) - 쥐가 가장 활발하게 활동을 하는 시간 축(丑)시(오전 01 - 오전 03시) - 밤새 풀을 먹은 소가 한참 되새김을 하며 아침 밭갈이 준비를 하는 시간 인(寅)시(오전 03 - 오전 05시) - 하루 중에 호랑이가 가장 흉악해지는 시간
묘(卯)시(오전 05 - 오전 07시) - 해뜨기 직전에 달이 아직 중천에 걸려 있어 그 속에서 옥토끼가 보이는 시간 진(辰)시(오전 07 - 오전 09시) - 용들이 날뛰면서 강우를 준비를 하는 시간 사(巳)시(오전 09 - 오전 11시) - 이 시간에는 뱀들이 자고 있어 사람을 해치는 일이 없는 시간
오(午)시(오전 11 - 오후 13시) - 최고조에 달했던 ”양기(陽氣)“가 점점 기세를 죽이기 시작하고 ”음기(陰氣)”’가 머리를 들기 시작하는 시간이고 음기인 땅을 달리는 말을 음기의 동물로 보고 이 시간을 말과 연계시켰다. 미(未)시(오후 13 - 오후 15시) - 양이 이 시간에 풀을 뜯어 먹어야 풀이 다시 나는데 문제가 없는 시간을 의미하니 자연의 이치는 참으로 오묘하다. 신(申)시(오후 15 - 오후 17시) - 이 시간에는 사람과 가장 유사한 포유류인 원숭이가 울음소리를 가장 많이 내는 시간이다.
유(酉)시(오후 17 - 오후 19시) - 하루 종일 모이활동을 하던 닭들이 잠을 자기 위하여 둥지에 들어가는 시간을 의미한다. 술(戌)시(오후 19 - 오후 21시) - 날이 어두워지기 시작하니 개들이 집을 지키기 시작하는 시간이다. 해(亥)시(오후 21 - 오후 23시) - 이 시간에는 돼지가 곤한 단잠을 자는 시간이다.
그러나 상기의 시간은 한국시를 기준으로 표현한 것이며 지금은 일본 동경시를 표준시로 사용을 하니 상기 시간에 약 32분을 더해야 한다. 또 한국에는 태어난 연도에 썸머타임을 사용한 때가 있었으니 만약에 여기에 해당 된다면 한 시간을 더해야 정확한 사주(四柱)를 알 수 있는 것이다.
|
'사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 60갑자와 공망(空亡)에 대하여 (0) | 2018.11.30 |
---|---|
■ 지장간(支藏干)의 재성이나 재물을 보는 법에 대하여 (0) | 2018.11.28 |
■ 자평명리학(命理學)을 공부하는 순서와 각론에 대하여 (0) | 2018.10.19 |
■ 신살(神殺)의 음양 즉, 통변의 양면성에 대하여 (0) | 2018.10.10 |
■ 본 연구소의 사주를 보는 방법에 대하여 (0) | 2018.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