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辛丑일주에 대하여
육십갑자 중에 38 번째인 辛丑일주의 辛금일간은 辰토정인과 巳화정관이 공망되고 양지(養支)인 丑토편인에 자좌(自座)하고 있다. 날카로운 辛금일간과 丑토의 소고집을 합쳐 놓은 형상이 되니 꼼꼼한 성격에 고집이 강해서 인상이 조금은 차갑게 보인다. 의타심이 강해서 한 가지 일을 지속적으로 하지 못함이 흠이 된다.
보통은 무척 현실적이나 일지偏印이라 경우에 따라서는 무계획적이고 무절제한 행동을 보이고 과욕에 융통성이 부족하며 실용적인 결과를 보기는 만만치 않으며 성격이 급하기는 하나 정확한 신용과 의리가 있음이 장점이 된다.
호색(好色)하는 경향이 있으며 정력 또한 왕성하다. 성품이 곧고 깔끔하며 강한 고집에 승부욕이 지나치고 왕성한 활동에 재물의 이동이 많고 인덕과 부부인연은 약하다고 할 수 있다. 남녀 모두 어린 시절에는 정상적인 생모의 양육을 받기 어렵고 양자 등의 운이 있으며 타자양육(他者養育)을 하든가 많은 종업원을 거느리면 길함이 있게 된다.
일주신살은 효신일(梟神日), 탕화일(湯火日), 오귀일(五鬼日) 그리고 방해살(妨害殺), 급각살(急角殺) 등이 작용하고 탕화살, 화개살이 동주(同舟)하여 종교, 신앙 등에 깊은 인연이 있으며 육신(六神)은 일지偏印이라 경우에 따라 무절제한 행동을 보일 때가 많다.
탕화일(湯火日)은 甲午(31), 甲寅(51), 丙寅(03), 丙午(43), 丁丑(15), 戊寅(15), 己丑(26) 庚午(07), 庚寅(27), 辛丑(38), 壬午(19), 壬寅(39), 그리고 癸丑(50)의 14 일이 해당되고 이는 기름, 뜨거운 물, 화재 등의 사고나 폭탄, 총알, 파편 등의 사고를 당해 신체에 흉터가 생기게 된다는 신살이며 이 또한 육신을 대입하여 통변을 할 수 도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곤명(坤命), 庚금일간에 정관인 午화 탕화일은 남편이 군대에서 폭탄 등의 사고를 당해 몸에 상처가 생긴다는 통변이 가능한 것이다.
효신일(梟神日) 혹은 효신살에 대하여 살펴보면 甲子(01), 乙亥(12), 丙寅(03), 丁卯(04), 戊午(55), 己巳(06), 庚辰(17), 庚戌(47), 辛未(08), 辛丑(38), 壬申(09), 그리고 癸酉(10)의 12 일이 해당되고 이는 어릴 때 모친과 생사의 이별을 하지 않으면 두 분의 어머니를 모시게 되든가 아니라면 타향에서 심한 고생을 하게 된다는 일주의 神殺이다. 또한 편인이 자식궁인 일지 (日支)나 시지(時支)에 있게 되면 자식과 인연이 박하고 부부생활도 원만하지 못하게 됨이 일반적이다.
직업은 무관, 의사(신경과), 정밀한 일, 세공업, 설계, 계획 등의 분야에서 능력을 발휘하며 고서(古書)에서는 辛丑일주를 “신축봉형(辛丑逢刑) 약사의사(藥師醫師)”라고 기술하고 있으니 원명(原命)이 격국을 이루고 丑戌未가 길한 순작용을 하게 되면 의약계가 천직이 되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