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극인 14

편관의 주변환경

■ 편관의 주변환경 강한 편관격은 이를 감당할 수 있는 일간의 통근력이 가장 중요하게 되며 일간이 상대적으로 약하게 되면 편관격은 칠살격으로 변하게 된다. 편관은 재성을 설기(洩氣)하나 칠살에 편재는 재생살(財生殺)의 역작용으로 아주 흉하게 되며 이러한 경우에는 비겁이라도 있어야 할 것이다. 과욕, 과로사, 안전사고 등의 심각한 사건, 사고가 있게 되나 편관격에 적당한 재성은 위험을 내포한 일에 능력을 발휘하니 강한 추진력, 책임감, 희생정신 등이 있게 된다. 재성이 칠살을 생하는 "재생살(財生殺)"의 역작용은 먹고 살만하면 예고없이 관재수나 몸수가 터지게 되나 재성이 생하는 편관(偏官)은 근면, 대범, 경영능력, 통찰력, 적극적, 공격적, 정치적이고 다만, 내부적인 일은 소홀하게 된다. 편재가 생하는 ..

격국론 2021.01.02

정재격 - 4 / 4

■ 정재격(正財格)에 대하여 - 4 / 4 ★ 전장에 이어 정재격에 대한 설명을 계속합니다.^^ 겁재는 사업을 무리하게 강행하는 스타일이고 비견은 비교적 관리적이며 비겁이 왕한 사람은 동업을 오래 지속하기 어렵다. 비겁이 왕한 명(命)에 재성의 투출(透出)은 좋지 않으나 통근한 투간(透干)은 좋을 수 있으며 대중재, 공유재 등의 의미가 있는 천간의 재성은 많은 사람에게 활동공간이나 일터 등을 제공하는 개념이다. 정재격은 계산적, 모범적인 사람이기는 하나 융통성과 인간미는 편재격에 더 많으며 겁재에 의해서 정재가 파극되면 보통 이하의 사람이 되고 모든 경우는 아니겠지만 천간에 겁재가 있거나 운에서 오게 되면 식상, 재성, 관성, 인성 등에서 문제가 있는 사람이 된다. 편중되거나 혼잡된 정재격은 경제관념이 ..

격국론 2020.12.09

정인과 편인

정인과 편인 인성이 중요하게 쓰이게 되면 인성에 해당하는 증(證), 아이디어, 노하우, 지식 등을 활용하는 정신노동, 계획, 설계, 준비가 많은 일 등을 하며 타인의 시선, 이목을 많이 의식하고 학벌, 체면, 품위를 따지며 자기 본위적이니 단체생활의 적응이 어렵고 이에 관한 문제가 있게 된다. 다른 육신도 마찬가지겠지만 정성(正星)인 인성이 왕하게 되면 관성을 도기하고 편인도식(偏印盜食)의 역작용을 하는 편인화가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재성이 한 번에 날라가는 일이 생기게 되니 예를 들면 사이비 종교에 미쳐 전재산을 헌납하는 경우 등이 될 것이니 특히, 인성이 왕한 여자는 각별한 조심을 할 일이다. 관인상생(官印相生)은 주변환경에 민감하고 남과 차별화가 되는 일을 선호하니 완장에 제복을 입은 경비처럼 남..

격국론 2020.11.25

■ 정성(正星)과 편성(偏星)에 대하여

■ 정성(正星)과 편성(偏星)에 대하여 “정성의 생설(生洩)"에서 "생조(生助)한다”함은 생함을 받는 육신의 본성과 능력을 선명하게 들어내 준다는 의미이고 "설기(洩氣)한다“함은 설기를 받는 육신을 빛내주고 보호하고 쓸모있고 유용하게 만들어주는 의미가 있다. 살상효인(殺傷梟印刃의 편성은 제화가 되어 있지 않으면 상대육신을 파극하는 방향으로 역작용을 하게 되고 설기의 순작용보다는 도기(盜氣)의 역작용을 하며 생을 하더라도 치우치게 생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요즘의 세대는 편성이 유리하게 작용을 하는 경우가 많다. 정성은 안정적, 고정적, 지속적이니 늘, 항상, 언제나, 변함없는 작용을 하며 편성은 유동적, 일시적, 간헐적, 돌발적이고 부정적, 불법적, 비합리적인 생각과 언행을 할 소지가 다분하며 용신이 편..

격국론 2020.11.14

관성(官星)과 편인의 역할과 특징

■ 관성(官星)과 편인의 역할과 특징 본 장에서는 관성의 역할과 특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하는데 먼저 관성의 중요한 작용은 인성(印星)을 생한다는 것이다. 공간, 자리, 직책, 직위 등을 의미하는 관성과 윗사람, 후원자, 자격, 실력, 준비, 계획, 부모 등을 의미하는 인성은 서로 상생하는 아름다운 조합이니 이것이 그 유명한 관인상생(官印相生)인 것이다. 관성과 인성, 각자가 의미하는 것을 하나 씩 조합하게 되면 성별과 나이에 따른 다양한 통변을 할 수 있게 되며 불행하게도 관성이 없는 인성은 사회적인 직책이 없게 되고 보호를 받지 못하는 재야선비의 형상이 되는 것이다. 전통적인 관인상생 즉, 정관(正官)이 정인(正印)을 생하게 되면 공적, 합리적, 보편타당하나 정관이 편인(偏印)을 생하게 되면 자리인 ..

운세론 2020.07.17

재성(財星)과 재성운

■ 재성(財星)과 재성운 재성의 역할 중에 먼저 “재생관(財生官)“의 작용력을 살펴보면 재성은 일간을 보호, 통제하고 안정성을 요구하는 관성(法)을 생하니 정재는 편재보다 더욱 관성(官星)을 요구하고 명예와 결과를 중요하게 여긴다. 편재는 정재보다 안정성보다는 유동성, 투기성, 모험성 등을, 결과보다는 과정과 적성을 중요하게 여기고 관성조차도 수단으로 여긴다. “정재(正財)가 생하는 정관(正官)”은 원칙주의자, 반듯한 사람이나 보수적, 관료적인 생원(生員)이고 ”정재가 생하는 편관(偏官)”은 원칙주의자이기는 하나 보다 적극적이고 융통성이 있으며 현실 참여적이다. 재성이 생하는 관성은 승진, 영전, 합격, 감투, 포상, 이권취득, 불하 등의 관성의 혜택을 받는 의미가 있고 편재라면 뇌물의 효과도 좋을 것이..

운세론 2020.07.15

辛戊정인에 대하여

■ 辛戊정인에 대하여 戊토정인이 지나친 사랑과 관심이 辛금일간을 매금(埋金)시켜 피해를 주게 되니 방안풍수가 되고 편인보다 못한 戊토정인이 된다. 인성이 왕하면 출력하는 식상이 약해지니 이는 비현실적으로 변하게 됨을 의미하니 이러한 경우에는 계획, 생각은 그만하고 움직이라고 조언을 해야 할 것이다. 辛금일간은 甲목정재에 의한 소토가 절실하니 원래 辛금일간은 甲乙목 재성을 직접 다루면 안 되고 戊토정인을 통제하는 용도로 간접적으로 다루어야 한다. 戊토정인은 절실한 水기의 식상과 火기의 관성을 차단시키는데 甲목정재가 이 모든 것을 해결해 준다. 辛戊甲癸. 辛戊壬. 辛戊庚. 辰토와 未토에 통근한 乙목편재보다는 간접적이라 영향력은 크지 않지만 지지의 卯목편재의 소토가 훨씬 났다. 반드시 소토나 "戊癸육합"으로 ..

천간물상론 2020.06.14