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편재와 정재를 구분한 물상론적 접근 - 2 / 5 ☞ 전장에 이어서 편재와 정재를 구분한 물상론적 설명이 계속 됩니다. ^^ 丙辛정재 - “丙辛육합”이니 야무진 지상의 辛금정재가 높은 하늘에서 주목을 받고 싶은 丙화정관을 더 이상 오르지 못하게 잡고 있으니 바람에 흔들리는 애드벌룬의 형상이고 야간이라면 辛금정재에게 조명을 비추어서 辛금정재를 빛나게 한다. “丙庚편재”보다는 실용적이나 양(陽) 중에 양인 丙화일간은 공평무사(公平無私) 함이 떨어지고 실용적, 사적으로 변질되고 쪼잔해진다. 외부로 보여지는 면에 더욱 신경을 쓰게 되고 잘 난 척을 하느라고 다른 정재에 비해서 실속이 떨어지며 작은 돈에 집착하는 경우도 있다. 넓고 광활한 하늘이 아니고 실내에서 활동하는 소심해진 丙화일간이다. 丁辛편재 - 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