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午화 인자론 午화의 자원은 두 사람이 절구를 찢고 있는 형상이고 가로 세로로 엇갈리고 교차하고 거스른다는 뜻이 있다. 옛날에 유행하던 파자점에서 午자를 집으면 인립십로 행방난정 (人立十路 行方難定)이라 원하면 남쪽으로 가고 피하고 싶으면 북쪽으로 가라. 무언미허 개수성사(無言未許 開口成事)이니 허가를 기다리고 있으면 가서 말을 해라! 라는 해석을 해주었다. 午자는 갓 올라온 벼 이삭의 모습이며 오양일음(五陽一陰), 양극즉음생 (陽極卽陰生)이니 교체한다는 의미가 있다. 午월에는 외양내음(外陽內陰)이고 절기인 망종(芒種), 하지 (夏至)부터 습기가 생겨 후덥지근하고 꽃받침이 생기기 시작한다. 체양용음(體陽用陰) 이니 이중성격이고 할 일은 많은데 행동, 동작이 둔해지고 지루해지는 시기가 되는 것이다. 午화대운이나 午화가 왕하면 부도(不渡)운이니 문점자에게 부도의 유무를 먼저 물어 보아야 하고 직장인이라면 승진에 장애물이 생기는 운이 된다. 중국의 午월은 황하가 범람하는 시기이니 산 위로 피신해서 갈 때까지 가는 형상이라 어려운 한계상황에 처해지는 운이 된다. 알몸이 되니 멀리 있는 재산은 있지만 현금재산은 없으니 현금재산을 구하면 안 되는 운이다. AM 11 ~ PM 13시인 午시는 한 낮이라 본인이 한 일을 남들이 다 알고 있으니 매사를 분명히 하고 약속과 계획을 철저하게 지켜야 하며 인오술(寅午戌)의 일진은 확실한 결과를 알 수 있게 되는 일진이 된다. 午화대운에는 자타공인, 공공성, 환히 밝히는 일이니 법무(法務), 언론, 방송, 공익적인 일이 적성이 되며 또한 午화운은 남에게서 조명을 받는 일이 생기니 연예계, 언론, 방송일, 스포츠맨 등의 직종이 좋고 조후가 불량하면 무식한 놈, 무례한 놈, 깡패 같은 놈이 된다. 왕지라 평소 남을 시키기를 좋아하나 午화운에는 반드시 본인이 직접 챙겨야 하고 직원이나 대리인을 시키면 문제가 생기니 조심을 해야 할 것이다. 동물적인 특징을 살펴보면 일본은 양인(陽刃), 劫財의 火기을 의미하는 丙午(43)가 가장 강하니 행동, 운동성이 좋고 주체 못하는 열정과 자기 주장이 강하고 자유분방하니 남자에게는 좋으나 여자에게는 흉하게 해석을 하였다. 장점은 역동적이고 용감무쌍한 활약을 하니 예로부터 교통, 권력의 상징으로 많이 활용이 되었던 것이다. 몸놀림이 빠르고 화려한 말솜씨가 좋고 명랑, 쾌활하며 식성과 성격은 담백하고 신속한 결정을 한다. 단점은 남들이 그렇게 하기를 원하고 몰아가서 문제가 발생하고 안 따라오면 공격적으로 바뀌니 보조를 잘 맞추어 주면 좋다. 급하고 충동적이고 인내심이 부족하며 경솔하나 인내심을 갖추면 어디서든 환영을 받고 성공하는 일간이 되는 것이다. 午화대운은 음양이 교체되는 시기니 직장, 사업을 경솔하게 자주 바꾸려 하고 승진, 결혼이 늦어지게 되며 경솔해져서 문제가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말은 재갈을 물고있으니 장애(合刑沖)가 있게 되며 말은 구르기는 해도 기는 법은 없으니 순수하지만 완고하고 굽히려 하지 않고 잘 놀라고 예민한 성격이다. 축오(丑午)원진은 소의 외양간과 말의 마구간이 붙어 있으면 서로 성장이 안 되니 원진이 된다는 옛말이 있다. 午화는 물질보다 정신, 문명, 문화를 의미하며 인오술(寅午戌)은 삼합이 되니 호랑이, 말, 개가 짖는 소리가 어울리고 서로 싫어하지 않는다. "子午충"의 의미는 낮과 밤이 바뀌니 불면증, 외국출행을 하는 경향이 아주 많게 되고 사주는 좋은데 대운이 거꾸로 가서 발복(發福)이 안 되면 고생은 하나 외국생활이 좋다. "午午자형"은 조후를 살펴서 길한 작용을 하는지, 흉한 역작용을 하는지를 살펴 刑인지 刑殺인지를 가늠해야 한다. 인체로는 심장, 눈, 혀, 신경계통, 시력을 의미하며 또한 午화는 교육과 문화의 장소이니 소극장, 예식장, 방송국, 오락실 등을 의미하기도 한다. 사주의 예를 들어 설명을 하면 건명(乾命), "○癸○○/○巳午○"의 命에서 巳화의 지장간은 戊庚丙, 午화의 지장간은 丙己丁이다. 午화편재보다 巳화정재가 자식생산이 좋다. 午화는 활동력은 좋으나 피곤한 면이 있으며 巳화는 안착할 수 있으나 변할 소지가 있게 된다. 곤명(坤命), "○辛○○/○巳午○"의 命에서 巳화의 지장간은 戊庚丙, 午화의 지장간은 丙己丁이다. 정편관의 혼잡이고 己토인성(식상)이 있으니 남자를 본인 맘대로 움직이려고 하며 남자 입장에서는 피곤한 처가 되는 것이다. 편관이라 날카롭고 공격적이다. 巳화와는 자화간합(自化干合)이 되고 관인상생(官印相生)이 되면 났다.
|
'지지인자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未토 인자론 - 2 (0) | 2015.09.02 |
---|---|
未토 인자론 - 1 (0) | 2015.09.02 |
巳화 인자론 (0) | 2015.08.30 |
辰토 인자론 (0) | 2015.08.12 |
卯목 인자론 - 2 (0) | 2015.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