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재의 물상 2

정재의 물상론적 접근 - 2 / 2

■ 정재의 물상론적 접근 - 2 / 2 ★ 전장에 이어 정재의 물상에 대한 설명을 계속합니다.^^ 戊癸정재 : “戊癸육합”으로 실용적, 근면하고 성실한 戊토일간으로 변한다. 격국이 성립된다면 무정지합(無情之合)이 아니고 戊토일간이 癸수정재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게 되나 신약재다(身弱財多)가 되면 돈도 안 되고 일, 처, 여자 때문에 많은 고생을 하게 되며 火기인성의 조후가 절실하게 된다. 己壬정재 : 많은 양의 물이니 己토일간은 壬수정재 밑에 가라앉고 이러한 己토에게 불만이 많은 壬수 정재가 되며 己토일간은 일간의 소유물인 정재를 가지고 마음대로 못하는 상황이 되고 壬수정재에게 끌려다니게 된다. 甲목정관이 있으면 통기(通氣)가 되니 길하나 없다면 상기의 역작용에 건강도 상하게 됨을 조심해야 할 것이다. 亥子..

격국론 2020.12.12

정재의 물상론적 접근 - 1 / 2

■ 정재의 물상론적 접근 - 1 / 2 일간은 10 천간이 올 수 있으니 일간에서 파생되는 정재의 종류도 천간에만 10 가지가 올 수 있을 것이고 이를 지지나 지장간까지 확장한다면 약 30 개 정도의 정재가 있을 것이다. 정재의 주변상활에 따라 반응하는 작용력과 특징은 전장에서 자세하게 설명하였으니 이를 바탕으로 하여 10 정재의 천간에서의 물상론적인 그림을 그려보면 아래와 같다. 지면상 천간의 정재에 대한 특징만을 간단하게 기술하였으나 이를 지지을 넘어 지장간으로 확장한 “통(通)”의 안목이 생기를 바라면서 개인적으로 많은 궁구(窮究)가 있기를 바란다. 좀 더 자세한 궁구를 원한다면 본 블러그의 천간물상론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甲己정재 : 가장 정재다운 정재가 되며 현실적, 불확실성에 대한 모험을..

격국론 2020.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